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5.07.15 11:10:36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원자력발전소 해체, 전선, 백신여권, 면역항암제, 종합 물류, 전력설비, 항공기부품, 셰일가스(Shale Gas),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원자력발전, 비만치료제, 줄기세포, 조선, 캐릭터상품, SI(시스템통합),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미용기기, 온디바이스 AI, 유전자 치료제/분석, 건강기능식품, 사물인터넷 등... |
약세 테마 | 마이데이터, 스테이블코인, STO(토큰증권 발행), 손해보험, 지역화폐, 두나무(Dunamu), 전자결제(전자화폐), 야놀자(Yanolja), 강관업체(Steel pipe), 카카오뱅크(kakao BANK), 창투사, 골프, 인터넷은행, 생명보험, 밥솥,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육계, NFT(대체불가토큰), 핀테크(FinTech), 홈쇼핑, 수산, 보안주(물리), 남-북-러 가스관사업,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자동차 대표주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전력설비/ 전선 | 메타,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 발표 및 새정부 에너지 정책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 AI(인공지능) 인프라 수요 확대 등의 이슈 속에서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인공지능(AI)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 최고경영자(CEO)가 AI 인재를 대거 영입한 데 이어 14일(현지시간) 대규모 데이터 센터 건설 계획을 밝혔음. 저커버그는 소셜미디어(SNS) 플랫폼 스레드를 통해 "첫 번째 데이터 센터는 '프로메테우스'로, 2026년 가동될 예정"이라며 현재 구축 중인 데이터 센터를 기가와트(GW)급 규모의 '클러스터'라고 설명했음. 이어 "여러 개의 더 큰 '타이탄 클러스터'도 건설하고 있다"며, "이 중 하나만으로도 맨해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규모"라고 강조했음. 두 번째 클러스터인 '하이페리온'(Hyperion)은 앞으로 몇 년 안에 최대 5기가와트 규모로 확장이 가능하다고도 덧붙였음. ▷아울러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14일부터 3일간 호남에서 강원으로 이어지는 주요 전력설비 건설현장을 방문해 전력망 구축 현장을 점검했음. 이번 현장 점검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RE100 이행 기반 마련’ 등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주요 송변전 설비 건설·운영 현장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으로 전해짐. 김동철 사장은 "전력망 건설은 친환경 재생에너지 대전환과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뒷받침하는 전략적 기반이자 실행의 중심축"이라며, "건설 혁신,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망 건설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금일 제일일렉트릭, 일진전기, 지엔씨에너지,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산일전기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상승. | |
원자력발전 | SMR 및 대형원전 등 원전 사업 수주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은 원전 산업 재건을 위해 SMR과 대형원전이라는 투 트랙 전략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며, SMR, 대형원전 모두 빠른 실행이 가능한 것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그 외 영역은 제도 개편과 기반 정비를 병행하며 중장기적으로 가는 이중 구조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 대형원전은 시장별로 전략이 다르다며, 해외에서는 루마니아·불가리아 등에서 수출형 원전 프로젝트 수주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는 세제 혜택과 인허가 개편을 통해 향후 착공을 위한 기반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주식시장은 이제 막연한 기대를 넘어 원전 관련 기업들에게 구체적인 성과를 요구하고 있다며, 투자자 입장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미국의 원전 전략 중에서도 단기적으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밝힘. 이는 실제 착공이 임박한 3.5세대 SMR의 진행 과정과, 수주 일정이 가시화되고 있는 미국의 대형원전 유럽 수출에 우선 주목해야하는 이유라고 설명. ▷특히, 현대건설은 미국의 단기 원전 정책과 상당히 연관성이 높다며, 6개월에서 1년 내에 SMR과 대형원전 모두에서 성과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두산에너빌리티의 경우 웨스팅하우스의 유럽 수주와 SMR개발사인 NuScale의 루마니아 FID 확정이 중요하며, 삼성물산 역시 NuScale의 루마니아 프로젝트 FEED 2단계를 Fluor 등과 수행 중이므로 NuScale의 루마니아 프로젝트 경과에 따라서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현대건설, 에너토크, 태웅, 비에이치아이, 두산에너빌리티, 한신기계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폴란드 2차 납품 및 추가 수주 파이프라인 기대감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풍산에 대해 작년 폴란드 1차 물량으로 방산 영업이익은 2,528억원을 달성(OPM 32%)했다며, 올해는 1차 물량이 대부분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탄 수요로 견조한 영업이익이 전망(25년 방산 영업이익 1,819억원/OPM 34%)된다고 밝힘. 나아가 풍산이 100% 지분을 들고 있는 풍산FNS가 제2공장을 7월 착공하면서 지속되는 방산 수요를 입증하고 있다고 설명. 또한, 26년, 27년부터 본격적으로 폴란드 2차 물량 납품과 더불어 한국 방산업체들의 추가 수주 파이프라인도 기대되는 가운데, 이에 따른 풍산 실적의 구조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밝힘. ▷전일 한화투자증권은 현대로템에 대해 폴란드 K2 전차 공급사업 2차 실행계약과 관련한 협상이 드디어 완료됐다며, 계약금액은 65억 달러(약 9조원)에 달해 방산 단일 수출 역사상 최대 규모라고 밝힘. 아울러 2차 계약에 K2PL 물량이 포함된 것이 주는 의미는 크게 2가지를 둘 수 있다며, 폴란드 현지 생산 거점을 구축했기 때문에 기본계약 1,000대의 나머지 물량(640대)에 대한 후속 실행 계약이 이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설명. 이어 향후 슬로바키아 등 폴란드 주변국에 K2PL 모델을 세일즈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이에 폴란드 후속 실행계약 외에도 전차 수출 지역의 확대 가능성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힘. ▷이에 금일 코츠테크놀로지, 풍산, 아이쓰리시스템, 엠앤씨솔루션, 풍산홀딩스, LIG넥스원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 |
면역항암제 | 신약 개발 성과 가시화 기대감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에서 많이 발생하는 희소 혈액암을 국내 면역항암 신약이 정복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환자가 적어 글로벌 제약사들이 외면했는데, 최근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잇따라 신약 개발에 나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희소 혈액암인 ‘NK(자연살해)-T세포 림프종’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 질환은 아직표준 치료법이 없고, 2년 내 재발률이 80%에 달할 정도로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음. 국내에서 치료제 개발이 가장 앞서 있는 곳은 보령의 자회사인 바이젠셀로, 바이젠셀의 면역항암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VT-EBV-N’은 2019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이어 2023년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희귀 의약품 지정을 받은 바 있음. 2023년9월 임상 2상 시험에서 환자 48명에 VT-EBV-N 투약을 마치고, 현재 2년 동안 환자들의 경과를 관찰하고 있으며, 오는 9월 임상 2상 결과가 나오면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예정. ▷유한양행의 자회사인 이뮨온시아도 면역항암 신약인 ‘IMC-001’을 개발 중이며, 최근 공개한 임상 2상 중간 결과에서 암이 줄어든 환자의 비율인 객관적 반응률(ORR)이 79%로, 중국의 씨젬리(46.2%)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이면서 주목을 받은 바 있음. 이 밖에 유틸렉스는 ‘앱비앤티’의 임상 2상, GC녹십자 계열사 지씨셀은 지난 3월 면역항암제 ‘GCC2005’의 1상 투약을 시작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바이젠셀, 에이비엘바이오, 압타바이오, 이뮨온시아, 앱클론 등 면역항암제 테마가 상승.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15 15:30
제일일렉트릭 | 11,430 | 830 | +7.83%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