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피하려 은행 갔었는데…” 은행 점포 급감에 무더위 쉼터도 1000개 증발
김정환 기자(flame@mk.co.kr)
입력 : 2025.07.15 14:05:26 I 수정 : 2025.07.15 16:46:25
입력 : 2025.07.15 14:05:26 I 수정 : 2025.07.15 16:46:25
폭염에 드러난 디지털금융 그림자
비대면 영업확산에 은행 점포 축소
취약계층 복지 현장인 쉼터도 줄어
금융위, 상호저축 등 쉼터 대안 확보
구조적인 점포 감소세는 지속될듯
비대면 영업확산에 은행 점포 축소
취약계층 복지 현장인 쉼터도 줄어
금융위, 상호저축 등 쉼터 대안 확보
구조적인 점포 감소세는 지속될듯

무더위 쉼터가 자리잡기 시작한 2018년 이후 은행권 무더위 쉼터는 1000여개 줄었다. 폭염 속 더위를 식힐 쉼터와 오프라인 점포가 동시에 줄며 금융 소외계층 고충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은행에 이어 상호금융과 저축은행권도 올해 무더위 쉼터를 대폭 확대한다”며 “현재 9600여개인 금융권 무더위 쉼터가 1만4000개 수준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이날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과 조용병 전국은행연합회장, 정진완 우리은행장은 서울에 있는 우리은행 동소문 시니어플러스 영업점을 방문해 무더위 쉼터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금융 당국은 누구나 점포를 방문해 편히 쉬어갈 수 있도록 배려해줄 것을 금융권에 요청했다.
현재 은행은 전국에 5054곳, 새마을금고·농협을 비롯한 상호금융은 4595곳의 무더위 쉼터를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 상호금융은 무더위 쉼터를 8667곳으로 그동안 쉼터 도입이 미미했던 저축은행은 246곳까지 늘린다.
무더위 쉼터는 통상 오전 9시~오후 4시까지인 지점 영업시간에 이용이 가능하다.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 중순부터 8월말까지 운영하되 주요 은행과 상호금융은 9월말까지 연장 운영할 계획이다.
이에 앞선 10일 이재명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관련해 취약 계층이 고통을 겪지 않도록 가능한 대책들을 신속하게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 취약계층 사각지대 메우기 과제
정부 “우체국 등 은행대리업 확대해 대응”
문제는 구조적으로 금융 취약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은행이 줄고 있다는 점이다. 일단 은행권에서 상호금융으로 도입 업권을 확대해 쉼터는 늘렸지만 디지털금융 확산에 오프라인 점포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정부 “우체국 등 은행대리업 확대해 대응”
금융권 무더위 쉼터 제도가 도입된 것은 2018년 7월부터다.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는 금융위에 고령층을 위한 무더위 쉼터로 은행 점포를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전국 316곳에서 자율적으로 운영됐던 은행권 무더위 쉼터는 전국 6000여곳으로 확대 운영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비대면 영업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금융이 대두되면서 일선 점포는 빠르게 자취를 감추고 있다.
너무 작아 쉼터로 운영할 수 없는 점포를 빼면 올해 은행이 무더위 점포로 운영 중인 영업점은 모두 5054곳이다. 무더위 쉼터 제도가 전국으로 확산된 후 7년여만에 쉼터로 활용되는 은행 점포는 1000여곳이 사라졌다. 지역 복지의 한축인 점포 기능이 점차 감퇴해가고 있는 것이다.
금융권에선 폭염 쉼터 대책 이면에 있는 디지털금융 소외 계층에 대한 대책을 치밀하게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연내 은행법을 개정해 우체국이나 상호금융에서도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은행 대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지만, 좀처럼 입법에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일단 은행 대리업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해 시범 운영하는 방식으로 우회로를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