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3.10.25 17:10:59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쏘카 (403550) 19,400원 (+22.55%) | 박재욱 대표이사 지분 확대 속 경영권 분쟁 가능성 부각 등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박재욱 대표이사, 동사 주식 648,984주(1.98%) 장내매수 전자공시. 이에 박재욱 대표이사를 포함한 동사 최대주주 유한책임회사 에스오큐알아이 등의 지분율은 38.18%(주권 37.37%)로 증가했음. ▷언론에 따르면, 롯데렌탈은 내년 9월까지 동사 지분을 기존 14.99%에서 32.91%로 늘릴 계획인 가운데, 이번 박재욱 대표이사의 지분 매입은 롯데렌탈을 견제하기 위한 추가 지분 매입인 것으로 전해짐. | |
제이에스코퍼레이션 (194370) 16,840원 (+13.63%) | 3분기 호실적 분석 속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등에 급등 |
▷상상인증권은 동사가 3Q23 매출액 2,685억원(+2% YoY), 영업이익 323억원(+50% YoY)을 기록한 것에 대해, 블랙프라이데이 판매를 위한 물량 납품이 매출액 성장을, 작업자의 숙련도 증가로 인한 공장의 생산성 증가가 영업이익의 개선을 이끌었다고 밝힘. 전년대비 외형성장률 자체는 소폭이나, 업황 회복의 신호가 켜졌다고 봐야한다고 설명. ▷아울러 분기별 수주량 또한 전년대비 증가세에 놓여있다고 언급. 의류 OEM/ODM 기업에서 작업자의 숙련도는 원가절감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데, 예상보다 빠르게 향상되고 있는 작업자의 숙련도를 감안해 기존 리포트에서 예상한 2023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570억원(-30% YoY)에서 810억원(-1% YoY)으로 상향한다고 밝힘. ▷한편, 4Q23 매출액은 2,340억원(+29% YoY), 영업이익은 205억원(+11%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계절성으로 인해 3Q23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하는 실적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나, BOYOLALI 공장 증설에 기인한 캐파 확대에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 | |
아모레퍼시픽/아모레G | 중국 인바운드 회복 효과에 따른 내년 호실적 전망 등에 강세 |
▷상상인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2024E 연결 매출액은 42,161억원(yoy +8.3%), 영업이익은 3,274억원(yoy +104.4%)을 기록 할 것으로 전망. 올해 초부터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던 중국 인바운드 회복 효과가 단체 관광 재개 시점 지연에 따라 연말부터 나타날 것이라고 밝힘. ▷한편, 3Q23E 연결 매출액은 9,197억원(yoy -1.8%), 영업이익은 330억원(yoy +75.3%)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이와 관련, 면세(yoy -16%)와 중국 현지 매출(yoy -3%)의 역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며 기타 내수 채널(온라인, 뉴커머스;방판, 백화점, 아리따움) 모두 부진한 성과가 예상된다고 언급. 다만, 미국과 유럽, 일본, 아세안 등 최근 동사의 고성장세가 나타났던 기타 해외 지역에서는 상반기대비 다소 둔화된 성장률이지만 견조한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5,000원 -> 145,000원[상향] ▷아울러 아모레G에 대해 2024E 연결 매출액은 45,882억원(yoy +8.1%), 영업이익은 3,859억원(yoy +83.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인바운드 회복과 MBS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언급. ▷한편, 3Q23E 연결 매출액은 10,049억원(yoy -1.7%), 영업이익은 455억원(yoy +37.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주요 자회사인 아모레퍼시픽의 실적이 대체로 시장 기대치 대비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나, 아모레G의 기타 화장품 자회사들의 실적은 전분기 BY 종료효과에 따른 일시적 비용 반영에서 벗어나 정상화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7,000원[유지] [종목]: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 |
한국콜마 (161890) 54,800원 (+6.00%) | 내년 안정적 실적 성장 전망 등에 강세 |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3E 연결 실적은 매출액 5,476억원(yoy +15.6%), 영업이익 414억원(yoy +128.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당분기 중 SAP 도입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영업이익에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본업은 견조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 계절적 비수기로 인해 전분기 썬 제품 매출 호조 효과가 제거되었음에도 국내에서 기존 상위 고객사 위주로 기초 제품 주문량이 증가했으며, 중국에서도 썬 제품을 통해 거래가 시작되었던 로컬 업체들에게 품목을 확대하면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4E 연결 실적은 매출액 24,354억원(yoy +11.3%), 영업이익 1,925억원(yoy +26.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현재 국내외 모두 중소형 브랜드 업체들이 화장품 시장의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그간 상대적으로 해외 비중이 낮았던 동사의 매출은 중국 내 현지 고객사들로부터 레퍼런스를 점차 확대해감에 따라 꾸준한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HK이노엔과 연우 실적도 개선되고 있는 만큼 2024년 전 사업부 모두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5,000원 -> 75,000원[상향] | |
LG디스플레이 (034220) 12,580원 (+5.45%) | 3분기 영업이익 적자폭 축소 및 4분기 흑자전환 기대감 등에 상승 |
▷23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78조원(전년동기대비 -29.33%), 영업손실 6,620.8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축소), 순손실 7,753.9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글로벌 수요 부진에도 사업구조 고도화 등의 자구책에 힘입어 적자 규모를 줄이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와 관련 김성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어려운 시장 환경하에서도 사업구조 고도화와 원가 혁신에 전사 역량을 집중하며 손익을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며, "전방 산업의 패널 재고 조정이 완화되고 연말 성수기 수요 대응을 위한 중대형 제품과 모바일 신제품패널 출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4분기에는 흑자 전환을 예상한다"고 밝힘. | |
CJ CGV (079160) 5,140원 (+4.05%) | 3분기 영업이익 19년 영업이익 수준까지 회복 전망 등에 상승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4,200억원(+3% yoy, +4% qoq), 영업이익은 308억원(+298% yoy, +95% qoq)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3Q19 영업이익 수준까지 회복할 것이며, 국내, 베트남, 인도네시아 흑자 유지, 중국도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 ▷아울러 조금 늦어지고 있지만 재무구조 개선은 계획대로 진행중이라고 언급.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4,200억원으로 성사되었고, CJ올리브네트웍스 현물출자에 대한 법원의 인가를 기다리는 중이라고 언급. ▷한편, EV/EBITDA 멀티플은 15~19년 평균 대비 60%를 적용하여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언급. 다만, 팬데믹 이전 대비 관객수가 60% 수준임을 반영하였고 극장이 빠르게 정상화 되고있기 때문에 관객수 정상화 추이를 반영하여 타겟 멀티플 상향이 전망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000원 -> 10,000원[하향] | |
동방 (004140) 1,909원 (+3.92%) | 투자사 로우카본, 미국 걸프만 청정수소 허브 구축 지원 대상 선정 소식 등에 상승 |
▷로우카본은 전일 언론을 통해 미국 걸프만 청정수소 허브(HyVelocity)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미국 연방정부의 청정수소 허브 구축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고 밝힘. 로우카본은 지난해부터 텍사스주 청정수소 허브 구축 사업자 모임인 휴스턴 수소위원회의 회원사로서 걸프만 청정수소 허브 구축에 참여하는 국내 유일 CCUS 기업이며, 로우카본이 포함된 HyVelocity 컨소시엄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에너지 회사인 엑손모빌(Exxon Mobil)과 국제 가스 전문 회사인 에어리퀴드(Air Liquide), 세계 최대 온라인 소매 플랫폼 아마존(Amazon) 등 핵심 업계 참가자와 휴스턴 미래 센터(Center for Houston’s Future) 등 90개가 넘는 지원 파트너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부분에서 총 80억 달러의 청정수소 예산을 집행할 계획인 가운데, 텍사스가 12억 달러 규모 걸프만 수소 허브(HyVelocity Hydrogen Hub; Texas) 컨소시엄으로 청정수소 허브 구축을 위한 사업을 진행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로우카본에 일반투자 형식으로 투자에 나선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덴티움 (145720) 104,500원 (+3.26%) | VBP에 따른 中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중국 내 VBP 시행에 따른 수량 증가 효과는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며, Straumann 2Q23 실적 발표 당시, 유럽 프리미엄 MS 확대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한국 업체들의 수량 증가 역시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 이에 2024E부터는 가격 인하 없이 수량 증가에 따른 실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2024E 실적은 매출액 4,561억원(YoY +15.4%), 영업이익 1,510억원(YoY+17.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중국 실적 성장률 회복에 따라 실적 성장이 가속화될 예정이라며, 중국 매출 성장률 2023E와 2024E 각각 16%와 25%로 추정했다고 밝힘. VBP에 따른 정책 수혜로 다른 국가 대비 높은 성장률 달성이 기대된다고 언급. ▷다만, 3Q23E 실적은 매출액 985억원(YoY +8.6%, QoQ -7.4%), 영업이익 330억원(YoY -2.0%, QoQ -2.3%)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러시아향 선적 지연으로 유럽 매출액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하향] | |
한화오션 (042660) 25,400원 (+2.83%) | 3분기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
▷23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91조원(전년동기대비 +95.30%), 영업이익 741.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316.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번 흑자전환은 2020년 4분기 이후 12분기 만으로, 한화오션으로 공식 출범 후 첫 분기 실적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음. | |
대덕전자 (353200) 22,850원 (-5.19%)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하락 |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3 매출액은 2,371억원, 영업이익은 12억원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4.1%, 91.2% 하회할 것으로 전망. 매출액은 DDR5 의 견조한 수요에 힘입어 QoQ 성장이 예상되지만, 매출액 성장에도 영업이익 부진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 이는 대면적 서버향 FCBGA 진입을 위한 비용 발생과 고객사들로부터 단가인하 압력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2024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11.7% 하항 조정한다며, 목표주가도 하향 조정한다고 언급. 3분기 실적 발표 전후로 추가적인 실적 하향 조정 가능성이 열려있고 단기적으로 업황 개선이 쉽지 않은 만큼 투자의견 Hold를 유지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34,000원 -> 29,000원[하향] | |
포스코 그룹주 | 포스코 그룹주 3분기 실적 부진 등에 약세 |
▷NH투자증권은 POSCO홀딩스에 대해 철강 업황 부진 영향 등으로 3분기 영업이익이 전분기대비 9.8% 감소한 1.2조원을 기록했다고 밝힘. POSCO 영업이익은 0.7조원으로 전분기비 13.6% 감소했는데 탄소강 판매 가격이 전분기비 4.8만원(-4.5% q-q) 하락했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포스코퓨처엠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1.29조원(+22% y-y, +8% q-q), 영업이익은 371억원(-55% y-y, 영업이익률 2.9%)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11%, 45% 하회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N86(GM향) 단결정 양극재 수율이 저조해 단결정 뿐만 아니라 함께 출하가 되어야 할 다결정 양극재의 출하량에도 차질이 발생했다고 밝힘. 이어 4Q23 영업이익은 102억원(영업이익률 0.8%)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할 것으로 예상. ▷이어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대해 3분기 매출액 8조459억원(-11% y-y), 영업이익 3,117억원(+58% y-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철강 업황 부진 영향 등 때문으로 분석. ▷이 같은 소식에 POSCO홀딩스,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엠텍,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DX 등 포스코 그룹주가 하락. [종목]: POSCO홀딩스,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엠텍,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DX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4 15:30
쏘카 | 14,200 | 170 | -1.1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