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3.11.13 11:09:54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종합상사, 백화점, 생명보험, 니켈, 두나무(Dunamu), 도시가스, 전자결제(전자화폐),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증권, 손해보험, 자원개발, 창투사, STO(증권형 토큰 발행), 해운, 반도체 대표주(생산), 가상현실(VR), 정유, 은행, LPG(액화석유가스) 등...
약세 테마HBM(고대역폭메모리), 카지노, 의료AI, 빈대, 엔터테인먼트, LED장비, 반도체 장비, 조선기자재, 음원/음반, 미용기기, mRNA(메신저 리보핵산), 피팅(관이음쇠)/밸브, U-Healthcare(원격진료),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수산, 조선, 의료기기, 영상콘텐츠, 2차전지, 카메라모듈/부품, 면역항암제, 스마트폰, 화장품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기대감 속 비트코인 상승세 지속, 빗썸 IPO 추진 소식 등에 상승
▷美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3만7,000달러를 돌파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음. 이와 관련,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인 난센 CEO 알렉스 스바네빅(Alex Svanevik)은 자신의 X(옛 트위터)에 최근 "가상자산 시장을 낙관하는 근거는 차고 넘친다"면서 "현물 ETF가 수개월 내 출시된다. 이번에는 진짜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이 뒤따를 전망"이라고 언급했음.

▷다만, 비트코인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 비트코인 회의론자로 분류되는 피터 시프 유로퍼시피캐피탈 CEO는 최근 X를 통해 "현물 ETF 기대감에 투기수요가 몰리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3만8,000달러에 근접하고 있다"면서 "이들이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매도할 경우 ETF를 구매할 사람은 많지 않을 전망이다. 폭락에 대피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음.

▷국내 대표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의 IPO 추진 기대감도 지속되는 모습. 투자은행(IB) 및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빗썸 운영사 빗썸코리아는 지난달 말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IPO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짐. 상장 목표 시점은 2025년 하반기로, 우선 코스닥 상장에 초첨을 맞추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행선지를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으로 변경할 가능성도 열려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한편, 오전 11시 경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37,26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에서는 4,950~4,960만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에 금일 티사이언티픽, 제이씨현시스템, 위지트, 우리기술투자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제약업체국내서 中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확산세 지속 등에 상승
▷최근 중국에서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호흡기 감염병인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국내에서도 지속 확산세를 보이고 있음. 1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에 감염돼 입원한 환자는 44주 차(10월 29일~11월 4일) 168명을 기록했으며, 한 달 전인 41주차에 90명에서 42주 102명, 43주 126명 등으로 4주째 증가세를 나타냈음.

▷또한, 질병청 집계인 168명은 200병상 이상 218개 병원에서 신고한 환자 수를 집계한 것으로 의료계에서는 당국 집계보다 감염 환자 수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실제로 경기 남부 지역 한 아동병원에서만 최근 15명 이상의 환자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으로 입원했지만, 이는 집계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짐.

▷이에 금일 한국파마, 팜젠사이언스, 신신제약, 광동제약, 녹십자 등 일부 제약업체 테마가 상승.
메타버스(Metaverse)/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메타, 中서 15년만에 VR시장 재진출 추진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지난 11일 언론에 따르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이 중국의 'IT 공룡' 텐센트 홀딩스와 저가 버전의 가상현실(VR) 헤드셋 판매를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텐센트가 메타의 VR 헤드셋에 대한 중국 독점 판매권을 확보했으며, 내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중국에서 판매를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음. 이를 위해 두 회사는 앞으로 1년간 협상을 통해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

▷중국 시장을 겨냥한 VR 헤드셋은 메타의 최신 모델인 '퀘스트 3'보다 저렴한 렌즈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에 따라 메타가 지난 9월 출시한 '퀘스트 3(499달러, 65만9천원)보다 가격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메타의 VR 헤드셋이 중국에서 판매되면 메타는 15년 만에 중국 시장에 진출하게 됨. 다만, 중국 정부가 최근 게임과 디지털 콘텐츠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메타의 헤드셋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것으로 알려졌음.

▷이에 금일 맥스트, 덱스터, 칩스앤미디어, 엔피, 자이언트스텝 등 일부 메타버스(Metaverse)/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테마가 상승.
HBM(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 관련주한미반도체, 3분기 어닝쇼크 속 하락
▷한미반도체는 지난 10일 장 마감 후 23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11.99억원(전년동기대비 -61.15%), 영업이익 29.03억원(전년동기대비 -90.98%), 순이익 146.68억원(전년동기대비 -62.09%).

▷유진투자증권은 한미반도체에 대해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했다고 밝힘. 영업이익 감소폭이 시장의 예상보다 컸던 주된 요인은 내부회계 기준 변경에 따른 충당금 설정과 MSVP(microSAW & VISION PLACEMENT) 장비의 매출 인식 지연 때문이라고 분석. 향후 HBM 시장 개화에 따른 수요 증가의 수혜에 가장 가까운 소부장 기업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판단하지만, 여전히 부진한 매크로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기는 어렵다고 언급. 새로운 주력 장비인 HBM TC Bonder와 함께 2.5D Bonder, 글라스 기판에 대응 가능한 MSVP 장비 매출 증가로 매출 체질이 변화하는 과정을 지나는 중이라고 언급.

▷한편, 이날 관세청이 발표한 '11월1~1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은 182억3,7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2% 증가했으며,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1억5,000만달러로 3.2% 증가했음. 특히, 반도체 수출액는 전년동기대비 1.3% 증가했지만, 수출 비중은 15.3%로 0.3%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음.

▷이 같은 소식에 한미반도체를 비롯해 레이저쎌, 워트, 디아이티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테마와 펨트론, 프로텍, 하나마이크론, ISC, 지니틱스 등 반도체 관련주도 하락.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9 15:30
티사이언티픽 728 8 +1.11%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0 08:5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