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서 학계 보고 안 된 날개응애류 2종 발견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울릉도·독도에 동식물 661종 서식"
조승한
입력 : 2023.04.25 12:00:11
입력 : 2023.04.25 12:00:11

(서울=연합뉴스) 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수목원은 경북 울릉군 태하령에서 날개응애류 신종후보종 2종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왼쪽이 Cultroribula sp.nov., 오른쪽은 Humerobates sp.nov.[국립중앙과학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울릉도에서 학계에 보고된 적 없는 날개응애류 2종이 발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과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원기관과 공동으로 추진한 2022년 공동학술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북도 울릉군 일대의 생물다양성'을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기관연합은 중앙과학관 등 국내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국립 및 공사립 기관 61곳이 참여한 연합체다.
매년 공동학술조사를 진행해 전국 10개 권역의 장기적 생물다양성 변화상을 조사한다.

[국립중앙과학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보고서에는 지난해 5월과 8월 울릉도·독도 일대에서 진행한 조사 결과가 담겼다.
조사에는 22개 기관 전문가 108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이 일대에는 곤충 259종, 식물 216종, 조류 74종, 어류 10종, 버섯 50종, 해양생물 144종, 거미 및 날개응애류 107종 등 동·식물 661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울릉도 태하령에서 날개응애류 신종후보종 2종과 한국미기록종 6종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날개응애류는 거미강 날개응애목 동물로 유기물과 곰팡이, 선충류 등 작은 동물이나 사체를 먹어 토양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국립중앙과학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버섯 중에는 갈색자루접시버섯, 배꼽컴주발버섯, 흰갈대버섯, 혓바늘목 등 20종이 처음으로 울릉도에서 관찰됐다.
어류는 참갈겨니와 검정꾹저구 등 울릉도에서 보고된 적 없던 종이 발견됐다.
참갈겨니는 앞서 미꾸리, 동사리처럼 내륙에서 인위적으로 유입된 종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국립중앙과학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기관연합은 26~27일 국립대구과학관에서 총회를 열어 조사 성과를 평가하고, 포스터 발표를 통해 연구를 공개할 예정이다.
또 새롭게 발견된 날개응애류는 상반기 중 국제학술지를 통해 발표하기로 했다.
이석래 중앙과학관 관장은 "이번 공동학술조사를 통해 한반도 및 울릉도·독도 일대의 분류, 계통 및 생물지리학적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주기적인 조사·관찰을 통해 생물상 변화 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립중앙과학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hj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수박 배추 닭고기 계란 안오르는 게 없어요”...펄펄 끓는 폭염, 더 뜨거운 식탁물가
-
2
술병에 박제된 염소·사슴·두꺼비…주류 브랜드에 동물이 깃든 까닭
-
3
태백시, 고령자·저시력자 '큰 글씨 지방세 고지서' 도입
-
4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원 돌파…공매도 재개 이후 최고
-
5
심장 수술한 부친 퇴원 직후 아파트 증여 계약…법원 "무효"
-
6
순창군, 관광플랫폼 쿠폰집 출시…할인·선물 혜택
-
7
정부,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확대…4개 은행 추가 선정
-
8
[시승기] 하이브리드로 돌아온 KGM 액티언…경쾌 주행·부드러운 승차감
-
9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10
농관원, 휴가철 축산물 원산지 표시 현황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