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늘었지만 …"내 자식은 어려울 것" 우려 커져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입력 : 2023.01.31 17:42:00
입력 : 2023.01.31 17:42:00
KDI 중산층 보고서
'경제 허리' 중산층 비중
10년 새 55%→61% 증가
"자녀도 계층 상승 가능"
41%서 30%로 확 낮아져
지난 10년간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중이 늘었지만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금 덕분에 명목상 중산층 비중은 늘어났음에도 실제 가처분 소득은 정체 상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중은 꾸준히 늘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중·하' 가운데 중간에 속한다고 응답한 비율(통계청 사회조사)은 2013년 51.4%에서 2021년 58.8%로 올랐다.
실제 중산층 비중은 처분가능소득과 시장소득 중 어느 쪽을 기준으로 하는지에 따라 달라졌다. 시장소득은 근로·사업소득 등 '일해서 번 돈'을 말하고, 처분가능소득은 연금·지원금 등 정부의 이전지출까지 포함한 소득이다. 통계청에서 주로 활용하는 중산층 개념인 '중위소득 50∼150%' 비중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2011년 54.9%에서 2021년 61.1%로 높아졌지만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10년째 5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시장소득 기준 중산층이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은 최근 10년간 정부 지원금 등 복지가 중산층 확대에 영향을 줬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정부 보조금이 표면적으로 중산층 확대에 기여한 것은 맞지만, 지속가능성이 낮고 계층 상향 이동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사회에서 노력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매우 높다' '비교적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1년 28.8%에서 2021년 25.2%로 감소했다. '자녀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1년 41.7%에서 2021년 30.3%로 낮아졌다.
이 연구위원은 "정부의 이전지출 확대 같은 정책 방향이 중산층의 생산성 향상, 향후 상향 이동에 대한 기대 증가로는 연결되지 못하는 한계가 뚜렷했다"고 지적했다.
[홍혜진 기자]
'경제 허리' 중산층 비중
10년 새 55%→61% 증가
"자녀도 계층 상승 가능"
41%서 30%로 확 낮아져
지난 10년간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중이 늘었지만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금 덕분에 명목상 중산층 비중은 늘어났음에도 실제 가처분 소득은 정체 상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중은 꾸준히 늘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중·하' 가운데 중간에 속한다고 응답한 비율(통계청 사회조사)은 2013년 51.4%에서 2021년 58.8%로 올랐다.
실제 중산층 비중은 처분가능소득과 시장소득 중 어느 쪽을 기준으로 하는지에 따라 달라졌다. 시장소득은 근로·사업소득 등 '일해서 번 돈'을 말하고, 처분가능소득은 연금·지원금 등 정부의 이전지출까지 포함한 소득이다. 통계청에서 주로 활용하는 중산층 개념인 '중위소득 50∼150%' 비중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2011년 54.9%에서 2021년 61.1%로 높아졌지만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10년째 5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시장소득 기준 중산층이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은 최근 10년간 정부 지원금 등 복지가 중산층 확대에 영향을 줬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정부 보조금이 표면적으로 중산층 확대에 기여한 것은 맞지만, 지속가능성이 낮고 계층 상향 이동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사회에서 노력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매우 높다' '비교적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1년 28.8%에서 2021년 25.2%로 감소했다. '자녀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1년 41.7%에서 2021년 30.3%로 낮아졌다.
이 연구위원은 "정부의 이전지출 확대 같은 정책 방향이 중산층의 생산성 향상, 향후 상향 이동에 대한 기대 증가로는 연결되지 못하는 한계가 뚜렷했다"고 지적했다.
[홍혜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고급 해산물 대표주자였는데”…10년새 반값으로 떨어진 이것, 왜?
-
2
뉴욕증시, 알파벳 실망감 이겨낸 투심…다우 0.71%↑ 마감
-
3
AI 거센 파도, 올라탈까 피할까…'인생 이모작' 갈림길
-
4
미트박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5
[팩트체크] 로또복권은 현금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
6
전일 4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2.05 발표)
-
7
"고령화에 가계부채 감소 전망…총량관리, 자원배분 왜곡 우려"
-
8
당일 4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2.06 발표 예정)
-
9
개장전★주요이슈 점검
-
10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4년 4분기, 2025.02.06 기준,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