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부동산부문 어려움 나타날수도…가계부채 부담"(종합)
"한국 물가 둔화 흐름 더딜 수도…비용 인상 압력 늦게 반영""올해 물가 중점 두면서도 경기·금융안정 고려"
민선희
입력 : 2023.01.18 16:43:13
입력 : 2023.01.18 16:43:13
2023.1.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2023.1.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끝)
이 총재는 18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8층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는 물가상승률이 5%를 넘었고, 금리를 올리는 게 우선순위였는데 지금은 이미 금리가 높은 수준에 있으니 이것이 물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데이터와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는 것을 보며 결정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앞서 13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도 물가 상승률이 5%를 웃돌면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해야겠지만, 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예상대로 올해 3%대까지 떨어진다면 경기와 금융안정도 동시에 고려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는 이날 올해 물가 흐름에 대해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한국의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이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뒤늦게 반영되며 주요국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유로 지역 전기·가스요금 등 에너지 요금 상승률은 40%를 상회했지만, 한국에서는 13%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올해 유가 수준이 지난해보다 낮아지더라도 한국의 경우 그간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이 올해 전기·가스요금에 뒤늦게 반영되며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주요국보다 더딜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금융 안정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어려움도 커질 것"이라며 "부채 문제로 한국 금융시스템에 단기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어 보이나 부동산 관련 부문에서 어려움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올해 희망적인 3가지로 유가 안정, 미국·유럽 등 주요국 경착륙 우려 완화, 중국 경제 정상화 가능성을 꼽았다.
이어 우려스러운 부분으로는 "중국 경제 회복이 빨라질 경우 유가를 상승시킬 우려가 있고, 국지적 정치 분쟁이 악화해 수출에 타격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동산시장 연착륙이 제대로 될지도 걱정스러운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2023.1.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2023.1.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끝)
이 총재는 "이러한 공통점 내에서도 한국만의 특수성이 나타났다"며 "전 세계적으로 고물가는 공통적 현상이었으나 초래한 요인은 국가별로 달랐다"고 분석했다.
유로 지역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공급요인 영향이 컸고, 미국은 팬데믹 회복과정에서 늘어난 재정지출, 노동시장 구조 변화 등으로 물가 압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 총재는 "한국의 경우 수요, 공급 요인의 기여도가 양 지역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CPI의 근원 품목(식료품·에너지 제외) 기여율은 한국이 54.7%, 미국이 66.8%, 유로 지역이 33.1%였다.
외환시장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쏠림현상이 나타났다.
이 총재는 "원화는 지난해 8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달러 강세 속도보다 더 빠르게 절하됐다"며 "중국 경기둔화·일본 엔화 가치의 가팔라진 절하 등에 주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05%로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점도 특징으로 꼽혔다.
이 총재는 "한국의 가계부채 구조는 통화정책 결정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한국의 단기부채·변동금리 비중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통화 긴축·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소비지출·경기 민감도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에 따르면 만기가 1년 이하인 가계부채 비중이 전체의 3분의 1 수준이며 가계부채의 80% 정도가 변동금리 대출로 구성돼있다.
2023.1.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2023.1.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끝)
ss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엔비디아, 사우디에 '블랙웰' 1만8천개 공급…주가 5.6%↑(종합)
-
2
“그러게 금 보다 낫다니까?”…한 달도 안 돼 18% 급등한 ‘디지털 금’
-
3
“한국과 중국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라이벌”…트럼프발 관세전쟁 해법은
-
4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5
SK하이닉스, 대기업 경영평가 6년만에 1위…삼성전자 2년 연속 2위
-
6
"北, 中에 35개 유령회사 차려 美 등의 업체에 IT인력 위장취업"
-
7
MSCI 한국지수에 삼양식품·한화시스템 신규 편입…자금 유입 기대
-
8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3일) 주요공시]
-
9
1호 공약 '경제성장' 내세웠지만…이재명 "공정" 김문수 "자유"
-
10
“신세계, 면세업 주가 상승세지만 내수 불황은 장기화”…목표가↑
05.14 07:4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