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코로나 감염시 사망 위험 7배"
"임산부들에게 백신 접종 실시해야"1만3천여명 연구한 12건 논문 메타분석
임화섭
입력 : 2023.01.17 16:01:32
입력 : 2023.01.17 16:01:32

[온라인 공개 논문 캡처]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임신 중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임산부의 사망 위험이 7배로 증가하고 신생아의 건강 위험도 커진다는 메타연구(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워싱턴대는 이 학교 밀컨 공공보건대학 글로벌보건학과 에밀리 스미스 조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이런 메타분석 논문을 'BMJ 글로벌 헬스 저널'에 게재했다고 16일(현지시간) 보도자료로 밝혔다.
이 메타연구는 12개국에서 나온 서로 다른 연구 12건을 분석했다.
데이터 분석 대상에는 1만3천136명의 임산부가 포함됐으며, 이 중 1천942명이 임신 기간에 코로나19 확진(confirmed) 혹은 의사(probable) 진단을 받았다.
분석 결과,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임산부와 비교한 코로나19 감염 임산부의 모성사망 상대위험(relative risk)은 7배 이상 수준이었다.
즉 감염 임산부 모성사망률은 비감염 임산부 모성사망률의 7배 이상이었다.
또 중환자실 입원이 필요하게 되는 상대위험은 3배 이상, 인공호흡기가 필요하게 되는 상대위험은 15배, 폐렴이 생기는 상대위험은 23배였다.
혈전(피떡)이 생기는 혈전색전증을 앓을 상대위험은 5배 이상이었다.
임산부가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이들이 낳는 신생아가 신생아 중환자실에 들어갈 위험은 거의 갑절이 됐다.
조산 위험도 증가했다.
같은 주제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임산부의 코로나19 감염이 유산 위험을 높인다는 결론을 시사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그런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다.
이번 메타연구 논문에는 서로 다른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종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등 한계가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렇게 매우 심각한 건강상 위험에도 불구하고 80여개국은 아직도 모든 임신 여성과 수유 여성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권고를 하지 않고 있다고 논문 제1저자 겸 교신저자인 스미스 교수는 지적했다.
논문 저자들은 결론 부분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대상 집단에 대한 집중적 백신 접종 실시와 비(非)약물 개입(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을 통해 임신기간 중의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한 글로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고 강조했다.
limhwasop@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7월은 주식 투자하기 좋은 달”...올해도 서머랠리 올까
-
2
부산 제2센텀 예정지 내 반여농산물시장도 기장으로 이전
-
3
[게시판] 하나금융 임직원, 명동 소상공인에 행복상자 전달
-
4
대구 취수원 이전 '빨간불'…먹는 물 문제해결 멀어지나
-
5
CJ대한통운, 장애인 스포츠단 창단…10개 종목 선수 21명 채용
-
6
세븐일레븐, MLB 슈퍼스타 이정후와 손잡고 20종 선보인다
-
7
삼성 OLED TV, 미국·영국 테크매체서 호평…"올해 최고의 TV"
-
8
한국마사회,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와 말산업 활성화 업무 협약
-
9
“장사 접어요” 한 해 100만명 처음 넘었다…음식점 폐업률이 무려
-
10
강원도, 데이터 활용한 의료·건강 생태계 조성사업 2단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