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2월 소매판매 1.8% 하락·산업생산 1.3% 상승
인교준
입력 : 2023.01.17 11:48:27
입력 : 2023.01.17 11:48:27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의 12월 소매 판매가 1.8% 하락한 반면 산업생산은 1.3% 상승했다고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밝혔다.
우선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시장전망치(+0.2%)를 상회했지만, 11월 산업생산 증가율(+2.2%)보다는 낮아졌다.
중국 당국이 지난달 7일 전격적인 '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기존 철통 방역 조치를 해제했으나, 코로나19 감염의 급확산으로 경기침체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산업생산 증가율은 9월(6.3%) 이후 둔화세로 돌아섰으며, 10월 증가율도 5.0%에 그쳤다.
중국의 산업생산은 공장, 광산, 공공시설의 총생산량을 측정한 것으로 제조업 동향을 반영하며 고용과 평균 소득 등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12월 소매판매 증가율(-1.8%)은 10월(-0.5%), 11월(-5.9%)에 이어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시장전망치(-8.6%)를 훨씬 상회한 것으로, 11월보다 개선됐다.
중국 소매 판매 증가율은 상하이 전면 봉쇄가 이뤄졌던 지난 5월(-6.7%)에 역성장했다가 6월부터 플러스로 전환된 뒤 10월부터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소매 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수 경기의 가늠자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1∼12월 누적 고정자산투자는 5.1%로, 시장전망치(+5.0%)보다는 높았지만 1∼11월 누적치(+5.3%)보다는 낮았다.
고정자산투자는 농촌을 제외한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 자본 투자에 대한 변화를 보여준다.
kjihn@yna.co.kr(끝)
우선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시장전망치(+0.2%)를 상회했지만, 11월 산업생산 증가율(+2.2%)보다는 낮아졌다.
중국 당국이 지난달 7일 전격적인 '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기존 철통 방역 조치를 해제했으나, 코로나19 감염의 급확산으로 경기침체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산업생산 증가율은 9월(6.3%) 이후 둔화세로 돌아섰으며, 10월 증가율도 5.0%에 그쳤다.
중국의 산업생산은 공장, 광산, 공공시설의 총생산량을 측정한 것으로 제조업 동향을 반영하며 고용과 평균 소득 등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12월 소매판매 증가율(-1.8%)은 10월(-0.5%), 11월(-5.9%)에 이어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시장전망치(-8.6%)를 훨씬 상회한 것으로, 11월보다 개선됐다.
중국 소매 판매 증가율은 상하이 전면 봉쇄가 이뤄졌던 지난 5월(-6.7%)에 역성장했다가 6월부터 플러스로 전환된 뒤 10월부터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소매 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수 경기의 가늠자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1∼12월 누적 고정자산투자는 5.1%로, 시장전망치(+5.0%)보다는 높았지만 1∼11월 누적치(+5.3%)보다는 낮았다.
고정자산투자는 농촌을 제외한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 자본 투자에 대한 변화를 보여준다.
kjih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NAVER, 주당 1,130원 현금배당 결정
-
3
아마존 작년 4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
4
NAVER,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5,420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5
NAVER, 24년 연결 영업이익 1.97조원
-
6
“한국선 기금 고갈 아우성인데”…호주선 연금만 3억 들고 은퇴 “적립금 남아 돌아요”
-
7
“우리회사 이번 명절 떡값, 통상임금일까?”…고용부가 지침 만들었다는데
-
8
NAVER, 24년4분기 별도 영업이익 5,294억원
-
9
당일 4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2.07 발표 예정)
-
10
전일 4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2.06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