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8월 한달간 지자체·공공기관과 불법하도급 '삼각단속'
불법하도급 100일 집중단속 중…점검 현장 10곳 중 4곳서 불법
박초롱
입력 : 2023.08.01 11:10:33
입력 : 2023.08.01 11:10:33

(서울=연합뉴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29일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LH 신혼희망타운 건설현장을 찾아 전자카드제 기반의 전자적 대금 지급시스템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2023.3.29 [국토교통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정부가 8월 한 달간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과 불법하도급 합동 단속을 벌인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달 불법하도급 집중 단속 때 공공 발주기관 43곳과 인허가청(지자체) 12곳 담당자가 참여하도록 해 상시 단속체계를 만들겠다고 1일 밝혔다.
집중단속 대상은 공공공사 62개, 민간공사 89개다.
국토부는 5월 23일부터 불법 하도급 의심 현장 508곳에 대한 불시 단속을 진행 중이다.
이달 말까지 100일간의 집중단속을 마친 뒤 근절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가 지난달 21일까지 60일간 292개 건설 현장을 단속한 결과, 37%에 해당하는 108개 현장에서 183건의 불법 하도급이 적발됐다.
이 중 무자격자에 대한 하도급이 125건으로 전체 단속 건수의 68%를 차지했다.
하청업체가 발주자의 서면 승낙 없이 재하도급을 준 경우는 58건 적발됐다.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르면 하청업체는 하도급받은 공사를 재하도급할 수 없지만, 발주자나 수급인(시공사)의 서면 승낙을 받는 등 특정 요건을 갖추면 재하도급이 가능하다.
불법 하도급을 받은 업체 중 무등록 시공업체는 83개사, 무자격 시공업체는 44개사였다.
하청업체인 A사는 아파트 신축 공사 중 차수 공사(지반을 뚫고 시멘트 등을 주입해 지하수를 차단하는 공사)를 천공기 장비 임대업체에 재하도급했다.
이 업체는 건설업 미등록 업체였다.
원청업체 B사는 폐수처리시설 설치공사를 토공사에 포함한 뒤, 자격이 없는 C사에 하도급을 줬다가 적발됐다.
C사는 지반조성 포장공사업으로 등록한 업체였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100일 집중단속만 피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건설사가 있었다면 큰 오산"이라며 "불법하도급은 반드시 임기 내 뿌리 뽑겠다"고 강조했다.
chopar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2
SK이노베이션, 1.99조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3
‘숨은 AI 수혜주’…코닝 등 광통신株 올 들어 강세
-
4
장중 주요 종목 공시
-
5
코스피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6
코스피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7
키움제8호스팩, 최대주주가 한동진 외 16인으로 변경
-
8
휴림로봇,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9
피노, 44.81억원 규모 공급계약(구리) 체결
-
10
태광산업, 태광화섬(상숙)유한공사(Taekwang Synthetic Fiber(Changshu) Co., Ltd.) 주식 취득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