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릭스미스, 바이오솔루션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팜뉴스=김태일 기자] ㈜헬릭스미스가 20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바이오솔루션(대표이사 장송선)과 유상증자 등을 포함한 경영권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의해 헬릭스미스는 바이오솔루션을 3자배정 대상자로 총 365억 원의 자금을 조달하는 유상증자를 진행한다. 유상증자 대금 납입일은 12월 28일이다.
로고, 그래픽, 폰트, 상징이(가) 표시된 사진자동 생성된 설명이번 신주 발행의 결과에 따라 헬릭스미스의 최대주주는 기존 지분 9.39%를 보유한 카나리아바이오엠에서 증자 후 헬릭스미스 지분 15.22%를 확보하는 바이오솔루션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바이오솔루션은 헬릭스미스의 R & D 프로그램 및 주요 파이프라인 대부분을 유지하는 한편 상호 파트너십을 통해 각사의 기존 포트폴리오에서 시너지 효과를 내는 과제를 개발하여 연구 및 사업 분야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바이오솔루션은 회사의 주력 파이프라인인 세포치료제 분야에 헬릭스미스의 유전자전달체 기술을 접목시켜 세포치료제 사업 역량을 더욱 강화시키고, 헬릭스미스의 글로벌 임상능력을 자사 세포치료제의 미국 임상시험에 활용할 계획이다.
바이오솔루션은 헬릭스미스가 개발해 온 HGF/c-Met (HMET) 플랫폼 기반의 후보 물질들(엔젠시스, NM301, VM507등)과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 치료제) 프로그램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헬릭스미스 마곡 본사에 위치한 800평 규모의 세포치료제 GMP 생산 시설(CGT Plant)을 활?하여 본격적인 CDMO (공정개발 및 생산 위탁)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바이오솔루션의 장송선 대표이사/회장은 "헬릭스미스가 신약개발 전주기에 걸쳐 축적한 지적재산과 플랫폼 기술과 글로벌 임상개발 능력은 돈으로는 환산할 수 없는 값비싼 자산이다. 이러한 헬릭스미스의 자산을 활용하여 양사를 글로벌 스케일에서 주목받는 바이오기업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헬릭스미스는 엔젠시스로 미국과 중국에서 각각 통증과 족부궤양을 대상으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둘 중 하나만 성공해도 획기적인 일이고, 시장규모도 매우 크다. 하지만 우리의 투자 목적은 이미 있는 특정 제품 혹은 특정 질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세포치료제 분야에서 다수의 제품과 사업을 창출하는 플랫폼을 확보하는 데 있다."라고 덧붙였다.
헬릭스미스의 CTO인 유승신 박사는 "헬릭스미스의 R & D 프로그램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파트너를 찾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이번 투자를 계기로, 그간 미국 임상으로 우선순위에서 밀렸던 사업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라며 이번 파트너십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이번 지배구조 변경을 통해 헬릭스미스는 소액주주 측이 제기한 신주발행 무효소송을 더 이상 다투지 않고 신속하게 종결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카나리아바이오 그룹과의 관계도 정리할 계획임을 밝혔다.
헬릭스미스와 이번 계약을 체결한 바이오솔루션은 2000년 설립돼 2018년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로 상장했다. 시판된 자가연골 세포치료제 '카티라이프'를 비롯해 첨단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 융합소재 전반에 걸쳐 연구 및 임상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 관련 종목
헬릭스미스 | 2,280 | 100 | -4.2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MBK 김병주, 홈플러스 사태에 ‘찔끔’ 사재 출연…지원 규모 얼마길래
-
2
트럼프 SNS 몇 줄에 세계 금융시장 놀아났다…관세 유예 소식에 증시 대폭등
-
3
[단독]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ICC 풋옵션 보고서 끝내 제출 안해···법정공방 확전 조짐
-
4
큐리어스, 홈플러스에 소상공인 결제대금 DIP 대출 추진
-
5
강원 고성 비무장지대서 산불…진화 헬기 일몰로 철수
-
6
美관세 피한 中상품 러시아에 밀려들까…"대비해야"
-
7
트럼프·시진핑 맞짱판 깔렸다…"관세유예 목적은 중국 고립"
-
8
논산 육군훈련소 30연대 급식 삼성웰스토리가 맡는다
-
9
[속보] EU 수장 "철강관세 보복조치 90일간 보류"
-
10
금감원, 증권사 캡티브 영업관행 검사…미래·삼성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