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AI 발전으로 전력 수요 급증…차세대 원자로 필요"
나확진
입력 : 2024.03.05 15:44:28 I 수정 : 2024.03.05 18:43:28
입력 : 2024.03.05 15:44:28 I 수정 : 2024.03.05 18:43:28

(서울=연합뉴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을 방문해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시대에 에너지 확보를 위한 원자력 연구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2024.3.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대전=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5일 인공지능(AI) 발달로 전기 에너지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차세대 원자로를 강조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을 방문해 디지털·인공지능(AI) 시대에 에너지 확보를 위한 원자력 연구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혁신적 연구개발 전략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그는 "인공지능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면서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증설 등 굉장히 많은 전기에너지 수급이 필요하게 됐다"며 "인공지능 기술을 도울 에너지 대책은 차세대 원자로와 원자력 이용 증가에 따른 사용 후 핵연료 처리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기술적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획기적인 방법을 발굴하고 산·학·연이 손잡고 집중적으로 노력해 빠르게 기술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연구진을 독려했다.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원자력이 탄소 중립과 AI 데이터센터 등 새로운 전력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선진 원자로, 차세대 원자로를 개발해 오고 있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실물화할 수 있도록 연구원 구성원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어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추진 중인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로와 사용후핵연료 등에 대한 기술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관련 기술의 실현 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연구원 관계자들과 논의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현재 경북 경주시 감포읍에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착공, 2025년 완공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이 연구소에 SMR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실험기기와 설계 전문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해 데이터 생산과 빅데이터 구축, 모형 원자로 제작과 시뮬레이션이 모두 가능한 '차세대 원자로 혁신 플랫폼'으로 육성해갈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을 방문해 SFR 원형로 종합효과시험 시설을 참관하고 있다.2024.3.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ra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피즘에 세계 각국 ‘합종 연횡’···韓 글로벌사우스 공략도 잰걸음
-
2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3
유럽IR 마친 진옥동…“골드만삭스와 IB·WM 협력”
-
4
"머스크의 트럼프 정부 관여, 역대 최악 '브랜드 파괴' 행위"
-
5
실손보험 간소화 시행에도…병원-보험업계 줄다리기에 “백약이 무효”
-
6
대만서 만나는 K-관광의 매력…전북도, '한국여행엑스포' 참가
-
7
눈덩이 카드론 현대카드에…금융당국 ‘경영 경고’
-
8
제주, 구제역 청정지역 지위 얻나…WOAH 총회서 논의
-
9
한경협, 27일 사이버안보 세미나…백악관 前부보좌관 기조강연
-
10
한화손보, 난임 극복 가족 야구대회 초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