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10.18 14:46:55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해운, 희귀금속(희토류 등), LPG(액화석유가스), 페라이트, 은행, 철강 주요종목, 편의점, 생명보험, 자동차 대표주, 시멘트/레미콘, 셰일가스(Shale Gas), 드론(Drone), 항공기부품, 건설 대표주, 렌터카, 손해보험, 영화, 증권, 항공/저가 항공 사(LCC),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도시가스,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반도체 대표주(생산) 등...
약세 테마면역항암제, 비만치료제, 미용기기,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유전자 치료제/분석, 코로나19(진단키트),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치매, 리튬, 골판지 제조, 의료기기, mRNA(메신저 리보핵산), 마이크로바이옴, 면세점,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제약업체, 웹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은행美 주요 은행 호실적 기록 등에 상승
▷지난주 JP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등 美 주요 은행들이 호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지난밤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도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음. 골드만삭스는 3분기 매출 118억2,000만달러(16조42억원), 주당 순익 5.47달러를 기록. 이는 시장 예상치인 매출 111억 9,000만달러, 주당순익 5.31달러를 상회하는 수준.

▷또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도 3분기 매출액이 253억2,000만 달러, 주당 순이익이 90센트를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 전망치 251억4,000만 달러의 매출액과 82센트의 주당 순익을 웃돈 결과임. 모건스탠리는 이날 밤 3분기 실적을 공개할 예정.

▷한편, 지난밤 美 국채금리는 美 9월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Fed 추가 긴축 우려 부각 등에 큰 폭으로 상승. 현지시간 17일 오후 3시(동부시각)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13bp 이상 오른 4.85%대에서 거래됐고, 2년물 국채금리는 11bp 이상 상승한 5.21%대에서 거래됐음. 30년물 국채금리도 8bp 이상 오른 4.95%를 기록. 특히, 10년물과 30년물 금리는 이달 초 기록한 2007년 이후 최고치 수준에 근접.

▷이 같은 소식 속 제주은행, 신한지주, JB금융지주, 기업은행, KB금융 등 은행 테마가 상승.
석유화학내년 석유화학 업황 부진 전망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오는 2024년 국내 일반산업을 전망하는 '2024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간한 가운데,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로 석유화학 업황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음. 석유화학은 중국의 자체 생산 역량 확충에 따른 국내 제품의 수출 감소와 중국제품과 국내 제품 간 역내 경쟁 심화로 2030년 국내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량은 2010년 수준으로 후퇴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중국의 설비는 나프타를 기반으로 하는 우리와는 달리 원유로부터 직접 제품을 생산하는 COTC(Crude Oil to Chemical) 공정이 적용되어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국내 제품에 앞설 것으로 분석.

▷NH투자증권은 석유화학 업종에 대해 2024년 큰 폭의 수요 개선 기대감은 크지 않은 가운데, 공급 과잉과 부담스러운 유가 수준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2023년 중국의 강한 수요 개선에도 불구하고 석유화학 제품 스프레드는 더욱 악화되었으며, 2024년 글로벌 경기 성장률은 2023년 대비 소폭 둔화할 것으로 예상하며, 석유화학 수요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지 않다고 분석.

▷아울러 중국이 유발한 공급 과잉 및 가파르게 상승하는 중국의 자급률로 인해 글로벌 석유화학산업 전반으로 공급 부담이 심화되고, 국내 석유화학기업이 누릴 수 있는 낙수 효과가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 또한, NCC(Naphtha Cracking Center) 업체들의 원료인 납사의 가격은 유가와 동행하는데, 2024년에도 배럴당 80달러를 상회하는 유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NCC 업체들의 높은 원가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이수화학, SKC, 그린케미칼,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석유화학 테마가 하락.
제약/바이오 관련주렉라자 병용요법 임상 결과 실망감 속 하락
▷렉라자 병용요법 임상 결과 초록이 공개된 가운데, 일각에선 공개된 초록에서의 임상 결과가 생각보다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음. 임상 결과는 성공적이지만 기대한 데이터가 아니라는 지적임. 이번 임상에서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군은 항암제 효능 평가의 핵심 지표인 무진행 생존 기간 중앙값(mPFS)이 23.7개월로 타그리소 단독군의 16.6개월 대비 질병 진행 및 사망의 위험을 30% 낮췄음.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생각보다 렉라자의 병용 투여 mPFS가 좋진 않다”며, “ESMO에서 상세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인 만큼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힘.

▷삼성증권은 유한양행에 대해 기존 표준 치료법인 아스트라제네카(AZ)의 '타그리소(오시머티닙)'를 뛰어넘는 결과를 확인했지만,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chemo 병용 임상 3상 FLAURA2의 mPFS 차이(타그리소 mPFS 대비 9.5개월 개선)보다 아쉽다는 이유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고 밝힘. 다만, 이번 임상 결과에 따라 Lazertinib 상업적 가치는 바뀐 것이 없다고 판단된다고 분석.

▷아울러 美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美 국채금리가 급등한 점도 부정적으로 작용. 통상적으로 제약/바이오 관련주는 금리 상승에 따른 밸류에이션 변화가 큰 테마 중 하나임.

▷이 같은 소식 속 제약/바이오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악화되며, 유한양행, 오스코텍, 지아이이노베이션, 한올바이오파마, 한미약품, 알테오젠, 셀트리온 그룹주 등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4 15:30
신한지주 51,800 0 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4 23:1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