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진쎄미켐(005290) 소폭 상승세 +3.57%
입력 : 2023.09.14 09:33:55
제목 : 동진쎄미켐(005290) 소폭 상승세 +3.57%
기업개요
감광액과 발포제 생산/판매업체.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 등의 노광공정에 사용되는 감광액(Photo Resist)과 건설자재 및 자동차 내장재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기초소재인 발포제 등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 최대주주는 동진홀딩스 외(34.97%) Update : 2023.09.12 |
▶주식 투자의 바이블, 국내 유일의 모바일 주식신문 → 구독하기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9-13 | 33,600 ( -1.47 % ) | 440,631 | +30,173 | -54,947 | +16,703 | +8,071 |
09-12 | 34,100 ( +0.89 % ) | 339,042 | -32,628 | +40,790 | -1,679 | -6,483 |
09-11 | 33,800 ( -1.17 % ) | 316,566 | +39,383 | -41,632 | +881 | +1,368 |
09-08 | 34,200 ( -1.16 % ) | 399,681 | +18,301 | +5,166 | -23,056 | -411 |
09-07 | 34,600 ( +0.29 % ) | 399,088 | +6,698 | +12,785 | -19,403 | -80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9-13 | 32,898 | 29,252 | 3,646 | - | 7.47% |
09-12 | 27,695 | 23,571 | 4,124 | - | 8.17% |
09-11 | 47,772 | 39,475 | 8,297 | 1,875,854 | 15.09% |
09-08 | 51,170 | 42,717 | 8,453 | 1,835,327 | 12.80% |
09-07 | 40,746 | 24,920 | 15,826 | 1,811,701 | 10.21%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공시
☞ 2023-08-07 23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313.17억원(전년동기대비 -7.64%), 영업이익 455.65억원(전년동기대비 -6.35%), 순이익 256.02억원(전년동기대비 -32.43%) |
이슈&테마 스케줄
2023-09-14 ARM 나스닥 상장(현지시간) 2023-09-27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실적발표(현지시간) 2023-10-10 신성에스티 공모청약 2023-10-20 삼성전자 메모리 테크 데이 행사 개최 2023-10-25 반도체대전 2023-11-22 그린비즈니스위크 |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1 15:30
동진쎄미켐 | 28,050 | 1,000 | +3.7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석유산업 지키겠다” 외쳤지만…관세 폭탄에 석유주 줄하락
-
2
‘경기 방어주’ 안에서도 차별화…필수소비재>통신>헬스케어 순 선방
-
3
韓미래기술 선보일 오사카엑스포 한국관 개관…거대 스크린 공개(종합)
-
4
금융지주 손자회사도 PEF 운영 허용
-
5
애플, 아이폰 인도 생산량 60% 늘려…인도 비중 20%로 확대
-
6
[게시판] LH, 작은도서관 활성화 공로로 문체부 장관 표창
-
7
"베선트, 한일 등 동맹과 '중국 포위' 구상…변수는 트럼프"
-
8
산업硏 “韓대미흑자, 美제조업 연계성 고려하면 필연적”
-
9
관세가 다가 아니야…美·EU·중국, 기술규제도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