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 구조조정 나선 부처들, 국회에 막혀 '답답'
송광섭 기자(opess122@mk.co.kr),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이희조 기자(love@mk.co.kr)
입력 : 2023.02.13 17:34:22 I 수정 : 2023.02.13 23:03:29
입력 : 2023.02.13 17:34:22 I 수정 : 2023.02.13 23:03:29
소관 상임위에 개정안 냈지만
여야 대치로 국회통과 하세월
국토부·농림부 설득작업 계속
◆ 세금 축내는 위원회 ◆
이른바 '좀비 위원회'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정부 부처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부터 기능이 중복되는 위원회를 줄이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어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여야 대치로 논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구조조정이 수개월째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
13일 한 정부 관계자는 "부처마다 설치 근거 법률에 따라 관행적으로 위원회를 하나둘씩 만들다 보니 많게는 수십 개까지 늘어나게 됐다"며 "기능이 중복되는 위원회가 여러 개 생겼고 부작용도 있어 구조조정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그러나 위원회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관련 법률 개정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담당 부처에서도 위원회 통폐합 구상만 세워뒀을 뿐 정작 진행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부처 관계자는 "법률 개정안은 이미 국회에 제출돼 있는데 국회에서 논의가 전혀 안 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개정안을)빨리 통과시켜달라고 국회를 찾아가 계속 설득하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이유로 위원회 구조조정에 가장 애를 먹고 있는 부처 중 하나가 국토교통부다. 국토부에는 65개의 위원회가 있고 세 가지 방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된다. 우선 8개 위원회를 3개로 통폐합할 계획이다. 25개 위원회는 비상설 기구로 전환해 필요할 때만 구성했다가 기한이 끝나면 해산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 1개 위원회는 완전히 폐지한다. 이를 통해 33개 위원회만 남긴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소관 상임위인 국토교통위원회에서 개정안 논의가 이뤄지지 않아 구조조정 작업은 멈춰 있다. 그나마 항공보안협의회의 경우에는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법률 개정안이 통과돼 민간위원 없는 공무원 협의기구로 전환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이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 농식품부는 관리 중인 17개 위원회를 폐지하기로 하고, 법률 개정안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회부했다. 하지만 양곡관리법 개정안 등 다른 현안에 밀려 아직 상정조차 안 됐다. 보건복지부도 18개 위원회를 없애기 위해 지난해 9월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아직 계류 중이다.
이진수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정부가 정책적 결정을 내릴 때 다른 부처와 민간의 의견을 듣고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서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며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위원회가 존속돼 비효율성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광섭 기자 / 홍혜진 기자 / 이희조 기자]
여야 대치로 국회통과 하세월
국토부·농림부 설득작업 계속
◆ 세금 축내는 위원회 ◆
이른바 '좀비 위원회'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정부 부처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부터 기능이 중복되는 위원회를 줄이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어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여야 대치로 논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구조조정이 수개월째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
13일 한 정부 관계자는 "부처마다 설치 근거 법률에 따라 관행적으로 위원회를 하나둘씩 만들다 보니 많게는 수십 개까지 늘어나게 됐다"며 "기능이 중복되는 위원회가 여러 개 생겼고 부작용도 있어 구조조정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그러나 위원회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관련 법률 개정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담당 부처에서도 위원회 통폐합 구상만 세워뒀을 뿐 정작 진행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부처 관계자는 "법률 개정안은 이미 국회에 제출돼 있는데 국회에서 논의가 전혀 안 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개정안을)빨리 통과시켜달라고 국회를 찾아가 계속 설득하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이유로 위원회 구조조정에 가장 애를 먹고 있는 부처 중 하나가 국토교통부다. 국토부에는 65개의 위원회가 있고 세 가지 방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된다. 우선 8개 위원회를 3개로 통폐합할 계획이다. 25개 위원회는 비상설 기구로 전환해 필요할 때만 구성했다가 기한이 끝나면 해산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 1개 위원회는 완전히 폐지한다. 이를 통해 33개 위원회만 남긴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소관 상임위인 국토교통위원회에서 개정안 논의가 이뤄지지 않아 구조조정 작업은 멈춰 있다. 그나마 항공보안협의회의 경우에는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법률 개정안이 통과돼 민간위원 없는 공무원 협의기구로 전환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이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 농식품부는 관리 중인 17개 위원회를 폐지하기로 하고, 법률 개정안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회부했다. 하지만 양곡관리법 개정안 등 다른 현안에 밀려 아직 상정조차 안 됐다. 보건복지부도 18개 위원회를 없애기 위해 지난해 9월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아직 계류 중이다.
이진수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정부가 정책적 결정을 내릴 때 다른 부처와 민간의 의견을 듣고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서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며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위원회가 존속돼 비효율성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광섭 기자 / 홍혜진 기자 / 이희조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