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지난밤 뉴욕증시가 AI랠리 지속 속 대형 기술주 강세 및 증시 낙관론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63.32(+4.36P, +0.51%)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864.81(+5.85P, +0.68%)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전중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이다 오후 들어 하락으로 방향을 잡았음. 장 후반 855.35(-3.61P, -0.4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막판 낙폭을 재차 줄였고,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858.95(-0.01P, -0.00%)에서 약보합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속 코스닥지수는 약보합, 3거래일 연속 하락.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글로벌 우파 정치 세력 약진 속 전기차 지원 정책 후퇴 우려, 탄산리튬 가격 100위안 하회 소식 등으로 2차전지 테마가 부진. 에코프로비엠(-3.67%), 에코프로(-3.09%), 엔켐(-2.36%), 광무(-11.45%), 천보(-3.88%), 에코앤드림(-2.73%) 등이 하락.
반면, 씨앤씨인터내셔널(+13.63%), 실리콘투(+4.59%), 세화피앤씨(+11.38%), 선진뷰티사이언스(+6.25%) 등 화장품, 라이콤(+29.84%), 라닉스(+7.90%), 모바일어플라이언스(+4.52%) 등 자율주행차 테마가 상승. 삼천당제약(+16.17%)은 아일리아 고용량 바이오시밀러 및 경구용 GLP-1 글로벌 임상 비용, 경구용 GLP-1 생산설비 투자 목적 609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등에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8억, 21억 순매도, 개인은 28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 이오테크닉스(-3.73%), 에코프로비엠(-3.67%), 에코프로(-3.09%), 엔켐(-2.36%), 휴젤(-1.93%), 리노공업(-1.69%), HPSP(-1.28%), 펄어비스(-1.03%), 셀트리온제약(-0.97%), HLB(-0.63%) 등이 하락. 반면, 삼천당제약(+16.17%), 리가켐바이오(+5.27%), 실리콘투(+4.59%), 동진쎄미켐(+3.56%), 대주전자재료(+2.99%), 클래시스(+2.37%), 알테오젠(+2.24%), 솔브레인(+1.82%)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하락이 다소 우세. 방송서비스(-2.79%), 통신방송서비스(-2.24%), 금융(-2.20%), 일반전기전자(-2.13%), 인터넷(-1.65%), 컴퓨터서비스(-1.32%), 통신장비(-1.17%), 통신서비스(-0.97%), 금속(-0.64%), 출판/매체복제(-0.51%), IT S/W & SVC(-0.46%), 건설(-0.43%), 음식료/담배(-0.42%), 종이/목재(-0.37%), 소프트웨어(-0.35%), 디지털컨텐츠(-0.26%) 등이 하락. 반면, 섬유/의류(+3.17%), 유통(+1.25%), 반도체(+1.08%), 기타서비스(+0.96%), IT H/W(+0.63%), 기타제조(+0.55%), 정보기기(+0.47%), 운송장비/부품(+0.46%), 비금속(+0.42%)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58.95P(-0.01P/-0.00%)
기사 관련 종목
이오테크닉스 | 118,400 | 1,200 | +1.02%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금 따라가다가 가랑이 찢어졌네”…美관세 충격에 주저앉은 원자재는?
-
2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3
“우리는 못 받는거 아냐?” 시한부 국민연금...이것 도입땐 16년 수명연장
-
4
작년 금융사에 부과된 과징금·과태료 439억원…전년도 3배 수준
-
5
현대차 '수소연료전지 공장' 상반기 착공…울산시, 신속 지원
-
6
서울 지역 주담대 상환 부담, 소득의 40% 다시 넘어
-
7
멀어진 '임대차2법' 개편…전월세 신고제는 유예기간 종료 가닥
-
8
美, 관세 협상 본격 착수…무역적자 큰 동맹 韓·日에 우선 집중
-
9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8일) 주요공시]
-
10
국제유가 연일 급락세…WTI 4년만에 배럴당 60달러 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