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은 현대엘리 회장... 2천억 대출로 배상금 완납
조윤희 기자(choyh@mk.co.kr), 서진우 기자(jwsuh@mk.co.kr)
입력 : 2023.04.13 16:39:02 I 수정 : 2023.04.13 16:51:25
입력 : 2023.04.13 16:39:02 I 수정 : 2023.04.13 16:51:25
엠캐피탈서 대출 실행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 회장은 직접 보유 중인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등을 담보로 엠캐피탈로부터 2000억원대 단기 대출(브릿지론)을 받기로 했다. 현 회장은 대출로 확보한 자금으로 기존 주식 담보대출을 상환하고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배상금을 완납했다. 지난달 대법원은 쉰들러홀딩스가 현 회장과 한상호 전 현대엘리베이터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현 회장은 현대엘리베이터에 1700억원을 지급하라”고 판단한 원심을 확정한 바 있다.
이날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달 30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손해배상 주주대표 소송 대법원 판결에 따른 배상금 1700억원과 지연 이자를 포함한 채권 전액을 모두 회수했다”고 밝혔다. 현 회장은 2019년 이미 납부한 선수금 1000억원을 비롯해 지난 6일 현대무벡스 주식 2475만주(약 863억원)의 대물 변제, 현금 등의 방식으로 2000억원대 채권 전액을 완납했다.
이번 추가 대출로 현대엘리베이터 2대 주주이자 글로벌 승강기 업체인 쉰들러홀딩스의 공격을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쉰들러 측은 현 회장에 대한 강제집행 절차에 들어가며 압박에 나섰다. 쉰들러 측 법률대리인은 지난 5일 현 회장 등에 대한 집행문 부여를 대법원에 신청했다. 집행문은 강제집행을 알리는 문서로, 이를 받으면 현 회장의 재산을 압류하고 매각할 수 있다. 쉰들러는 현대엘리베이터 지분을 15.5% 보유하고 있다.
이가운데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12일 총 12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에 나섰다. 공모 회사채 발행에 나선 것은 지난 2020년 6월 이후 3년 만이다.
현대엘리베이터 측은 “적극적이고 신속한 절차를 통해 단기간 안에 채권 전액 회수를 완료했다”며 “지난해 선포한 ‘비전 2030 매출 5조원 글로벌 톱5’를 달성하기 위해 품질과 서비스 향상, 안전 강화, 해외 시장 확대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현대엘리베이터 | 78,700 | 5,700 | -6.75%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AI 시대인데 많이 올랐어도 믿어야”…‘이 업종’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는
-
2
"폭염, 우유 생산량 최대 10% 감소시켜…냉각장치 효과 제한적"
-
3
주유소 기름값 3주 연속 상승…"다음 주부터 하락 전망"
-
4
“원전 뜬다고 특정기업 몰빵했다간”…위험 분산·세혜택 챙기려면 ETF
-
5
[부동산캘린더] 내주 전국 8천845가구 분양…전주보다 2천370가구↑
-
6
올트먼 오픈AI CEO, 민주당 비판하며 "소속감 느끼는 정당 없어"
-
7
강원 낮 최고 35도 무더위…내륙·산지 흐리고 빗방울
-
8
“외국인 韓부동산 사려면 자기자본 절반·국내 체류 1년 이상”…野, 개정안 발의
-
9
무한 경쟁에 공공성 약화한 TV홈쇼핑…"블랙아웃 가능성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