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고 싶은 회사요? 없어요”…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넘게 백수

이희조 기자(love@mk.co.kr)

입력 : 2024.10.01 13:56:14 I 수정 : 2024.10.01 14:05:06
구직 6개월 넘긴 실업자
1999년 이후 최대 규모
2030 청년이 절반 이상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에서 직원이 일정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 출처=연합뉴스]
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 년 넘게 구직활동을 했음에도 일을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가장 컸다. 장기 실업자의 증가는 청년층이 주도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실업자 수는 56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이들은 11만3000명으로 20%를 차지했다. 이는 전(全)월 기준으로 외환위기 여파가 있었던 1999년 8월(20.1%) 이후 2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며 10만명을 웃돌다가 감소로 전환한 뒤 대체로 10만명을 밑돌았다. 장기 실업자 수는 올해 3월부터 지난 8월까지 6개월 연속 증가했다.

장기 실업자의 증가는 취업 준비생들이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8월 기준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 중 이전에 직장을 그만둔 사유가 ‘시간·보수 등의 작업여건 불만족’인 비율은 24.7%였다.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26.4%)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직장생활 1년을 넘기지 않은 장기 실업자의 이전 직장을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18.9%), 제조업(15.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7%)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이전 직장을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44.8%), 임시근로자(36.3%), 일용근로자(13.3%) 등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장기 실업자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올해 들어 8월까지 장기 실업자는 월평균 9만858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448명 늘어난 규모다.

15∼29세 청년층이 2만9442명(32.4%)으로 가장 많았다. 30대가 2만1177명(23.3%)으로 뒤를 이었다. 장기 실업자의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인 것이다.

장기 실업자의 증가 폭도 청년층에서 두드러졌다. 1∼8월 청년층 장기실업자는 지난해보다 4854명 늘면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장기 실업자 전체 증가분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다. 전체 장기 실업자 가운데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30.6%에서 32.4%로 확대됐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장기 ‘쉬었음’ 청년도 올해 들어 느는 추세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집에서 쉰 청년은 5월 기준 2021년 9만6000명에서 2022년 8만4000명, 2023년 8만명으로 계속 감소하다가 올해 8만2000명으로 늘며 증가로 바뀌었다. 청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올해 5월 이후 4개월째 매달 전년 동월 대비 0.2∼0.8%포인트씩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10.01 18:3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