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1) - 코스피 마감시황
입력 : 2023.05.17 17:12:03
제목 : 증시요약(1) - 코스피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 5/17 KOSPI 2,494.66(+0.58%) 외국인/기관 순매수(+), 2차전지?인터넷株 강세(+), 美 부채한도 협상 난항(-)
밤사이 뉴욕증시가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 속 홈디포 실적 악화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479.65(-0.59P, -0.02%)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2,475.02(-5.22P, -0.2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했고, 점차 상승폭 확대. 오전 장 후반 2,498.37(+18.13P, +0.73%)까지 올라서며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 오후 들어 2,495선 부근에서 등락 을 보이던 지수는 결국 2,494.66(+14.42P, +0.58%)에서 장을 마감.
美 부채한도 협상 난항 등에 장초반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한 가운데 시총 상위 대부분 종목들이 상승하며 지수는 상승 전환하며 사흘째 상승.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5,600계약 넘게 순매수하며 투자 심리를 개선시켰음. 특히,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2차전지 관련주와 카카오, NAVER 등 인터넷 대표주가 강세를 기록. 최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SK하이닉스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
밤사이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의회 지도부와의 부채한도 관련 2차 회동이 진행됐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협상을 끝낸 것으로 전해짐. 매카시 하원의장은 회동 뒤 기자들에게 "이번 주말까지 협상을 타결하는 게 가능하다"며 "짧은 시간에 할 일이 많다"고 언급했으며, 슈머 원내대표는 "우리 모두 디폴트는 끔찍한 선택지라는 데 동의했다"고 밝힘.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부채 한도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이르면 다음달 1일 디폴트를 맞을 수 있다”며, “이는 경제와 금융에서 재앙을 초래할 것”이라고 언급.
한편, 주요 외신에 따르면, 부채한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후 아시아 순방 일정을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70억, 1,574억 순매수, 개인은 3,24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619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451계약, 3,030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4원 하락한 1,337.2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2bp 상승한 3.274%,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6bp 상승한 3.31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9틱 내린 104.99로 마감. 외국인이 2,134계약 순매도, 은행은 2,318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1틱 내린 114.22로 마감. 외국인이 2,962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2,203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LG에너지솔루션(+3.70%), 삼성SDI(+2.98%), SK이노베이션(+2.88%), 카카오(+2.85%), NAVER(+2.65%), 셀트리온(+2.20%), LG화학(+2.01%), SK하이닉스(+1.66%), LG전자(+1.27%), 현대모비스(+1.13%), 현대차(+0.99%), 기아(+0.92%), 포스코퓨처엠(+0.65%), 신한지주(+0.14%) 등이 상승. 반면, KB금융(-0.91%), 삼성전자(-0.61%), 삼성바이오로직스(-0.38%), POSCO홀딩스(-0.13%) 등은 하락. 삼성물산은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서비스업(+1.64%), 종이목재(+1.54%), 화학(+1.24%), 전기전자(+0.84%), 섬유의복(+0.77%), 운수장비(+0.75%), 의료정밀(+0.70%), 제조업(+0.70%), 증권(+0.61%), 의약품(+0.47%), 비금속광물(+0.40%)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음식료업(-1.54%), 전기가스업(-1.31%), 건설업(-0.77%), 기계(-0.71%), 운수창고(-0.44%), 통신업(-0.34%), 철강금속(-0.27%)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94.66P(+14.42P/+0.58%)
밤사이 뉴욕증시가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 속 홈디포 실적 악화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479.65(-0.59P, -0.02%)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2,475.02(-5.22P, -0.2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했고, 점차 상승폭 확대. 오전 장 후반 2,498.37(+18.13P, +0.73%)까지 올라서며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 오후 들어 2,495선 부근에서 등락 을 보이던 지수는 결국 2,494.66(+14.42P, +0.58%)에서 장을 마감.
美 부채한도 협상 난항 등에 장초반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한 가운데 시총 상위 대부분 종목들이 상승하며 지수는 상승 전환하며 사흘째 상승.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5,600계약 넘게 순매수하며 투자 심리를 개선시켰음. 특히,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2차전지 관련주와 카카오, NAVER 등 인터넷 대표주가 강세를 기록. 최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SK하이닉스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
밤사이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의회 지도부와의 부채한도 관련 2차 회동이 진행됐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협상을 끝낸 것으로 전해짐. 매카시 하원의장은 회동 뒤 기자들에게 "이번 주말까지 협상을 타결하는 게 가능하다"며 "짧은 시간에 할 일이 많다"고 언급했으며, 슈머 원내대표는 "우리 모두 디폴트는 끔찍한 선택지라는 데 동의했다"고 밝힘.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부채 한도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이르면 다음달 1일 디폴트를 맞을 수 있다”며, “이는 경제와 금융에서 재앙을 초래할 것”이라고 언급.
한편, 주요 외신에 따르면, 부채한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후 아시아 순방 일정을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70억, 1,574억 순매수, 개인은 3,24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619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451계약, 3,030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4원 하락한 1,337.2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2bp 상승한 3.274%,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6bp 상승한 3.31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9틱 내린 104.99로 마감. 외국인이 2,134계약 순매도, 은행은 2,318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1틱 내린 114.22로 마감. 외국인이 2,962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2,203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LG에너지솔루션(+3.70%), 삼성SDI(+2.98%), SK이노베이션(+2.88%), 카카오(+2.85%), NAVER(+2.65%), 셀트리온(+2.20%), LG화학(+2.01%), SK하이닉스(+1.66%), LG전자(+1.27%), 현대모비스(+1.13%), 현대차(+0.99%), 기아(+0.92%), 포스코퓨처엠(+0.65%), 신한지주(+0.14%) 등이 상승. 반면, KB금융(-0.91%), 삼성전자(-0.61%), 삼성바이오로직스(-0.38%), POSCO홀딩스(-0.13%) 등은 하락. 삼성물산은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서비스업(+1.64%), 종이목재(+1.54%), 화학(+1.24%), 전기전자(+0.84%), 섬유의복(+0.77%), 운수장비(+0.75%), 의료정밀(+0.70%), 제조업(+0.70%), 증권(+0.61%), 의약품(+0.47%), 비금속광물(+0.40%)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음식료업(-1.54%), 전기가스업(-1.31%), 건설업(-0.77%), 기계(-0.71%), 운수창고(-0.44%), 통신업(-0.34%), 철강금속(-0.27%)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94.66P(+14.42P/+0.58%)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6 11:17
LG에너지솔루션 | 339,500 | 5,500 | -1.5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사상 최대 실적 냈지만…KB금융, 주주환원 실망감에 5%대 하락
-
2
코스닥지수 : ▲6.49P(+0.89%), 737.47P
-
3
코스메카코리아, 자회사 잉글우드랩 지분 11% 공개매수 추진 ··· “지배력 강화 목적”
-
4
HD현대건설기계,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353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
-
5
SK바이오팜,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406.54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6
“서학개미 잡아라”…한국투자증권, MTS 해외주식 신규 기능 추가
-
7
비트코인, 미중 관세전쟁 우려 소화중…리플·솔라나 등 미국 코인도 약세
-
8
형지I&C(011080) 소폭 상승세 +4.36%
-
9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동향
-
10
미래에셋, 美대표지수 ETF 총보수 인하…국내 최저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