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4.04.12 17:06:58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4/12 KOSDAQ 860.47(+0.28%) 개인 순매수(+), 반도체株 상승(+),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PPI 안도감 속 기술주 강세 및 6월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63.16(+5.06P, +0.59%)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858.24(+0.14P, +0.0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중 867.01(+8.91P, +1.0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재차 반납했고, 장 후반 858선까지 상승폭을 줄이다 결국 860.47(+2.37P, +0.28%)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에도 개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반등. 개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8거래일 연속 순매도.
반도체 수출 호조 및 한미반도체의 마이크론 HBM 제조용 장비 수주 모멘텀 지속 등에 리노공업(+7.44%), HPSP(+0.94%), 이오테크닉스(+6.23%), ISC(+0.42%), 주성엔지니어링(+1.25%), 티씨케이(+2.39%), 오픈엣지테크놀로지(+9.59%), 고영(+4.61%), 에스티아이(+5.55%)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상승. 삼천당제약(+8.62%)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HLB(+2.76%), 알테오젠(+3.00%), 셀트리온제약(+1.26%), 레고켐바이오(+4.89%), HLB생명과학(+1.12%), 에스티팜(+3.74%)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들도 상승.
반면, 시총 1위 에코프로비엠(-4.39%)이 하락한 것을 비롯해 엔켐(-1.09%), 피엔티(-2.60%), 천보(-2.52%), 나노신소재(-3.70%), 성일하이텍(-1.77%)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 부진.
수급별로는 개인이 430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97억, 239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우세. 삼천당제약(+8.62%), 리노공업(+7.44%), 이오테크닉스(+6.23%), 레고켐바이오(+4.89%), 알테오젠(+3.00%), HLB(+2.76%), 솔브레인(+2.58%), 휴젤(+2.23%), 셀트리온제약(+1.26%)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비엠(-4.39%), 신성델타테크(-4.16%), 원익IPS(-2.14%), 동진쎄미켐(-2.09%), 엔켐(-1.09%), JYP Ent.(-1.07%)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제약(+2.25%), 기타서비스(+1.54%), 정보기기(+1.36%), 컴퓨터서비스(+1.32%), 소프트웨어(+1.29%), 반도체(+1.19%), 운송(+0.85%), IT H/W(+0.74%), 의료/정밀기기(+0.58%), 출판/매체복제(+0.56%), 금융(+0.52%) 등이 상승. 반면, 일반전기전자(-2.89%), 방송서비스(-2.19%), 통신방송서비스(-1.97%), 디지털컨텐츠(-1.56%), 통신서비스(-1.48%), 오락문화(-1.44%), 통신장비(-0.82%), 운송장비/부품(-0.73%), 금속(-0.68%), 기타제조(-0.63%), 비금속(-0.62%)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60.47P(+2.37P/+0.28%)
지난밤 뉴욕증시가 PPI 안도감 속 기술주 강세 및 6월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63.16(+5.06P, +0.59%)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858.24(+0.14P, +0.0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중 867.01(+8.91P, +1.0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재차 반납했고, 장 후반 858선까지 상승폭을 줄이다 결국 860.47(+2.37P, +0.28%)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에도 개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반등. 개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8거래일 연속 순매도.
반도체 수출 호조 및 한미반도체의 마이크론 HBM 제조용 장비 수주 모멘텀 지속 등에 리노공업(+7.44%), HPSP(+0.94%), 이오테크닉스(+6.23%), ISC(+0.42%), 주성엔지니어링(+1.25%), 티씨케이(+2.39%), 오픈엣지테크놀로지(+9.59%), 고영(+4.61%), 에스티아이(+5.55%)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상승. 삼천당제약(+8.62%)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HLB(+2.76%), 알테오젠(+3.00%), 셀트리온제약(+1.26%), 레고켐바이오(+4.89%), HLB생명과학(+1.12%), 에스티팜(+3.74%)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들도 상승.
반면, 시총 1위 에코프로비엠(-4.39%)이 하락한 것을 비롯해 엔켐(-1.09%), 피엔티(-2.60%), 천보(-2.52%), 나노신소재(-3.70%), 성일하이텍(-1.77%)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 부진.
수급별로는 개인이 430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97억, 239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우세. 삼천당제약(+8.62%), 리노공업(+7.44%), 이오테크닉스(+6.23%), 레고켐바이오(+4.89%), 알테오젠(+3.00%), HLB(+2.76%), 솔브레인(+2.58%), 휴젤(+2.23%), 셀트리온제약(+1.26%)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비엠(-4.39%), 신성델타테크(-4.16%), 원익IPS(-2.14%), 동진쎄미켐(-2.09%), 엔켐(-1.09%), JYP Ent.(-1.07%)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제약(+2.25%), 기타서비스(+1.54%), 정보기기(+1.36%), 컴퓨터서비스(+1.32%), 소프트웨어(+1.29%), 반도체(+1.19%), 운송(+0.85%), IT H/W(+0.74%), 의료/정밀기기(+0.58%), 출판/매체복제(+0.56%), 금융(+0.52%) 등이 상승. 반면, 일반전기전자(-2.89%), 방송서비스(-2.19%), 통신방송서비스(-1.97%), 디지털컨텐츠(-1.56%), 통신서비스(-1.48%), 오락문화(-1.44%), 통신장비(-0.82%), 운송장비/부품(-0.73%), 금속(-0.68%), 기타제조(-0.63%), 비금속(-0.62%)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60.47P(+2.37P/+0.28%)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1.01 09:00
리노공업 | 0 | 0 | 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