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민 카이아재단 의장과 김우석 라인넥스트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에서 "아직 초기 단계에서 논의하고 있지만 카카오·라인과의 강력한 협력 관계로 한국인에게 친숙한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스트럭처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이아는 네이버 관계사인 라인이 개발한 핀시아와 카카오의 클레이튼이 통합되며 탄생한 가상자산 프로젝트다. 카이아의 이사회 격인 카이아 거버넌스 카운슬에는 카카오, 카카오페이, 라인넥스트, 바이낸스, 넷마블 등이 참여하고 있다.
카이아는 최근 금융 플랫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와 발행 계약을 맺은 게 대표적이다.
서 의장은 "테더가 카이아에 기대하는 건 아시아에서의 USDT 확산"이라며 "카이아 체인과 라인의 강력한 협력 관계에서 테더가 가능성을 본 것"이라고 말했다.
김 CSO도 "카이아는 테더 외에도 아시아의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을 유통시키는 게 목적"이라고 했다.
서 의장은 최근 뜨거운 원화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은행과 민간 협력모델을 제안했다. 그는 "은행 스테이블코인은 신뢰는 있어도 창의성이 부족할 것"이라며 "기술은 민간이 개발하고 자금세탁 방지 등은 은행이 하는 모델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 최고의 인프라 블록체인을 목표로 하는 카이아에 스테이블코인 확산은 기회다. 서 의장은 "한국의 규제나 기관들 입장을 해외 팀에 비해 잘 이해하기 때문에 규제 준수 측면에서 앞서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