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펀드 800억 늘 때…해외펀드 4조 몰렸다

김태성 기자(kts@mk.co.kr)

입력 : 2024.05.27 18:00:18 I 수정 : 2024.05.28 13:32:00
美증시 기술주 중심 상승장에
인도·日 닛케이 호황 겹쳐
수익률도 국내 펀드 한자릿수
파킹 목적 채권형에만 뭉칫돈






올해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증시에서 개별 주식뿐 아니라 펀드에도 적극 투자하며 해외 주식형 펀드 설정액이 4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대적으로 제자리걸음에 머무른 코스피 영향에 코스피와 코스닥에 투자하는 국내 주식형 펀드는 같은 기간 8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27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주식형 펀드 1018개(상장지수펀드(ETF) 포함)의 전체 설정액은 지난 24일 기준 47조3831억원으로 연초 47조2988억원 대비 843억원 늘었다. 최근 한 달은 3550억원 증가했지만 최근 3개월 순감액이 1조1042억원에 이른다.

반면 해외 주식형 펀드 1037개의 전체 설정액은 연초 37조2377억원에서 출발해 올해 들어서만 4조522억원이 증가하며 24일 기준 41조2899억원을 기록했다. 반년 만에 4조원 넘게 자금이 몰린 영향으로 올해 초 10조612억원에 달했던 국내 주식형과 해외 주식형 펀드 설정액 간 차이는 현재 6조932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좁혀졌다.

해외 주식형 펀드의 급성장을 주도한 것은 역시 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펀드로 나타났다. 미국 증시에 상장한 빅테크에 주로 투자하는 북미 주식형 펀드 설정액이 연초 대비 3조634억원 늘었는데, 이는 같은 기간 해외 주식형 펀드 설정액 전체 증가분의 75%를 차지했다.

'포스트 차이나'로 주목받으며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투자금을 빨아들인 인도 증시에 투자하는 인도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4891억원 증가했다. 올해 닛케이225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잇달아 경신하며 역대급 호황을 누린 일본 상장사에 투자하는 일본 주식형 펀드 설정액이 775억원 늘며 그 뒤를 이었다. 펀드 투자자들이 국내 투자를 아예 기피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주식이 아니라 채권에 몰리고 있다. 실제 국내 채권형 펀드 335개의 설정액은 연초 42조3624억원에서 현재 51조546억원으로 올해 들어 8조6922억원이나 급증했다. 이는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 설정액 증가분(843억원)의 103배를 넘고 주식과 채권을 섞은 국내 혼합형 펀드 설정액 증가분(7696억원)에 비해서도 11배나 더 많은 것이다.

채권형 펀드는 대부분 고수익보다 유휴자금을 보관해두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을 감안하면 올해 새로 유입된 국내 펀드 투자자들은 '파킹'형 상품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해외와 국내 주식형 펀드 간 설정액 쏠림이 극과 극으로 갈린 것에는 결국 수익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초 이후 국내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은 4.06%로 해외 주식형 펀드 12.89% 대비 3분의 1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같은 기간 16.67%를 거둔 북미 주식형 펀드와는 차이가 더 벌어진다. 1년 투자수익률은 국내 주식형 펀드가 9.61%, 해외 주식형 펀드 전체와 북미 주식형 펀드는 각각 19.16%, 36.04%로 국내 펀드만 한 자릿수에 그쳤다. 시장에서는 국내 증시의 상승을 이끌 만한 확실한 모멘텀이 생기지 않으면 펀드시장에서 해외 펀드로 자금이 쏠리는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밸류업 정책에 참여하는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인센티브를 하루빨리 확정해 기업가치 제고와 주주환원 노력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성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5 19:4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