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호텔네트워크, 요원한 제주칼호텔 매각

입력 : 2023.08.17 09:08:41
제목 : 칼호텔네트워크, 요원한 제주칼호텔 매각
연이은 매각 실패에 재무개선 답보…갈 길 바쁜 한진칼 부담↑

[톱데일리] 칼(KAL)호텔네트워크의 제주칼호텔 매각이 좀처럼 진척을 내지 못하고 있다. 연이은 딜(Deal) 무산으로 부채상환 등 재무구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재차 낮아졌다.

칼호텔네트워크는 현재 제주칼호텔 관련 새로운 매수자를 찾는 작업에 돌입했다. 그동안 매각을 논의하던 제주드림피에프브이(PFV)와의 딜(Deal)이 무산된 영향이다.

앞서 칼호텔네트워크는 제주드림PFV와 제주칼호텔 관련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매각을 진행했다. 매각규모가 약 950억원으로 당초 평가액(약 687억원) 대비 263억원 높게 책정되면서 매각 진행 결과에 귀추가 주목됐다. 하지만 제주드림PFV가 금융시장 경색 속 잔금을 납입하지 못하면서 딜은 파기됐다. 계약금 10%만 손에 쥐는 데 그쳤다.

이번 제주칼호텔 매각 실패는 앞서 스타로드자산운용으로의 추진에 이은 두 번째다. 이로써 제주칼호텔을 매각하며 유동성을 확보하려던 계획은 이번에도 무산됐다.

제주칼호텔 매각은 지난해 4월 말 영업을 종료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돼왔다. 제주칼호텔은 지난 1974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에서 문을 열었지만 최근 수년간 누적 손실을 기록한 가운데 '코로나19'로 경영이 악화했다. 이로 인해 칼호텔네트워크는 제주칼호텔 매각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과 유동성 확보를 모색했다.

원점부터 제주칼호텔 매각을 재추진해야 하는 탓에 칼호텔네트워크의 재무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낮아졌다. 칼호텔네트워크는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간 영업적자가 이어졌다.

당연히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다. 지난해 말 기준 칼호텔네트워크의 부채비율은 135.7%로 전년 대비 12.5%포인트(p) 증가했다. 크고 작은 자금 출혈의 부담도 상존하고 있다. 칼호텔네트워크는 인천국제공항 국제업무지역 호텔시설사업 실시협약에 따라 매해 토지 공시지가의 5%를 연간 사용료로 지급하고 있다. 칼호텔네트워크가 토지임차료, 건물리스료, 차량리스료 등 떠안고 있는 리스부채 규모는 약 160억원이다.

연관성이 짙은 항공업황의 개선 속에 올해 경영상황은 소폭 개선됐다. 칼호텔네트워크는 올해 상반기 약 1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고, 매출 규모는 약 311억원에서 440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약 91억원으로 플러스(+) 전환했다. 다만 이를 유의미한 개선으로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운영자금을 지원해온 지배기업 한진칼(지분율 100%)도 난감한 처지다. 칼호텔네트워크는 한진칼로부터 500억원 규모의 운영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 한진칼로부터 단기차입 형태로 지원 받은 차입금(각각 200억원, 300억원)의 상환일은 1년 단위로 연장하고 있다.



칼호텔네트워크에 대한 한진칼의 자금지원 부담은 또 있다. 현재 칼호텔네트워크의 잔여 차입금 2000억원은 KDB산업은행(이하 산은) 등으로부터 수혈한 장기차입금이다. 한진칼은 칼호텔네트워크의 차입금과 관련해 산은 등과 자금보충약정을 체결한 상태다. 이는 한진칼이 칼호텔네트워크의 차입금에 대한 원리금 상환자금이 부족할 경우 칼호텔네트워크에 자금을 보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문제는 한진칼이 자금을 지원하는 데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관련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심사 결과 발표를 비롯한 그룹의 중요 현안이 즐비한 가운데 답보상태를 걷는 유휴자산에 대해 이전과 같은 행보를 지속하는데 부담이 확대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한진칼이 최근 서소문 사옥을 약 2700억원 규모로 대한항공에 매각하며 실탄 확보에 나선 이면에는 그룹을 둘러싼 다수의 현안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유동성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는 점을 의미한다.

칼호텔네트워크 관계자는 "재매각을 준비하고 있지만 방식과 일정 등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관사(삼정KPMG·삼성증권)를 통해 매수 문의가 들어오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곳은 없다"라며 "매수의지를 비롯해 재매각 추진함에 따른 시장조사도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톱데일리
권준상 기자 kwanjjun@topdaily.co.kr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5 15:30
대한항공 23,750 150 +0.64%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5 17:4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