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7.12 14:52:49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해운,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 미용기기, LNG(액화천연가스), 윤활유, 광고, 카지노, 강관업체(Steel pipe), 정유, 시스템반도체, 인터넷 대표주, LPG(액화석유가스),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항공/저가 항공사(LCC), 반도체 대표주(생산), 3D 낸드(NAND) 등... |
약세 테마 | 탄소나노튜브(CNT), 전력설비, 육계, 애플페이, 그래핀, 자동차 대표주, 손해보험, CCTV&DVR, 은행, 전자파,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재난/안전(지진 등), 캐릭터상품,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드론(Drone), 증강현실(AR), 항공기부품, 가상현실(VR), 원자력발전, 교육/온라인 교육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광고 | 스레드, 출시 5일 만에 가입자 1억명 달성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메타가 내놓은 새 소셜미디어 스레드의 이용자 수가 서비스 출시 닷새 만인 지난 10일(현지시간) 1억명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짐. 스레드 가입자는 지난 5일 출시 이후 16시간 만에 3,000만명을 돌파한 데 이어 이틀 만에 7,000만명을 넘어섰으며, 스레드의 가 입자 증가 속도는 두 달 만에 사용자 1억명을 기록한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보다 훨씬 빠른 것으로 알려짐. ▷업계에서는 스레드에 당장 광고가 붙는 것은 아니지만, 매서운 성장세가 안정되면 메타가 수익화에 나서지 않겠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에 경기 둔화 우려로 올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의 광고비 예산이 쪼그라든 가운데 소셜미디어(SNS) ‘스레드(Threads)’ 인기가 디지털 광고사에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앞서 아담 모세리 인스타그램 CEO는 미국 더버지와의 인터뷰에서 "스레드 수익 모델은 광고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이와 관련, 이엠넷, 모비데이즈, 에코마케팅, 나스미디어 등 광고 테마가 상승. | |
항공/저가 항공사(LCC) |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
▷한화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통상 2분기는 여행 업계에서 전통적 비수기로 손꼽지만, 올해 2분기에는 다소 달랐다고 밝힘. FSC는 4월부터 장거리 중심의 공급 확대를 통해 QoQ 국제선 여객 증가를 이뤄냈으며, LCC는 작년 말부터 수요의집중 포화가 일어나고 있는 일본 및 동남아 노선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공급 확대를 통해 2분기 호실적을 견인했다고 밝힘. ▷아울러 3분기는 7-8월 하계 휴가 시즌, 9월 추석연휴로 분기 내내 성수기일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특히, 2분기보다 강한 실적이 예상되며, LCC의 경우 “역대급” 수식어가 내내 붙어 다녔던 1분기 수준까지 실적 눈높이를 올려도 되겠다고 밝힘. 이어 성수기를 지나고 나면, 4분기는 다시 준성수기로, 이례적으로 1~4분기 내내 강한 여객 실적을 확인할 수 있겠다고 밝힘. ▷한편, 2분기가 항공업계의 전통적인 비수기로 여겨지는 가운데, 국제유가 하락 속 국제항공유 가격 하락에 따른 반사 이익 기대감도 부각.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지난 6월 마지막 주 국제 항공유 가격은 배럴당 95.57달러로 전주 대비 2.1% 하락. 이는 전년동기대비 30.2% 하락한 수준으로 LCC 업체들의 흑자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AK홀딩스,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 |
전기차(충전소/충전기) | 유럽 의회, 전기차 충전소 관련 새로운 규정 채택 소식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유럽 의회가 전기차(EV)의 충전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일련의 규정을 채택한 것으로 전해짐. 유럽 의회의 규정은 유럽 대륙을 가로지르는 주요 도로망인 유럽 횡단 운송 네트워크(TEN-T)에 적용될 예정으로, 2026년까지 유럽은 주요 도로망을 따라 60km마다 최소 400킬로와트(kW)의 충전기를 설치하고 2028년에는 최소 출력이 600kW로 만들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2027년까지 유럽은 충전소 관련 공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임. ▷또한, 간편 결제 방식도 의무화되며, 업계는 고객이 카드나 접촉식 장치등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 방식을 다변화하고 충전 가격도 명확히 표기해야 한다고 전해짐. ▷다만, 영국 정부는 자체 규정을 제안했음. 99%의 충전소 신뢰성을 업계들에 요구했고 이와 더불어 EU 규칙과 유사한 결제 및 데이터베이스 표준을 채택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휴맥스홀딩스, 디스플레이텍, 휴맥스, SK네트웍스, 동양이엔피 등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가 상승. | |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 국제유가 급등 영향에 상승 |
▷지난밤 美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달러 약세 및 원유재고 감소 기대 등에 급등.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84달러(+2.52%) 상승한 74.83달러에 거래 마감. 美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단기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 산유국들의 감산 연장 결정으로 단기적으로 원유 공급이 줄어들 것으로 전해짐. 특히, 앞으로 5개 분기 동안 전 세계 원유 재고가 줄어들 것이라며 이는 유가를 브렌트유 기준 연말 배럴당 81달러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SK이노베이션, 극동유화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상승. | |
화장품 | 韓中 소비 경기 회복 기대감 및 비중국향 매출 성장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상상인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화장품 업종과 관련 여전히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각종 산업 데이터는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하지만, 화장품 중소형사들은 호실적을 뒷받침한 주가 상승세를 시현하며 업종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 이에 3Q23에도 국내 화장품 업종 주가는 2Q23 분위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한국과 중국의 소비 경기 회복이 대형주를 포함한 업종 주가 상승 모멘텀으로 확대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고 밝힘. ▷아울러 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화장품 중소형사들의 공통점으로는 비중국향 매출이 전사 실적 성장을 견인하기에 충분하다는 특징이 있다며, 기성 브랜드보다 새로운 것을 선호하는 요즘 주력 소비층의 문화에도 부합한다고 설명. 당분간 이러한 시장 트렌드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클리오, 코스맥스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 | |
자동차 대표주 | 경쟁 심화 전망 속 하반기 수익성 우려 등에 하락 |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6월 누적 글로벌 BEV 도매판매 기준 현대차는 11.9만 대(+21.5% YoY), 기아는 9.8만 대(+22.4% YoY)를 기록했다며, 양사 모두 신차 투입에 따른 높은 BEV 판매실적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으나, 단일 BEV 차종 기준 가장 높은 글로벌 판매량을 담당하고 있는 아이오닉5/EV6는 전년 동기 대비 판매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양사가 최근 2023 CEO Investor Day를 통해 제시한 2023년 글로벌 BEV 판매목표인 현대차 33만 대, 기아 25.8만 대를 기준으로 1H23까지의 목표 달성률은 각각 36%, 38%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분석. ▷현대차그룹이 올해 BEV 판매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반기에 적극적인 판촉 경쟁 체제에 돌입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양사 모두 이미 상반기에 2023년 연간 실적 가이던스 대비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해 둔 만큼, 올해 BEV 판매목표 달성 의지가 있다면 하반기에 수익성 방어를 우선순위에 두기 다소 어려울 것이라고 밝힘. ▷또한, 현대차그룹과 가격 포지셔닝이 유사한 일본 Big3(Toyota, Honda, Nissan)가 미국 시장점유율 회복을 위해 최근 인센티브 인상을 이끌고 있으며, 특히 1H23에 Toyota는 차화정 이후 가 장 낮은 미국 시장점유율을 기록했음에도 아직 인센티브 상승을 제한하며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 이에 Toyta가 2H23에 움직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힘. ▷이에 금일 HL만도, 현대차, 현대위아 등 자동차 대표주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6 09:37
휴맥스홀딩스 | 2,180 | 15 | +0.6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