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도시재생 거점시설 줄줄이 방치…14억 시설도 '개점휴업'
"주민 수요와 활용방안 검토 없이 '일단 짓고 보자' 식 건립 탓"
백도인
입력 : 2023.11.28 07:03:00
입력 : 2023.11.28 07:03:00

[전주시의회 제공]
(전주=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전북 전주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만든 도시재생 거점시설들이 제대로 운영에 들어가지도 못한 채 줄줄이 방치되고 있다.
주민 수요와 활용방안 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채 '일단 짓고 보자'는 식으로 안일하게 추진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전주시와 전주시의회에 따르면 최근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건립된 거점시설 14개 가운데 5개가 개점휴업 상태다.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의 구심점 역할을 맡기기 위해 2019년 말 13억여원을 들여 만든 팔복동의 어울마당은 올해 2월 문을 닫은 뒤 방치되고 있다.
한 협동조합이 맡아 커피숍 등으로 운영했으나 수익성이 떨어지자 손을 떼고 철수하면서다.
14억여원을 투입해 작년 말 완공한 서학동 예술마을의 복합문화시설도 1년이 다 되도록 방치돼 있다.
전시 및 체험시설 등을 갖추고 예술마을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계획이었으나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전주시의회 제공]
5억여원이 투입된 승암마을의 주민 공동시설과 서학동의 예술인을 위한 생활 및 숙박시설 등도 길게는 3년이 넘도록 텅 비어 있다.
도시재생 거점시설들이 이처럼 외면받는 것은 주민 참여 없이 행정 주도로 건물부터 지은 탓이 크다.
지역의 특성이나 주민 요구가 고려되지 않은 채 건물이 지어지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정 기간 정상적으로 운영됐던 시설도 행정의 운영비나 인건비 지원이 끝나면 문을 닫는 사례가 많다.
전주시의회 이보순 의원은 "지역 특성과 공동체의 역량에 맞게 계획단계에서부터 구체적인 용도와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건물부터 짓고 보자는 식으로 추진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빚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라도 안정적인 활용방안과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서연 시의원도 "도시재생 거점시설이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매년 조성되고 있었으나 정작 활발하게 운영되는 곳은 거의 없다"면서 "앞으로 관리비 부담 등이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는 만큼 지속 가능한 운영 및 활용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주민의 내부 갈등과 관리 역량 부족, 수익구조 미비 등도 원인으로 분석된다"며 "지역의 역량 있는 단체 또는 사회적 경제조직 등을 통해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doin100@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닥지수 : ▼4.02P(-0.56%), 717.84P
-
2
삼성운용 “KODEX 미국 대표지수 ETF 2종 유보 배당금 15분기 동안 분배”
-
3
카카오페이,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135.61억원
-
4
갤럭시아에스엠(011420) 소폭 상승세 +3.11%
-
5
카카오페이,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44.11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6
현대퓨처넷,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37.67억원
-
7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동향
-
8
인크로스,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20.08억원
-
9
스피어(347700) 소폭 상승세 +3.24%
-
10
인기검색 20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