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8.17 14:46:18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리튬, PCB(FPCB 등), 2차전지(소재/부품), 스마트카(SMART CAR), 화학섬유, 반도체 재료/부품,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제대혈, 제4이동통신,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해운,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2차전지(전고체), 2차전지(생산), 슈퍼박테리아,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반도체 장비 등...
약세 테마초전도체, 핵융합에너지, 전선, 비철금속,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전력설비, 철강 주요종목, 우주항공산업,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양자암호, 항공/저가 항공사(LCC), 국내 상장 중국기업, 유전자 치료제/분석, 백화점, 화장품, 그래핀, 요소수, 철도, 여행, 면세점,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출산장려정책, 남-북-러 가스관사업, 면역항암제, 패션/의류, 조선기자재, 골판지 제조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2차전지 등양극재 수출량 반등 및 2차전지 장비社 수주 잔고 급증 소식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
▷DB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23.7월 양극재(NCM+NCA+NCMA) 수출량은 약 2.6만톤으로 23.4월~6월의 지속적 인 수출량 부진 이후 반등했으며, 특히 NCA 양극재 수출량의 경우 23.7월 5,466톤→23.8월 1~10일 잠정치 기준 2,268톤(23.7월의 42% 수준)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시현했다고 밝힘. 이어 유럽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으나 최근 수출량 호조를 감안하면 NCA와 NCM 양극재 출하량 모두 1Q23 수준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언론에 따르면, 국내·외 2차전지(배터리) 기업이 잇따라 대규모 투자에 나서면서 관련 장비사 수주잔고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자릿수 급증하는 등 빠르게 늘고 있다고 전해짐. 올 들어 배터리 기업의 시설투자가 경쟁적으로 이어지고, 이런 계획이 내년까지 줄줄이 예고돼 있어 장비사들의 수주 활황은 적어도 2024년 말까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음.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합산 생산능력만 봐도 2022년 367GWh(기가와트시)에서 2025년 931GWh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또한, 한 번 충전으로 주행거리를 크게 늘리거나 충전시간을 단축할 ‘게임 체인저’로 프리미엄 음극재인 실리콘이 뜨고 있다고 전해짐. 테슬라·포르쉐 등 해외 기업뿐만 아니라 SK·LG·포스코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실리콘 음극재’를 차세대 음극재 소재로 삼아 시장·기술 선점에 나섰다며, 이는 실리콘을 사용하면 배터리 밀도를 쉽게 높이고 충전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알 려짐.

▷아울러 최근 가파른 조정 장세를 보인데 따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에 제이오, 나인테크, 우신시스템, 에코프로, 천보,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 및 금양, 후성, 리튬포어스, 코스모화학 등 리튬 테마가 상승. 한편, 에코프로는 이날 언론을 통해 지분 투자한 인도네시아 제련소로부터 니켈 400톤을 들여오며, 해외 투자에 대한 첫 결실을 맺었다고 밝힘.
반도체 관련주정부, AI 반도체 집중 지원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업계와 현장의 애로를 반영해 데이터센터 구축, 시제품 생산 비용 지원, 수요기업과 협업 촉진 등 각종 지원도 강화하는 등 AI(인공지능) 반도체 산업계의 애로 해소에 나서는 것으로 전해짐. 금일 정부는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AI반도체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책을 강화하기로 했으며, 우선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를 신속하게 구축해 팹리스(설계)·서비스 기업의 실증 기반을 마련해주기로 했음. 아울러 시제품 반도체 제작 비용 부담을 안고 있는 반도체 팹리스 기업들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시제품 생산 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과감히 혁파하고, 신산업 진입장벽을 완화하는 등 기업의 투자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

▷한편,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경기 부진으로 무역적자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 3분기에는 반도체 수출 부진이 완화될 것으로 한국은행이 전망한 것으로 전해짐. 한은은 최근 ‘2분기 주력산업 모니터링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는 정보기술(IT) 경기 부진과 더딘 재고 소진으로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며 올해 2분기 중 수출액이 감소했으나, 인공지능(AI) 관련 제품 수요 급증, 감산 효과 본격화 등으로 3분기에는 부진이 완화될 전망”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ISC, 월덱스, 천보, 동운아나텍, 레이저쎌, 티에프이, 넥스트칩, 가온칩스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아이폰애플, 아이폰15 생산 증량 요청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언론 보도와 시장 조사기관 (TF)에 따르면 최근 애플이 올해 아이폰15 시리즈 세트 출하량 목표치를 8,700만대로 최종 제시하며 부품 업체에 8~9월부터 가동률 상향을 통한 생산 증량 본격화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애플의 아이폰15 출하량 목표치는 재고비축을 고려할 때 부품 기준으로는 9,100만대 수준으로 추정.

▷아울러 최근 공급망 (SCM) 차질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아이폰15 출하량에 대해 공격적 전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밝힘. 이는 2억대 달하는 아이폰 교체 수요가 도래하고, 아이폰15 부품 공급망 차질이 8월 내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올 하반기 아이폰15와 경쟁할 뚜렷한 경쟁 모델이 부재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등으로 분석.

▷이 같은 소식에 하이비젼시스템, 프로텍, 비에이치, 덕산네오룩스 등 일부 아이폰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1 15:30
제이오 9,630 170 +1.8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2 08:4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