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3) - 특징 테마
입력 : 2023.04.18 17:15:17
제목 : 증시요약(3) -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中 소매판매·GDP 예상치 상회, 리오프닝 효과 가시화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 카지노, 화장품, 면세점, 여행, 국내 상장 중국기업 등 중국 리오프닝 관련 테마 상승. ▷삼성SDI, 6세대 각형 배터리 공개 예정 및 LG화학 1.2조원 투자 새만금 전구체 공장 건설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삼성SDI, 中 '오토 상하이 2023'서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 공개 예정 소식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SK그룹 북미 전기차 충전사업 대폭 강화 소식 등에 일부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엠폭스 환자 연일 발생 속 일부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머크-모더나 개발 암 백신, 중간임상실험서 효과 입증 소식에 모더나(MODERNA) 테마 상승. ▷지난주 실적 발표 JP모건, 씨티, 웰스파고 등 美 대형 은행 및 지난밤 찰스 슈왑 및 M&T뱅크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속 은행, 생명보험/손해보험 등 금융 테마 상승. ▷이 외에 비료, 타이어,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밥솥, 마리화나(대마), 리튬, mRNA(메신저 리보핵산), 탈모 치료, 그래핀, PCB(FPCB 등), 소매유통, 철강 주요종목, 종합 물류, 해운, 전력설비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국제유가 급락에 LPG(액화석유가스)/ 정유 테마 하락. ▷현대차·기아 美 전기차 보조금 대상 제외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 테마 하락. ▷반도체 업황 부진 속 TSMC 설비투자 삭감 우려 등에 반도체 테마 하락. ▷주요 음식료 업체 1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 전망 등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하락. ▷尹 대통령의 4대강 보 활용 방안 강구 발언 속 전일 상승했던 4대강 복원 테마 하락. ▷비트코인 가격 3만 달러 하회 속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 하락. ▷이 외에 LED장비, 셰일가스, 원자력발전, AI 챗봇(챗GPT 등), 면역항암제, DMZ 평화공원, 광고, 인터넷 대표주,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 조림사업, 모듈러주택, NI(네트워크통합)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중국 리오프닝 관련주 | 中 소매판매·GDP 예상치 상회, 리오프닝 효과 가시화 등에 상승 |
▷중국 국가통계국은 3월 소매판매가 전년동월대비 10.6% 증가했다고 발표. 이는 전월 3.5%, 시장 전망치 7.4%를 모두 상회한 수치임. 중국의 월간 소매판매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보인 것은 2021년 6월 12.1% 이후 처음임. 주목할 점은 금·은·보석류가 13.6% 상승하고, 의류 9.0%, 담배·술 6.8%, 화장품 5.9%, 스포츠용품 5.8% 등도 소비자들이 많이 찾았다고 전해짐. ▷또한, 중국의 1분기 GDP는 전년동기대비 4.5% 증가한 28조4,997억 위안(약 5,460조원)을 기록했다고 발표.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달 양회를 계기로 발표한 올해 연간 성장률 목표치인 '5.0% 안팎'에 못미치나 시장전망치 3.8% 내외와 로이터통신의 자체 조사 전망치(약 4.0%)보다는 다소 높은 수치임. ▷한화투자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리오프닝을 맞이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 화장품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중국 수요 회복은 1분기까지는 미진했지만 2022년 12월~2023년1월과 2023년 2월~3월 분위기가 상반되며, 개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 이에 화장품 섹터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할 시기라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롯데관광개발, 티웨이홀딩스, 에어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등 여행/항공/저가 항공사(LCC)/카지노/면세점 테마 및 콜마비앤에이치, 코스메카코리아, CSA 코스믹, LG생활건강, 에이블씨엔씨, 아모레퍼시픽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크리스탈신소재, 헝셩그룹, 글로벌에스엠, 이스트아시아홀딩스 등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도 상승. 한편, 헝셩그룹, 크리스탈신소재는 전일 장 마감 후 감사의견 적정 감사보고서 제출. | |
2차전지 | 삼성SDI, 6세대 각형 배터리 공개 예정 및 LG화학 1.2조원 투자 새만금 전구체 공장 건설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
▷삼성SDI가 언론을 통해 18~27일 중국 상하이 국립전시센터에서 열리는 '오토 상하이 2023'에 참가해 중국 시장을 겨냥한 초격차 배터리 기술을 선보인다고 밝힘. 삼성SDI는 우선 하이니켈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배터리와 와 독자 특허의 실리콘 소재인 SCN 기술로 고에너지밀도와 급속충전 성능을 구현한 6세대 각형 배터리(P6) 등 다양한 전기차 배터리를 전시할 예정. P6은 양극재 니켈 비중을 91%로 높이고 음극재에 실리콘 소재를 적용해 기존 5세대 각형 배터리(P5) 대비 에너지 밀도를 10% 이상 높인 제품임. 또한, 삼성SDI는 46 파이 원통형 배터리 실물도 선보일 예정. 특히, 2027년 양산을 앞둔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도 소개하며, 삼성SDI는 수원 연구소 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상반기 안으로 준공하고 시제품을 생산할 계획임. ▷언론에 따르면, LG화학이 중국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전구체 공장을 건설하기로 하면서 새만금이 2차전지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고 전해짐. 전일 LG화학은 오는 19일 유관기관들과 전라북도 군산시 베스트웨스턴 호텔에서 전구체 공장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밝힘. 합작사 설립을 추진 중인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이번 협약으로 2028년까지 총 1조 2,0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산단 6공구에 전구체 공장을 단계적으로 건설할 예정. 올해 착공을 목표로 2026년까지 1차로 5만톤의 양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임. ▷이 같은 소식 속 에코프로, 윤성에프앤씨, 글로벌에스엠, 초록뱀이앤엠, 탑머티리얼, 엘앤에프, 피엔티, 삼성SDI 등 2차전지 테마가 상승. 삼성SDI, 中 '오토 상하이 2023'서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 공개 예정 소식 등에 티에스아이, 한농화성, 씨아이에스, 이수화학, 레몬 등 2차전지(전고체) 테마도 상승. | |
전기차(충전소/충전기) | SK그룹 북미 전기차 충전사업 대폭 강화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SK그룹이 미국 전기차 보급 확대에 맞춰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고 전해짐. 최근 SK그룹은 SK E&S의 북미 투자법인 패스키를 통해 에버차지 지분을 91.37%로 늘렸으며, 여기에 투자한 금액은 누적 3,381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짐. SK그룹은 충전사업자 에버차지와 충전기 생산기업 SK시그넷 두 축을 중심으로 전기차 충전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라고 알려짐. ▷에버차지는 2013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창업한 전기차 충전 관련 기업으로 전기차 충전기 생산부터 충전소 설치, 운영까지 포괄적인 사업을 북미에서 벌이고 있음.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에버차지는 미국 렌터카 업체 에이비스 등과 협업해 충전 인프라를 구축 중"으로 "SK시그넷은 커지는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올 6월부터 미국에서 충전기 생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윌링스, 아이엘사이언스, 와이투솔루션, 디스플레이텍 등 일부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가 상승. | |
엠폭스(원숭이두창) | 엠폭스 환자 연일 발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금일 질병관리청은 엠폭스 확진 환자 3명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힘. 이에 국내 누적 확진자수는 16명으로 늘어났음. 방역당국은 3명의 환자가 최초 증상 발현 3주 이내에 해외 여행력이 없어 국내에서의 위험노출력 등 감염경로와 접촉자에 대한 상세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엠폭스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는 의료진 및 대국민 대상 신고 독려를 통한 신속 진단에 따른 것"이라며, "과도한 불안보다는 감염예방수칙 준수와 의심증상 발생 시 신속히 신고해달라"고 당부했음. ▷이 같은 소식 속 금일 블레이드 Ent, 진매트릭스, 바디텍메드 등 일부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가 상승. | |
모더나(MODERNA) | 머크-모더나 개발 암 백신, 중간임상실험서 효과 입증 소식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회사인 머크와 모더나가 개발한 암 백신이 중간임상실험에서 효과를 거둔 것으로 전해짐. 1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머크와 모더나가 고위험 흑색종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암 백신에 대한 임상2상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암 백신과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를 함께 처방받은 환자의 79%는 18개월 뒤 암세포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암 재발 방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음. 실험 2년 뒤 재발 여부를 확인한 결과, 키트루다와 암백신을 함께 맞은 22%는 암이 재발하거나 사망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키트루다만 처방받은 이들 중에선 40%가 재발 또는 사망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모더나향 매출 비중이 높은 소마젠을 중심으로 엔투텍, 에이비프로바이오 등 일부 모더나(MODERNA) 테마가 상승. | |
LPG(액화석유가스)/ 정유 | 국제유가 급락에 하락 |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中 경제 지표 대기 속 경기 침체 우려 등에 급락했음. 18일(중국시간) 中 1분기 GDP, 3월 소매판매 등 글로벌 주요 경제 지표가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시장에서는 견조한 美 경제지표로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는 경기침체와 원유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이에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69달러(-2.05%) 하락한 80.83달러에 거래 마감. ▷이 같은 소식에 중앙에너비스, 대성산업, 극동 유화, 흥구석유, S-Oil, SK이노베이션 등 LPG(액화석유가스)/정유 테마가 하락. | |
자동차 대표주 | 현대차·기아 美 전기차 보조금 대상 제외 소식 등에 하락 |
▷美 정부는 전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 지침에 따라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16개 전기차(하위 모델 포함 22개) 대상 차종을 발표했음. 기존에는 북미산 조립 요건만 맞추면 보조금 대상이었지만 올해는 엄격해진 배터리 요건을 맞춰야만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대상 차종이 크게 줄어들었음. 이에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는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명단에 포함되지 못하게 됐음. 특히, 앨라배마 공장에서 조립되는 현대차 GV70의 경우 세부 요건 발표 이전에는 보조금을 받았지만 이번에는 제외됐음.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위아, 기아, 현대차, HL만도, 한온시스템 등 자동차 대표주 테마가 하락. | |
반도체 관련주 | 반도체 업황 부진 속 TSMC 설비투자 삭감 우려 등에 하락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반도체 경기 둔화, 미국의 중국 제재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TSMC의 설비투자 삭감 루머까지 흘러나오며 반도체 장비업체들의 매출 급감 우려가 커지고 있음. 대만 IT매체 디지타임스는 세계 10대 반도체 장비 업체 중 다수 업체가 2024년 사업 전망을 보수적으로 전환하면서 인력, 마케팅 등 비용 절감에 나섰다고 보도. 특히, 슈퍼 '을'로 불리는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이 최근 중국 판매 제한, 메모리·파운드리 고객의 CAPEX 삭감, 주문 축소로 인해 내년 실적 하락 압박이 커질 것으로 분석했음. ▷이와 관련, 최대 고객사인 TSMC가 이미 주문한 EUV 장비 수량 중 40%를 삭감하거나 납품기한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는 루머가 있다고 보도했으며, 이에 TSMC는 시장 루머에 대한 논평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전일 관세청이 발표한 '3월 수출입 현황(확정치)'에 따르면, 반도체 수출이 전년동월대비 33.8% 급감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금일 DB하이텍, SK하이닉스, 에프에스티, 티에프이, 에스앤에스텍, 예스티, 유니테스트, 테스, 주성엔지니어링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0 15:30
롯데관광개발 | 8,740 | 70 | -0.7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