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20년 만에 금리 최대폭 10%P 인상…81→91%로
올해 들어 3번째…불과 일주일 만에 또 대폭으로 올려천정부지로 오른 달러 환율 억제하기 위한 고육지책
김선정
입력 : 2023.04.28 07:28:04
입력 : 2023.04.28 07:28:04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부에노스아이레스=연합뉴스) 김선정 통신원 =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2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연 81%에서 91%로 10% 포인트 대폭 인상했다.
이는 2002년 후 20년 만의 최대 폭 인상으로, 3% 포인트를 인상한 지 일주일 만에 올해 3번째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이로써 아르헨티나의 실효율이자율은 연 119.4%에서 141%가 됐다.
이번 중앙은행 이사회의 결정은 단순 역대급 인상 폭만이 아니라 그 시기가 매우 짧았다는 점이 이례적이다.
이는 지난주에 시작된 외환시장의 패닉의 결과이자, 환율 방어적 성격이 짙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2023년 물가상승률이 최소 120%로 전망되고 있는 데다가 오는 10월 대선을 앞두고 경제 불안감이 가중되는 상황이어서 기준금리 91%는 충분치 않아 보인다는 의견도 대두되고 있다.
엠피리아사의 후안 레안드로 파올리키 경제학자는 일간지 라나시온에 "경제 안정화 프로그램 없이 (경제위기)해결책은 없으며, 현 상황에서 외환 규제가 있건 없건 외환시장의 패닉을 막을 수 있는 금리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를 위해선 재정적자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지난번 3% 포인트 금리 인상은 너무 낮았고 이번 10% 포인트 인상은 최대치이지만 외환시장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을 만큼 강력한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성명을 통해 "통화당국의 결정은 현지 통화 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실질 수익을 지양하고, 통화 및 금융 안정성을 유지한다는 목표를 기반에 두고 있다"고 이번 금리 인상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강력한 금리인상, 중국산 제품 수입대급 위안화 결제, 국제통화기금(IMF)과 기 합의된 차관 상환 합의 조건 완화 재협상 등의 조치를 통해 아르헨티나 정부가 고갈되는 외환보유고를 현 재정적자를 유지하면서 10월 대선까지 방어할 수 있을지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sunniek8@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현대차 거르고 샀더니 2배 벌었네요”...수익률 113% 대기업 그룹주 ETF는
-
2
[뉴욕증시-1보] EU·멕시코 관세도 불확실성 해소일 뿐…강세 마감
-
3
폴드7·플립7 예약 판매 돌입…이통3사 가입자 쟁탈전
-
4
“3개월전에 샀으면 이게 다 얼마야”…로켓처럼 튀어오르는 쿠팡 주가
-
5
'위믹스 유통량 조작 논란' 장현국 오늘 1심 선고…게임계 긴장
-
6
뉴욕증시, EU·멕시코 관세도 '배드 이즈 굿'…강세 마감
-
7
삼쩜삼發 소득세 환급대란 점검…국세청, 상반기 1천423명 추징
-
8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4일) 주요공시]
-
9
사할린동포·탈북민 등에 공공임대 재공급 주택 입주 자격 완화
-
10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