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코퍼 너무 올랐네”…대체재 ‘이것’ 수익도 쏠쏠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4.05.16 06:48:06
입력 : 2024.05.16 06:48:06
美, 중국산 알루미늄에 관세 인상
구리값 연일 급등에 대체제 부각
중국 경기 회복 국면에 수요 증대
구리값 연일 급등에 대체제 부각
중국 경기 회복 국면에 수요 증대

알루미늄 가격이 인공지능(AI)열풍과 라니냐 등 이상기후 우려에 구리가격이 역대 최고가에 근접하면서 대체제도 들썩이고 있다.
대표적인게 알루미늄이다. 알루미늄은 구리보다는 전도성이 크게 떨어지지만 저렴하고 가벼워 대체제로 활용된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TIGER 금속선물(H)’은 지난 14일 전날보다 2.49%(155원) 상승한 639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상품은 지난달에 12.83% 상승했는데 이번 달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알루미늄·구리·니켈 등 비철금속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알루미늄 비중이 40%에 달한다.
최근 구리의 급등에 더해 알루미늄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알루미늄은 지난달에만 10.27%오르며 톤(t)당 2500달러를 넘어선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알루미늄 가격이 오르는 건 최근 값이 너무 뛴 구리를 일부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알루미늄은 전기전도와 열전도 측면에서 구리보다 떨어진다. 하지만 건설, 모터 등 고순도 구리가 불필요한 수요처에서는 일부 대체가 가능하다. 또한 워낙 가볍기 때문에 무게당 전도도 측면에선 구리보다 오히려 효율이 높은 것도 특징이다.
미·중 간 무역 분쟁도 알루미늄 가격을 끌어올리는 원인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무역법 301조에 따라 무역대표부(USTR)에 이런 관세 인상을 지시했다. 미국은 연내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를 현재 0~7.5%에서 25%로 인상할 예정이다.
전세계 알루미늄 소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경기도 회복 기미를 보이고있다. 알루미늄은 건축자재, 항공기, 건설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지난 2022년 이후 알루미늄 가격이 하락한 것도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 때문이다. 중국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달 50.4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경기 확장’ 국면을 이어가는 중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年5% 수익률에 분리과세”…금리인하 분위기 더 돋보이는 ‘완판 상품’ 또 나왔다
-
2
차바이오, 판교에 세포유전자 혁신 허브 만든다
-
3
[해안사구의 재발견] ④ 모래언덕과 한집살이…미로 정원 같은 제주 바닷가 마을
-
4
"분양·임대 혼합단지 관리에 입주민·임차인 규약 일원화해야"
-
5
[게시판] 더벤티, 대학생 서포터즈 '벤티보라 2기' 발대식
-
6
[게시판] 풀무원샘물, 시흥 웨이브파크서 '하이 브리지톡' 팝업
-
7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 3년째 하락지속…해운대·수영구는 반등
-
8
세븐일레븐, 미래형 '뉴웨이브종각점' 열어…"젊은층 공략"
-
9
GS25, 심폐소생술로 고객 생명 구한 직원 표창
-
10
한투운용도 ETF 수수료 인하…美 지수·코스피·금 등 5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