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1.18 11:22:02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AI 챗봇(챗GPT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메타버스(Metaverse), 홈쇼핑, 여행, 음성인식, 클라우드 컴퓨팅, 미용기기, 재택근무/스마트워크,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창투사 등... |
약세 테마 | 4대강 복원, 은행, 철강 주요종목, 모듈러주택, 수산, 조선, 반도체 대표주(생산), 풍력에너지, 전력설비, 희귀금속(희토류 등), 네옴시티 관련주, 리튬 관련주, 전선, 원자력발전, 철강 중소형,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피팅(관이음쇠)/밸브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AI 챗봇(챗GPT 등)/KT그룹주 | KT, 챗GPT와 유사한 수준의 대화형 AI 서비스 상반기 출시 계획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KT가 오픈AI의 초거대 인공지능 챗GPT와 유사한 수준의 대화형 초거대 AI 서비스 '믿음(MIDEUM)'을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상용화하기 위해 주요 금융사 등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믿음'의 파라미터 수는 챗GPT와 비슷하지만, 한국어 데이터가 많이 학습돼 국내 사용자에게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알려짐. 한편, KT는 AI반도체 스타트업인 리벨리온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해당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현지시간 16일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플랫폼인 애저(Azure)에 오픈 AI 인공지능 챗봇 챗GPT를 추가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해당 서비스는 MS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고객들이 챗GPT가 기반이 되는 GPT-3.5 언어체계나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달리(Dall-E) 모델과 같은 다양한 오픈 AI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셀바스AI, 브리지텍, 마인즈랩 등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상승. 또한, KT, KTcs, KTis, 케이티알파, 플레이디, 지니뮤직, 이니텍 등 KT그룹주와 KT의 기가지니에 AI 스피커를 공급하고 있는 가온미디어, KT와 컨소시엄을 구성한 리벨리온에 투자한 SV인베스트먼트가 상승. 이어 인공지능 플랫폼 WIGO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비플라이소프트도 시장에서 부각. | |
항공/저가 항공사(LCC)/ 여행/ 면세점 | 美 유나이티드항공 실적 호조 및 항공 수요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
▷17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사 유나이티드항공이 여행 수요 급증과 항공 운임 상승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유나이티드항공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24억달러(약 15조3,400억원), 순이익이 8억4,300만달러(약 1조원)를 각각 기록. 이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일 뿐 아니라 코로나19 대유행이 항공 업계를 강타하기 직전인 2019년 4분기에 비해 매출은 14%, 순이익은 30% 이상 증가한 수준. 아울러 유나이티드항공은 경기 둔화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며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으며, 주당순이익도 50센트~1달러 사이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인 25센트를 넘을 것으로 예상. ▷외신에 따르면, 세계 2위 항공기 임대 업체 아볼론(Avolon)은 "지난해 유럽과 북미지역 주도로 세계 항공 수요가 70%가량 회복됐다"며, "3년 만에 찾아온 중국의 국경 개방에 힘입어 전 세계 항공 수요가 올해 중반까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되찾을 것"이라고 전망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이날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2년 항공교통량 집계 결과, 우리나라 하늘길을 이용한 항공기는 하루 평균 1,479대로, 2021년 대비 16% 증가했음. 항공교통량은 코로나19가 한창이었던 지난 2020년 4월 최저를 기록한 이후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해오다 국내외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 등으로 인해 2022년 6월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해외여행 심리 회복에 따라 국제선 항공교통량이 전년대비 36% 증가해 전체 상승률을 견인했으며, 국내선은 제주공항과 김포공항 교통량이 각각 6.8%, 4.5%씩 늘어 1996년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 교통량을 기록했음. ▷이와 관련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아울러 여행 심리 회복 등에 하나투어, 노랑풍선, 호텔신라 등 여행/면세점 테마 등도 상승. | |
메타버스(Metaverse)/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 美 로블록스 급등 등에 상승 |
▷투자전문 매체인 마켓워치에 따르면,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의 12월 예약이 4억3,000만~4억3,9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짐. 이는 월가의 추정치였던 3억9,350만~4억140만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임. 또한, 로블록스의 12월 일일 성활 사용자(DAU) 수가 6,150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8% 증가했다고 추정했으며, 이 기간 매출액은 1억8,900만달러에서 1억9,900만달러로 추산됐음.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로블록스는 11.77% 급등세를 보였음. ▷아울러 애플 MR 헤드셋 출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신에 따르면, 애플의 첫 MR 헤드셋 '리얼리티 프로'가 올해 하반기 내 출시될 것으로 전망. MR 헤드셋은 출시에 앞서 이르면 오는 봄, 늦어도 6월 세계개발자회의(WDC)에서 공개될 전망으로 '메타 퀘스트' 시리즈가 주도하고 있는 메타버스 기기 시장에 커다란 대항마가 될 것으로 보이며, 업계는 현재 거품이 빠지고 움츠러들었던 시장 전체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셀바스AI, 이랜텍, 자이언트스텝, 맥스트, 아진엑스텍 등 메타버스(Metaverse)/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테마가 상승. |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비트코인 가격 상승 전망 등에 상승 |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 전 11시 경 비트코인은 2만1,000달러 선에서 거래중임. 이는 암호화폐거래소 FTX 파산 보호 신청 이전인 지난해 11월 초 수준임.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26,400원 부근에서 거래중임. ▷현지시간으로 17일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어느 정도 잡혀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이 더 이상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적어지자 위험자산에 대한 베팅이 늘 것이며, 이에 따라 비트코인의 추가 랠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음. 아울러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산하 빗썸경제연구소는 올해 비트코인(BTC) 가격이 5,200만원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비덴트, FSN, 우리기술투자, 다날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 |
은행 | 골드만삭스 어닝쇼크 등에 하락 |
▷지난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이 13억3,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6% 감소했다고 발표. 주당 순이익은 3.32달러로 시장 전망치(5.48달러)를 크게 하회했음. 매출액도 전년동기대비 16% 감소한 105억9,000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하회. 골드만삭스의 실적이 시장 전망치와 큰 차이를 보인 것은 2011년10월 이후 처음임.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골드만삭스는 6.44% 약세를 기록했고, 뱅크오브아메리카(-2.02%), JP모건(-1.55%), 웰스파고(-0.23%) 등도 하락. ▷시장에서는 골드만삭스의 실적 부진은 투자은행 부문의 실적 악화 여파가 크며, 재작년까지만해도 붐이 일었던 기업들의 M&A와 상장 열풍이 2022년 들어 급격히 얼어붙었기 때문으로 분석. 금리 상승, 인플레이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다가오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대다수 경영자들은 상장 또는 인수 계획을 보류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제주은행, 카카오뱅크,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9 15:30
셀바스AI | 13,470 | 210 | -1.5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