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4.03.04 17:09:08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KD (044180) 832원 (+30.00%) | 지난해 흑자전환에 상한가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01.40억원(전년대비 +74.08%), 영업이익 97.3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49.8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
덕산테코피아 (317330) 38,650원 (+29.92%) | 글로벌 빅파마 개발 비만치료제 중간체 양산 납품 예정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Big Pharma)가 개발한 비만치료제 중간체를 양산해 납품할 예정이라고 밝힘. 해당 비만치료제는 지난 22~23년도 미국 FDA 신약 승인(당뇨치료제, 비만치료제)에 이어, 작년 국내 식약처로 부터 당뇨치료제로 승인 받은 바 있다며, 동사가 생산한 제품은 최종 생산업체를 거쳐 글로벌 빅파마에 납품될 중간체에 해당한다고 설명. ▷다만, 구체적인 고객사명, 치료제명 등은 고객사 요청으로 공개하지 않는다고 밝힘. | |
삼목에스폼 (018310) 23,700원 (+29.86%) |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상한가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38.30억원(전년대비 +31.43%), 영업이익 1,260.16억원(전년대비 +85.05%), 순이익 1,216.28억원(전년대비 +107.75%). ▷아울러 8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4-03-08~2025-09-04, NH투자증권 주식회사) 공시.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율1.81%)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3-12-31) 공시. | |
폴라리스 그룹 | AI 융합 시너지 모색 목적으로 제약업체 에스텍파마 인수 등에 급등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폴라리스AI, 지분취득에 따른 사업다각화 및 신성장동력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에스텍파마 주식 601,534주를 101.11억원에 신규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5.06%, 양수예정일:2024-03-27) 공시. 폴라리스오피스, 에스텍파마 주식 614,753주를 103.33억원에 신규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5.17%, 양수예정일:2024-03-27) 공시. 폴라리스세원, 에스텍파마 주식 781,703주를 110.66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6.16%, 취득예정일:2024-05-31) 공시. 폴라리스우노, 에스텍파마 주식 781,703주를 110.66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6.16%, 취득예정일:2024-05-31) 공시. ▷이와 관련, 폴라리스그룹은 에스텍파마 인수 후 단기적으로는 기존 사업의 내실화를 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제약산업에 AI(인공지능)를 접목할 계획으로 연구개발(R&D)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를 AI로 대체하고 합성 신약에서 원료의약품 연구까지 적용할 것으로 알려짐. 폴라리스오피스그룹 관계자는 "건실한 펀더멘털을 보유한 원료의약품 전문 제조업체를 그룹사에 신규 편입함으로써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다"며, "안정된 성장 발판을 기반으로 앞으로도 미래성장 가능성과 건실한 펀더멘털을 겸비한 기업을 선별해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힘. 이어 "폴라리스오피스가 지난 27년간 쌓아온 기술력으로 AI 분야를 선도하는 것과 같이, 장기적 성장 전략을 마련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겠다"고 강조했음. ▷이 같은 소식에 폴라리스AI, 폴라리스세원, 폴라리스세원, 폴라리스우노 등 폴라리스 그룹주가 상승. 한편, 에스텍파마도 상승. [종목]: 폴라리스AI, 폴라리스오피스, 폴라리스우노, 폴라리스세원 | |
퀄리타스반도체 (432720) 38,900원 (+16.29%) | 차세대 인터페이스 IP 및 칩렛 시장 성장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AI, 자율주행 등의 첨단 산업이 발전하면서 데이터 전송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라 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초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동사의 PCIe, UCIe, MIPI, eDP, 100G SERDES와 같은 인터페이스 IP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동사의 차세대 인터페이스인 PCIe 6.0을 개발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상황이며, 삼성파운드리 인터페이스 IP 파트너로 부각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칩렛 시장의 성장에 따른 UCle 침투율 증가도 기대된다고 밝힘.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하면서 SoC와 칩렛(Chiplet)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칩렛 시장은 2035년 570억 달러로 2024년 대비 약 10배의 고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 동사도 칩렛 표준 인터페이스 UCIe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력충원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 | |
유일에너테크 (340930) 10,490원 (+11.71%) |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조립 장비 단독 수주 소식에 급등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현대자동차가 발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를 단독 수주한 것으로 전해짐. 현대차는 지난해 말 경쟁 입찰을 진행했고, 입찰에는 동사를 비롯해 하나기술, 엠플러스, 미디어테크 등 국 내 주요 조립공정 업체가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입찰 결과 동사가 조립공정 장비 전체를 턴키 공급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현대차 공급과 관련해 “고객사 수주 내용은 확인이 어렵다”고 언급. | |
애니플러스 (310200) 3,840원 (+10.66%)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13.46억원(전년대비 +91.54%), 영업이익 228.62억원(전년대비 +137.49%), 순이익 99.62억원(전년대비 +83%). | |
HB솔루션 (297890) 4,260원 (+10.51%) | 반도체 장비 분야로 사업 다각화 기대감 등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그동안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해왔던 초정밀 반도체 계측장비 '나노마이스(Nano-MEIS)' 가 올해부터 성과를 거둘 전망이며, 반도체 계측장비 시장에 본격 진출하게 된다고 밝힘. 지난 2021년 SK하이닉스 분석실에 나노마이스 장비가 반입된데 이어, 올해에는 국내외 유수의 종합 IDM업체에도 장비가 반입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동사는 "그동안 여러 글로벌 대형 IDM회사들과 시료테스트를 진행해왔던 나노마이스 장비가 올해 데모장비 반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고 설명. | |
휴젤 (145020) 202,500원 (+10.11%) | 보툴리눔 톡신 '레티보' 美 FDA 허가 등에 급 등 |
▷보툴렉스(Botulax, 수출명 Letybo) 50유닛, 100유닛의 미국 품목허가 획득 공시. 동사는 현지 시장으로 본격적인 진출 및 해외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지 파트너사와 함께 현지 시장 특성에 맞는 판매 전략을 수립하여 미국 내 제품 출시 및 마케팅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이번 FDA 승인으로 글로벌 3대 톡신 시장인 미국과 중국, 유럽에 모두 진출한 국내 최초 및 유일한 기업이자 전 세계 3번째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고 전해짐. ▷한편, 미국은 세계 최대 보툴리눔 톡신 시장으로,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며, 디시전 리소스 그룹 및 보스턴 컨설팅 그룹 등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자료에 따르면, 그 규모는 2023년 3조2,500억원에서 2031년 6조3,6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성장할 전망임. | |
앤디포스 (238090) 3,785원 (+7.53%) |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강세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443.59억원(전년대비 +0.45%), 영업이익 8.0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108.9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
레고켐바이오 (141080) 57,200원 (+7.52%) | AACR서 총 5개 파이프라인 포스터 발표 주목 분석 등에 강세 |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월5일(금)부터 10일(수)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진행되는 AACR(미국 암 연구학회)에서 총 5개 파이프라인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번 AACR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5건의 발표 중 가장 주목해야할 파이프라인은 Claudin 18.2 ADC(LCB02A)로, Claudin 18.2는 HER2(LCB14, 포순제약 기술이전) -> Trop-2(LCB84, Janssen 기술이전)에 이어 ADC에서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타겟이며, 특히, 정 상조직에서는 위점막이 있는 부위에 제한적으로 발현되어 ADC로 접근하기 매력적이라고 밝힘. 두번째로 주목해야할 파이프라인은 이중항체 ADC로 이번 AACR에서는 어떤 타겟과 Palylaod를 선택해 기존 접근법 대비 효능/독성 측면에서 얼마나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관전 포인트라고 설명. | |
앱클론 (174900) 18,610원 (+6.95%) | 美 암연구학회서 항암 신약 후보물질 AT501·AM105 연구결과 공개 예정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4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4)에서 항암 신약 후보물질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힘. 스위처블(switchable) 플랫폼 기반 고형암 CAR-T 치료제 기술이 도입된 ‘AT501’과 어피맵(AffiMab) 이중 항체 기술이 도입된 ‘AM105’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AT501의 발표는 공동연구자인 서울대 의대 정준호 교수가 맡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스위치 물질의 투여 양과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고형암 치료 및 재발에 대한 억제 효과를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며 “스위치 물질에 의한 활성 조절은 기존 CAR-T 치료제보다 강한 약효를 지속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 |
GRT (900290) 3,505원 (+6.37%) | 반기 실적 호조 등에 강세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실적 발표, 반기 기준(23년07월~12월)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85.9% 증가한 4.14억위안(약 752억원)을 기록. 같은 기간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24.3%, 78.1% 증가한 22.58억위안(약 4,103억원), 3.18억위안(약 579억원)을 기록. ▷이와 관련, 동사는 가파른 외형성장과 동시에 수익성도 크게 확대됐다며, 전년도 반기 17.1%였던 매출총이익은 9.2% 상승한 26.3%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도 12.3%에서 6.1%포인트 오른 18.3%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어 중국의 전기차, 반도체, 태양광 등 여러 산업의 현지 기업들의 사업 확대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며, 이런 추세 하에 핵심 경쟁력으로 시장을 선점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 |
켐트로스 (220260) 7,900원 (+5.90%) | 中, 혹한서 가동 가능 리튬이온전지 전해질 개발, 리간드 채널 수송 촉진 매커니즘 규명 소식 속 유기 리간드 양산 성공 이력 부각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저장대 연구팀이 지난달 28일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배터리 내 이온 운반 방법을 통해 극한의 조건에서도 고에너지 배터리를 작동할 수 있게 했다고 전해짐. 전해질의 작은 용매 분자는 리튬이온 주위에 두 겹의 층을 형성하고, 이온이 운반될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데 이를 '리간드 채널 수송'이라 한다며, 연구진은 "리간드 채널 촉진 전도 메커니즘은 고에너지 전지가 극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밝힘. ▷소프트팩 리튬이온전지를 이용해 시험해본 결과 이 전해질은 앞서 알려지지 않은 배터리 내 구조적 운반 방법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영하 70도 환경에서 기존 전해질에 비해 이온전도도(ionic conductivity)가 1만배 높았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유기 리간드 양산 성공 이력을 보유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솔트룩스 (304100) 25,600원 (+5.79%) | 폴라리스오피스와 생성형 AI 관련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폴라리스오피스와 생성형 AI(인공지능) 기반 LLM(초거대언어모델) 분야 협력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생성형 AI 서비스 영업 및 개발 등에서 다양한 협업 방안을 모색한다며, 특히, 동사가 보유한 생성형 AI 기반 LLM모델인 '루 시아 GPT' 등을 폴라리스오피스의 소프트웨어(SW) 및 서비스 전반에 활용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코파일럿'과 같은 서비스 구현에 나선다고 설명. 이어 생성형 AI 기반 SW를 구축해 국내 B2B(기업간거래) 및 B2G(기업과정부간거래)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도 강화한다는 전략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양사가 각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접목해 다양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생성형 AI 기반 소프트웨어 출시와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산업계 AI 혁신을 주도할 뿐 아니라, 글로벌 빅테크사와 견줄 수 있는 성장동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힘. | |
샌즈랩 (411080) 9,230원 (+5.49%) | LG유플러스- 포티투마루와 보안 강화 LLM 공동개발 추진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포티투마루(42Maru), LG유플러스와 함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대형언어모델(LLM)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고 밝힘. LG유플러스 마곡 사옥에서 진행된 업무 협약식에는 LG유플러스 한영섭 AI기술담당,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 김기홍 동사 대표 등이 참석했음. 3사는 앞으로 보안 관제, 위협 인텔리전스, 이상 징후 분석, 취약점 식별 등에 특화된 거대언어모델(LLM)을 구축하고 LLM 배포 체계를 만들기로 했으며, 동사는 기업 내부 인프라에서 운영 가능한 데이터셋 개발 역량을 제공한다고 언급. ▷이와 관련, 김기홍 동사 대표는 “사이버 보안과 AI 기술에 강점을 가진 분야별 전문 기업들의 융합으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며 “동사만의 데이터셋과 보안 기술력에 포티투마루와 LG유플러스의 고도화된 AI 기술을 결합해 혁신적인 AI 보안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힘. | |
나무가 (190510) 16,480원 (+5.17%) | 갤럭시 S24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상 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갤럭시 S24 울트라 모델 전면 12MP AF 카메라 모듈 및 후면 12MP UW 카메라 모듈 벤더로 참여 중으로 스마트폰 교체주기는 길어졌으나 갤럭시 S24 시리즈가 최초의 온디바이스 AI 스마트폰이라는 점과 울트라 모델에 수요가 집중되는 만큼 메인 벤더로서 수혜를 예상한다고 밝힘. ▷또한, 올해부터 폴더블시리즈에서 카메라 모듈 수주가 예상되며, 비수기에 해당하는 2, 3분기 실적 개선에 기여할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올해 매출액은 4,564억원 (+24% YoY), 영업이익은279억원(+22%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3D 센싱 모듈 어플리케이션 확대 기대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
위메이드 그룹주 | 위믹스 급등 및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 흥행 기대감에 상승 |
▷위메이드의 가상자산인 '위믹스'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출시를 앞둔 기대작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빗썸에 따르면, 위믹스 가격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3,900원대에서 거래중으로 지난 26일 2,800원 대비 40% 가까이 상승세를 기록. ▷또한, 나이트 크로우는 매드엔진에서 개발하고 위메이드가 서비스중인 MMORPG로 국내 출시 200일 만에 매출 2,000억원을 돌파한 흥행작으로 오는 12일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170개국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임. ▷이 같은 소식 속 위메이드, 위메이드플레이, 위메이드맥스 등 위메이드 그룹주가 상승세를 기록. [종목]: 위메이드, 위메이드플레이, 위메이드맥스 | |
에스케이증권제11호스팩 (472230) 2,100원 (+5.00%) | 신규상장 첫날 상승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2,000원을 상회한 4,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승폭을 축소한 끝에 상승 마감. 한편, 동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소비재(의류, 화장품 등) 제조 및 판매 산업, 바이오/제약/의료산업, 소프트웨어/서비스 산업, 모바일 산업(게임 산업 포함), 전자/통신 관련 산업, 신소재/나노 융합 산업, 에너지(신재생에너지/탄소저감에너지 등)산업,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을 영위하는 업체가 합병대상임. | |
하나기술 (299030) 59,700원 (+4.55%) | 올해 실적 성장 회복 전망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이 국내 주요 고객의 일부 프로젝트가 지연되면서 매출액 부진 및 적자 전환을 기록했지만, 올해 1분기 지연되었던 프로젝트 관련 매출이 반영되면서 매출 성장은 물론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힘. ▷1분기 매출액 343억원, 영업이익 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15.0%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지난해 수주잔고가 약 2,700억원, 올해는 약 5,500억원이 예상되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연간실적(연결 기준)은 매출액 1,541억원, 영업이익 94억원으로 전년대비 큰 폭의 실적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
와이제이엠게임즈 (193250) 791원 (+3.53%) | ‘킹덤:왕가의 피’ 글로벌 사전예약자 수 100만명 돌파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오는 5일 정식 출시하는 ‘킹덤:왕가의 피’의 글로벌 사전예약자 수가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전해짐. 1주 전 50만명을 돌파한 데 이어 다시 일주일 만에 이룬 쾌거로 특히, 해외에서의 반응이 뜨겁다며, 한국 외에도 미국, 태국, 대만, 브라질 등 다양한 국가에서 사전예약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알려짐. ▷킹덤:왕가의 피는 현재 액션스퀘어 스튜디오 ‘팀 마고(Mago)’에서 개발 중으로 넷플릭스 인기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의 IP(지식재산권)에 기반한 모바일/PC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는 액션 RPG(역할수행게임)임. | |
우듬지팜 (403490) 2,540원 (+3.46%) | 올해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원가 상승과 스팩합병에 따른 일회성 비용으로 이익이 감소했지만 올해 1월부터 폭발적인 매출과 생산량 증대로 빠르게 실적 안정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밝힘. 특히, 올해 1월부터 주력제품인 스테비아 토마토 주문이 증가하면서 매출액은 지난해 1월 38억6,000만원 대비 40% 이상 늘었으며, 생산물량도 940t 대비 20~30% 확대됐다고 설명. 아울러 국내외 판매망 계약과 함께 스마트팜 생산공장 설비 구축에 대한 논의가 다각도로 이뤄지고 있어 실적 추세는 고공행진을 이어 나갈 것으로 기대.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시공 문의가 쇄도하고 있는 자회사인 스마트팜 전문 시공사 우듬지E&C를 통해 조만간 수주 계약이 기대된다"며, "국내 최대 규모인 유럽형 채소 신형 스마트팜이 채소가 가장 비싼 시기인 여름 출하 시점에 맞춰 본격 가동될 예정으로 올해 글로벌 K-스마트팜 대표 기업의 참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 |
금화피에스시 (036190) 27,200원 (+2.84%) | 지난해 호실적에 소폭 상승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3년 연결기준 매출액 3,376.10억원(전년대비 +35.94%), 영업이익 434.58억원(전년대비 +55.76%), 순이익 380.01억원(전년대비 +17.70%). 또한, 보통주 1주당 1,300원(시가배당율4.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3-12-31) 공시. | |
유비케어 (032620) 5,810원 (+2.83%) | 신규 라인업 공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14~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39회 국제의료기기·병 원설비전시회 'KIMES2024'(키메스)에 참가해 진료 및 병ㆍ의원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신규 라인업을 선보인다고 밝힘. 멀티태스킹 접수, 진료과별 맞춤 진료 기능 설정 등 진료 효율 강화에 특화된 솔루션 'NEW EMR(전자의무기록)'과 올해 출시 예정인 원스톱 만성질환 환자관리 플랫폼 '닥터바이스', 기존 접수·수납·제증명 서류 출력업무를 지원하는 '의사랑 키오스크' 등을 공개할 예정. ▷이와 관련 이상경 대표는 "이번 신규 라인업 제품들이 EMR 시장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는 자신감과 의지를 담았다"며 "시장 변화에 따른 신제품을 통해 국내 요양기관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할 것"이라고 밝힘. | |
액토즈소프트 (052790) 9,210원 (+2.56%) | 지난해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93.63억원(전년대비 +51.31%), 영업이 익 424.39억원(전년대비 +81.03%), 순이익 326.88억원(전년대비 +1,188.77%). | |
솔본 (035610) 4,730원 (+2.16%) | 지난해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18.15억원(전년대비 +29.84%), 영업이익 326.70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499.7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
아모텍 (052710) 8,330원 (-2.57%) | 지난해 적 자지속에 소폭 하락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3년 연결기준 매출액 1,868.14억원(전년대비 -13.39%), 영업손실 259.7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43.3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
씨티씨바이오 (060590) 8,500원 (-2.97%) | 지난해 적자전환에 소폭 하락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78.78억원(전년대비 -16.54%), 영업손실 45.78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55.87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
고스트스튜디오 (950190) 11,320원 (-3.25%) | 23년4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23년4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3.41억원(전년동기대비 +4.07%), 영업이익 41.62억원(전년동기대비 -42.07%), 순이익 24.32억원(전년동기대비 -62.55%). ▷보통주 1주당 684원(시가배당율5.71%)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3-12-31) 공시. | |
케이엠더블유 (032500) 13,550원 (-4.71%) |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3년 연결기준 매출액 1,000.68억원(전년대비 -44.2%), 영업손실 628.5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665.6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
이노인스트루먼트 (215790) 868원 (-4.72%) | 지난해 적자전환에 하락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3년 연결기준 매출액 450.70억원(전년대비 -9.59%), 영업손실 175.86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67.9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
씨티프라퍼티 (052300) 456원 (-7.88%)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8.63억원(전년대비 -94.47%), 영업손실 6.8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896.1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
에이스테크 (088800) 2,020원 (-21.25%) | 경영권 변경 관련 유상증자 대금 납입 연기 속 급락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체결 및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정 공시. 제3자배정 주금납일예정일이 2024년2월29일에서 2024년6월18일로 연기됐음. | |
세종메디칼 (258830) 431원 (-22.34%) |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등에 급락 |
▷지난 29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공시.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이익의 경우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 투자손실 지속, 금융상품 관련 평가손익의 변동이 발생했다고 밝힘. 추후 감사보고서에 의해 확인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설명. ▷한편, 앞서 동사는 카나리아바이오에 약 500억원을 투자했다가 400억원의 손실을 입은 바 있음. 카나리아바이오는 지난 1월 오레고모밥의 글로벌 임상 3상에 대해 임상시험 중단을 권고받았다고 공시한 바 있으며,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상장폐지사유 발생 우려 및 관리종목 지정 우려 등에 따라 투자자 보호로 주권매매거래정지됐음.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KD | 703 | 22 | +3.23%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