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절벽…외국인 최저임금 차등화를"

김정환 기자(flame@mk.co.kr)

입력 : 2024.03.05 17:59:56 I 수정 : 2024.03.05 18:03:25
韓銀의 경고, 2042년 간병·가사인력 155만명 부족
"가계경제 악순환…임금하한 낮춰 공급 늘려야"




◆ 돌봄 인력 절벽 ◆

한국은행이 인구 충격에 대비해 외국인 간병인과 가사도우미 도입을 늘리고 이들에게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물가 안정이 최우선 목표인 한은이 인구 충격에 대한 세부 인력 대책을 제시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뜻이다.

5일 한은은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공동 주최한 노동시장 세미나에서 '돌봄 서비스 인력난 및 비용 부담 완화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9만명가량 부족한 돌봄 일손은 2032년 38만~71만명으로 늘고, 2042년 61만~155만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미 일반 가구에서는 소득 절반 이상을 돌봄 서비스에 투입하고 있다. 지난해 개인 간병인 고용에 필요한 돈은 월평균 370만원으로, 65세 이상 고령 가구 중위소득의 1.7배에 달했다. 가사도우미 비용 역시 월 264만원으로 주 수요층인 30대 가구 중위소득(509만원)의 51.9%를 차지했다. 경제활동을 포기하고 아예 가족을 돌보는 데 전념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한은은 가족 간병 인력이 2022년 89만명에서 2042년 212만~355만명으로 늘 것으로 봤다. 이 인력이 경제활동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손실은 2022년 11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0.9%에 달했다. 2042년 되면 2.1~3.6%까지 불어난다. 이강호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돌봄 수요는 늘고 있는데 공급이 급감하면서 가격 왜곡이 커지고 있다"며 "제도적 처방이 시급해졌다"고 말했다.

한은은 외국 인력을 들여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임금이다. 국제노동기구(ILO) 협약상 내외국인 임금을 차별 적용할 수 없다. 최저임금이 중위임금의 61%에 달하는 상황에서 똑같이 주면 부담이 너무 크다.

한은은 두 가지를 제안했다.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않는 '사적 계약' 방식으로 개별 가구가 직접 고용하는 방법이다. 또는 외국인 고용허가제에 돌봄 서비스업을 추가해 해당 업종의 최저임금을 낮게 설정하는 방식이다.

채민석 한은 고용분석팀 과장은 "두 방식 모두 법 개정이 필요 없는 데다 ILO 차별금지 협약에 해당되지 않아 최저임금보다 낮은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환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5 12:3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