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살리려면 '관계인구'를 늘려야 한다는데…

충남연구원 해법 제시…"경기도와 아산만 상생협력해야"
김소연

입력 : 2024.03.07 14:07:03


도농상생 관계 플랫폼 구축안
[충남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홍성=연합뉴스) 김소연 기자 = 소멸 위기에 놓인 충남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관계인구'가 주목받고 있다.

7일 충남연구원 유학열 선임연구위원과 조소진 연구원이 발표한 '충남 농촌지역 살리는 관계인구 창출 전략' 리포트에 따르면 관계인구는 실제 지역에 거주하지 않으면서도 어떤 형태로든 지역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생활인구보다는 비거주성이 강하다.

통근·통학, 고향사랑기부제, 농촌체험마을 방문, 워케이션(휴가지 원격근무), 농특산물 구매 등 다양한 방법으로 농촌지역 본연의 기능 유지와 발전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사람을 말한다.

실제 농촌주민 79.2%는 '외부와의 교류가 마을 발전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고, 92.4%는 '외부와의 교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도시지역 주민의 72.7%는 앞으로 농촌지역과 어떤 형태로든 지속적 관계를 유지할 의향이 있고, 80.3%는 관계인구가 농촌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했다.

연구진은 관계인구를 늘릴 방안으로 우선 지역 대학이 도시 신중년 세대를 대상으로 농촌에서의 새로운 삶의 전환 교육을 실시하는 가칭 '농촌 엔조이 스터디(enjyo-study) 사업'을 제시했다.

또 각종 관계인구 사업들의 컨트롤타워인 '도농 상생 관계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봤다.

연구진은 특히 경기도와 아산만 일대를 4차산업 전진기지로 키우는 '베이밸리 메가시티' 사업이 두 지역의 상생 협력을 목표로 하는 만큼 관계인구를 늘리는 데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남과 경기가 '도농상생 한마당의 날'을 제정해 상생 업무협약을 하고, 관계인구 심포지엄·농수산물 교류전 등을 추진하는 방안을 예로 들었다.

연구진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지역 간 인구 유입 경쟁은 제로섬 게임과 같다"며 "지역 살리기 해법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관계인구는 농촌과 도시 간 연결고리 역할을 통해 지속적인 관계 맺기를 해 줌으로써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soy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6 10:3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