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금리가 美 경제 발목 잡았다…1분기 성장률 1.1% 그쳐(종합)
기업·부동산 투자 감소 여파로 시장 전망치 하회…소비지출이 성장세 지탱소비 둔화 조짐에 은행위기로 경기침체 가능성↑…스태그플레이션 염려도
강건택
입력 : 2023.04.27 22:25:41
입력 : 2023.04.27 22:25:41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높은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미국 경제의 발목을 잡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무부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1.1%로 집계됐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로써 미 경제는 3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으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0%)를 크게 하회했다.
직전 분기였던 지난해 4분기(2.6%)보다도 성장률이 크게 내려갔다.
미국의 성장 속도가 느려진 것은 주로 민간 기업들과 부동산 부문의 투자 감소 때문이다.
이 2가지 요소는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지적했다.
특히 민간 기업들이 투자와 생산을 줄인 것이 전체 GDP를 2.3%포인트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난 1년간 기준금리를 거의 5%포인트 끌어올린 것이 경제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 홈페이지 캡처]
그나마 플러스 성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소비자들의 힘이다.
지난 분기 미국인들의 소비 지출은 전 분기보다 3.7% 증가해 경제 성장을 견인했다.
소비 지출 증가폭이 지난해 4분기(1%)보다 훨씬 커졌다.
미국의 소비자들이 강력한 노동시장과 임금 상승 덕분에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지갑을 더 활짝 열었다는 이야기다.
수출도 4.8% 증가해 수입 증가폭(2.9%)을 웃돌았다.
수입 증가는 미국 GDP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그러나 최근까지 미 경제를 지탱한 소비자들의 지출이 분기 말로 갈수록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 향후 경기침체 우려를 짙게 한다.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연초까지 과열 양상을 보이던 노동시장 역시 최근 기업들의 잇따른 대규모 정리해고와 중소 지역은행 붕괴 사태로 흔들리는 조짐을 보인다.
지난달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 후 잠잠해지는 듯했던 은행 위기설이 최근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을 중심으로 재점화한 것도 불안 요소다.
이런 가운데 연준이 주로 참고하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와 근원 PCE 가격지수는 1분기에 각각 4.4%, 4.9% 올라 직전 분기(PCE 3.7%, 근원 PCE 4.4%)보다 상승폭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황 속에 물가는 계속 오르는 1970∼1980년대식 스태그플레이션과 비슷한 조짐이라고 CNBC방송은 진단했다.
firstcircl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트럼프 관세 막으려 비장의 카드 꺼낸다”…농산물 빗장 결국 푸나
-
3
“이런 날씨에선 산업재해 40% 늘어날 수도”...‘1도의 가격’ 저자의 경고
-
4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6
[우분투칼럼] 민주콩고 M23 반군의 동부 장악…한국의 핵심광물 확보전략
-
7
스맥, 최대주주가 (주)SNT홀딩스 외 1인으로 변경
-
8
AI기업 윈드서프, 오픈AI의 인수무산 뒤 경쟁사 코그니션 품으로
-
9
브라질 '항전 태세'·멕시코 '협상 총력'…對美관세대응 승자는(종합)
-
10
수박, 전통시장서 평균 3만원 돌파…열흘새 5천원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