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브릭(286750) 상승폭 확대 +8.20%
입력 : 2023.11.15 10:52:06
제목 : 나노브릭(286750) 상승폭 확대 +8.20%
기업개요
액티브 나노플랫폼(Active Nano-Platform) 기반 보안사업 전문 업체. 신소재 개발/생산 기반인 액티브 나노플랫폼을 토대로, 세계 최초이자 유일하게 양산에 성공한 자기색가변 소재를 이용한 '보 안사업(위조방지/정품인증/보안인쇄)'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중. 이외에도 보안사업의 핵심소재인 자성입자를 기반으로 핵산 추출·정제 시약을 제조·판매하는 바이오 소재사업 및 나노입자를 기반으로 외부 전기신호에 따라 투과도나 컬러가 가변되는 신소재를 개발ㆍ양산 중에 있는 디스플레이 소재 사업을 영위중. 주요 제품으로는 보안응용 제품 M-TAG(정품인증라벨), M-PAC(정품인증팩키징)과 보안소재 제품 M-SecuPrint(자기색가변 보안소재), 기능성신소재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주재현 외(19.58%) Update : 2023.09.14 |
▶주식 시장의 어제와 오늘, 내일까지 한번에 담았습니다.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11-14 | 2,865 ( -9.19 % ) | 684,462 | +16,662 | +26,226 | -17,792 | -25,096 |
11-13 | 3,155 ( -4.97 % ) | 268,894 | -2,150 | +20,018 | -31,010 | +13,142 |
11-10 | 3,320 ( +1.84 % ) | 333,315 | -25,406 | +22,840 | 0 | +2,566 |
11-09 | 3,260 ( -0.31 % ) | 152,355 | +16,321 | -6,887 | -12,997 | +3,563 |
11-08 | 3,270 ( -2.24 % ) | 422,922 | +13,548 | +6,192 | -620 | -19,120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11-14 | 0 | 0 | 0 | - | 0.00% |
11-13 | 0 | 0 | 0 | - | 0.00% |
11-10 | 0 | 0 | 0 | 0 | 0.00% |
11-09 | 0 | 0 | 0 | 0 | 0.00% |
11-08 | 0 | 0 | 0 | 0 | 0.00%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3-11-14 3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 2023-10-23 전자종이 '이스킨(E-Skin)' 전자가격표시기(ESL) 모듈 적용 성공 소식에 상승 ☞ 2023-10-13 올해 영업이익 흑자 전환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2023-10-12 E-Product 로드맵을 통한 신제품 출시 기대감 지속에 강세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9 15:30
나노실리칸첨단소재 | 2,600 | 55 | -2.07%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위니아에이드, 24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2
中, 덴마크·독일·폴란드 연쇄접촉…'다자주의·자유무역' 강조(종합)
-
3
로스웰, 50.8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4
위니아에이드, 89.63% 비율의 감자 결정
-
5
위니아에이드, 0.97% 비율의 감자 결정
-
6
뉴욕증시, 美 신용등급 강등에 하락 출발…국채 금리 '급등'
-
7
뉴욕증시, 美신용등급 강등 후 첫 거래일 약세 출발
-
8
뉴욕연은 총재 "달러자산 선호 변화 있지만 국채시장 문제없어"
-
9
'헤지펀드 대부' 달리오 "美국채 위험도, 무디스 경고보다 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