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 가뭄 반세기 내 최장…작년 227일간 가물어
종전 기록보다 65일이나 길어…아직도 해갈 안 돼여름에 중부지방만 비 내려…중부지방 가뭄일은 81.7일
이재영
입력 : 2023.01.18 09:49:48
입력 : 2023.01.18 09:49:48
[연합뉴스 자료사진]
금일저수지 저수율은 4.3%로 금일읍 주민들은 2일 급수, 4일 단수하는 제한급수에 처해 있다.
2022.11.23 iny@yna.co.kr(끝)
기상청은 지난해 남부지방 기상가뭄 일수가 227.3일로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된 뒤인 1974년 이래 가장 길었다고 18일 밝혔다.
종전 기록은 2017년 162.3일인데 이보다 65일이나 많았다.
광주시는 가뭄 장기화로 인한 제한급수 위기가 현실화하자 이날 시 전역에서 대시민 절수 홍보 활동을 펼쳤다.
2023.1.17 hs@yna.co.kr
광주시는 가뭄 장기화로 인한 제한급수 위기가 현실화하자 이날 시 전역에서 대시민 절수 홍보 활동을 펼쳤다.
2023.1.17 hs@yna.co.kr(끝)
지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보통 6개월 누적강수량이 평년의 65% 수준에 못 미치면 표준강수지수가 -1 이하로 떨어진다.
작년 전국 평균 기상가뭄 일수는 156.8일로 2015년(168.2일)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다.
중부지방 기상가뭄 일수는 81.7일로 긴 순서로 11번째에 해당했다.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3월 초순과 4월 하순 사이엔 충북과 강원에서도 기상가뭄이 발생했다.
지난겨울과 봄 강수량이 적었던 탓에 작년 5월 초순엔 전국이 기상가뭄이었다.
이후 중부지방은 여름 호우가 쏟아져 가뭄이 해소됐지만 남부지방은 연중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여름에도 비가 오지 않아 가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실제 지난해 6~8월 중부지방 강수량은 941.3㎜로 평년 강수량(759.6㎜)보다 많았지만, 남부지방은 483.3㎜로 평년 치(704.0㎜)를 크게 밑돌았다.
중부지방과 남부지방 여름철 강수량 차가 458.0㎜에 달했는데 이는 1995년(536.4㎜) 이후 가장 큰 폭이었다.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여름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동서로 발달해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중부지방에만 정체전선이 걸치고 저기압이 지나면서 비가 중부지방에만 집중해서 내리고 남부지방에는 오지 않는 상황이 펼쳐졌다고 설명했다.
종전 기록은 2017년 162.3일인데 이보다 65일이나 많았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종전 기록은 2017년 162.3일인데 이보다 65일이나 많았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니케이지수(일본) : ▼198.51엔(-0.51%), 38,868.02엔 [오후장출발]
-
2
유니온머티리얼(047400) 소폭 상승세 +3.38%
-
3
상해종합지수(중국) : ▲43.63P(+1.33%), 3,314.29P [전장마감]
-
4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5
1억원 이상 매도체결 상위 20 종목(코스닥)
-
6
라온텍(418420) 상승폭 확대 +11.70%
-
7
1억원 이상 매도체결 상위 20 종목(코스피)
-
8
항셍지수(홍콩) : ▲319.24P(+1.53%), 21,210.86P [전장마감]
-
9
코스닥지수 : ▲0.72P(+0.10%), 741.04P
-
10
코스피지수 : ▼7.31P(-0.29%), 2,529.4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