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 가면 효과 훨씬 커"(종합2보)
"해수부 부산 이전 직접 비용 200억∼300억원"…인사청문회 답변"부산시장 출마 생각할 겨를 없어" "조선·해양플랜트 가져와야"
김윤구
입력 : 2025.07.14 19:02:52
입력 : 2025.07.14 19:02:52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2025.7.14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신선미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면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수 있어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최대 쟁점은 해수부 부산 이전이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한다고 세종 행정 도시를 완성하는 데 역행하거나 국가 균형 발전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이전해 해수부를 거점으로 북극항로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고 선도한다면 부산으로 오는 것이 1천,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전 후보자는 "얼음이 녹고 있고 새로운 바닷길, 새로운 뱃길이 열리고 있다"면서 "북극항로를 둘러싸고 세계 각국이 경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극항로는 엄청난 유라시아 물류 혁명의 시발이 될 것"이라면서 "우리가 선도하지 못하면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에 빼앗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 후보자는 북극항로 시대에 대응하는 것 외에도 수도권 중심 일극 체제를 극복해야 한다는 점을 해수부 부산 이전의 이유로 들었다.
그는 "제가 가장 중점을 둘 것은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겠다는 것인데 여수, 광양, 부산, 울산, 경남을 거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권역이 북극항로의 직간접적인 영향권"이라면서 "북극항로 시대를 잘 준비하면 한반도 남단에 또 다른 수도권을 만들어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엔진을 하나 더 장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에 드는 직접 비용은 200억∼300억원이라고 추정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의 기능 강화도 필요하다면서 "산업통상자원부에 공무원 10명이 있는 조선·해양플랜트과를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부산 이전에 대한 해수부 공무원들의 우려와 관련해서는 "부처 이전 사례를 보고 정부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공직자 정주 여건, 교육, 주택 문제를 챙기고 있다"면서 "부산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실무 협의를 통해 주택 문제도 해소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가면 우수 인재가 해수부를 기피할 것이란 우려가 상당한 것을 안다"면서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문회 참고인으로 출석한 이상국 전국공무원노동조합 해수부 지부장은 "가정과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옮겨야 한다는 현실에 부담이 크다"면서 "교통비나 교육, 주거와 배우자 직장 등이 해결되면 충분히 갈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2025.7.14 pdj6635@yna.co.kr
전 후보자는 야당 의원들이 해양수산 관련 전문성이 없다고 지적하자 "저는 부산 사람이고 부산을 지역구로 하는 국회의원"이라면서 "부산에선 바다를 떠나선 정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열심히 공부하고 소통하겠다"고 덧붙였다.
전 후보자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에 출마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도 여러 차례 나왔다.
이에 전 후보자는 "지금 내년 부산시장 선거 출마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
제가 장관이 된다면 해야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면서도 "사람이 내일 일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단정적으로 말하겠나"라고 답했다.
전 후보자는 수산 전담 차관을 도입해 복수 차관제로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전적으로 동감한다"면서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면 수산업이 소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많은 것으로 안다.
이런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수산 전담 차관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중국의 서해 구조물 설치에 대해서는 비례 대응 원칙을 제시하면서 "외교부, 국방부, 해수부가 잘 협의해 원만히 해결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y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