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3.12.08 17:18:16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12/8 KOSDAQ 830.37(+2.11%)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美 증시 상승 및 美 기술주 강세(+)
지난밤 뉴욕증시가 11월 고용동향보고서 대기 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18.71(+5.51P, +0.68%)로 상승 출발. 장 초반 818.50(+5.30P, +0.6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오전중 824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음. 이후 상승폭을 줄여 오후 들어 819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했고, 장 막판 830.99(+17.79P, +2.1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830.37(+17.17P, +2.11%)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상승. 외국인과 기관은 하루만에 동반 순매수 전환. 개인은 3,000억 넘는 순매도를 기록. AMD(+9.89%), 알파벳A(+5.31%), 엔비디아(+2.40%), 인텔(+2.13%), 애플(+1.01%), 테슬라(+1.37%) 등 美 주요 기술주가 상승한 가운데, 위험 선호심리가 부각됐음. 원/달러 환율이 18원 넘게 하락하면서 외국인 수급에 우호적인 환경도 조성. 정부가 대주주 기준을 10억에서 30억으로 상향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호재로 작용.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AMD AI칩 공개 등에 리노공업(+4.52%), ISC(+4.85%), 이오테크닉스(+1.88%), 하나마이크론(+3.55%)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마음AI(+6.09%), 셀바스AI(+5.73%), 폴라리스오피스(+5.17%), 크라우드웍스(+4.85%) 등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도 상승.
에코프로비엠(+3.81%), 에코프로(+5.54%), 엘앤에프(+0.91%), 더블유씨피(+3.99%)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상승. 셀트리온헬스케어(+5.72%), 셀트리온제약(+6.15%) 등 셀트리온 그룹주, HLB(+5.04%), 알테오젠(+0.68%) 등 제약/바이오, JYP Ent.(+1.40%), 에스엠(+4.13%) 등 엔터, 위메이드(+3.03%), 카카오게임즈(+1.57%), 펄어비스(+1.83%) 등 게임주가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94억, 2,015억 순매수, 개인은 3,38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루닛(+6.28%), 셀트리온제약(+6.15%), 레인보우로보틱스(+5.81%), 셀트리온헬스케어(+5.72%), 에코프로(+5.54%), HLB(+5.04%), 리노공업(+4.52%), 에스엠(+4.13%), 에코프로비엠(+3.81%), 포스코DX(+3.78%), 위메이드(+3.03%), 동진쎄미켐(+2.75%), 펄어비스(+1.83%) 등이 상승. 반면, CJ ENM(-0.13%), 삼천당제약(-0.29%) 등은 하락. HPSP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인터넷(+4.42%), 금융(+4.04%), 유통(+3.25%), 반도체(+3.08%), 일반전기전자(+2.81%), 소프트웨어(+2.72%), IT S/W & SVC(+2.44%), IT H/W(+2.41%), 출판/매체복제(+1.96%), 디지털컨텐츠(+1.90%), 기계/장비(+1.79%), 제조(+1.76%), 제약(+1.65%), 기타서비스(+1.63%), 오락문화(+1.51%) 등이 상승. 반면, 건설(-0.57%)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30.37P(+17.17P/+2.11%)
지난밤 뉴욕증시가 11월 고용동향보고서 대기 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18.71(+5.51P, +0.68%)로 상승 출발. 장 초반 818.50(+5.30P, +0.6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오전중 824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음. 이후 상승폭을 줄여 오후 들어 819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했고, 장 막판 830.99(+17.79P, +2.1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830.37(+17.17P, +2.11%)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상승. 외국인과 기관은 하루만에 동반 순매수 전환. 개인은 3,000억 넘는 순매도를 기록. AMD(+9.89%), 알파벳A(+5.31%), 엔비디아(+2.40%), 인텔(+2.13%), 애플(+1.01%), 테슬라(+1.37%) 등 美 주요 기술주가 상승한 가운데, 위험 선호심리가 부각됐음. 원/달러 환율이 18원 넘게 하락하면서 외국인 수급에 우호적인 환경도 조성. 정부가 대주주 기준을 10억에서 30억으로 상향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호재로 작용.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AMD AI칩 공개 등에 리노공업(+4.52%), ISC(+4.85%), 이오테크닉스(+1.88%), 하나마이크론(+3.55%)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마음AI(+6.09%), 셀바스AI(+5.73%), 폴라리스오피스(+5.17%), 크라우드웍스(+4.85%) 등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도 상승.
에코프로비엠(+3.81%), 에코프로(+5.54%), 엘앤에프(+0.91%), 더블유씨피(+3.99%)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상승. 셀트리온헬스케어(+5.72%), 셀트리온제약(+6.15%) 등 셀트리온 그룹주, HLB(+5.04%), 알테오젠(+0.68%) 등 제약/바이오, JYP Ent.(+1.40%), 에스엠(+4.13%) 등 엔터, 위메이드(+3.03%), 카카오게임즈(+1.57%), 펄어비스(+1.83%) 등 게임주가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94억, 2,015억 순매수, 개인은 3,38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루닛(+6.28%), 셀트리온제약(+6.15%), 레인보우로보틱스(+5.81%), 셀트리온헬스케어(+5.72%), 에코프로(+5.54%), HLB(+5.04%), 리노공업(+4.52%), 에스엠(+4.13%), 에코프로비엠(+3.81%), 포스코DX(+3.78%), 위메이드(+3.03%), 동진쎄미켐(+2.75%), 펄어비스(+1.83%) 등이 상승. 반면, CJ ENM(-0.13%), 삼천당제약(-0.29%) 등은 하락. HPSP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인터넷(+4.42%), 금융(+4.04%), 유통(+3.25%), 반도체(+3.08%), 일반전기전자(+2.81%), 소프트웨어(+2.72%), IT S/W & SVC(+2.44%), IT H/W(+2.41%), 출판/매체복제(+1.96%), 디지털컨텐츠(+1.90%), 기계/장비(+1.79%), 제조(+1.76%), 제약(+1.65%), 기타서비스(+1.63%), 오락문화(+1.51%) 등이 상승. 반면, 건설(-0.57%)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30.37P(+17.17P/+2.11%)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루닛 | 50,000 | 2,600 | -4.9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납북자가족, 대북전단 중단 선언한다…8일 파주시와 공동회견
-
2
[내일은 못볼지도] 대하소설 태백산맥 등장한 벌교 명물 '참꼬막' 멸종위기
-
3
북, 5개년계획 완결 반년 앞두고 독려…"한계 초월해야"
-
4
군포시, '주거복지센터' 시청 별관에 개소…주거안정 지원
-
5
트럼프, 국정의제 핵심법안 서명…"美 경제 로켓처럼 성장할 것"(종합)
-
6
원주 도래미시장, 전통시장·상점가 활성화 공모 선정
-
7
부산시 예산에 해양수산 비중 0.68%…해양수도 무색
-
8
[이지 사이언스] 건선 환자 150만명…치료 미루면 합병증 덮친다
-
9
제천한방엑스포 D-77 맞이 온라인 이벤트
-
10
부산 해양수산 특성화 국립대, 해수부 이전 효과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