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고채 167조8천억원 발행…순발행 60조원대로 축소

1분기 발행량 42조∼48조원…단기물 비중 확대·중기물 축소
차지연

입력 : 2022.12.26 17:00:01


2023년 국고채 발행계획
[기획재정부 제공]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 정부가 내년 약 168조원 규모의 국고채를 발행하고, 순발행은 작년의 60% 수준인 60조원대로 줄이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제4차 국고채 발행전략협의회 논의를 거쳐 마련한 2023년 국고채 발행계획을 26일 발표했다.

내년 국고채 총 발행한도는 167조8천억원으로 올해 발행량(168조6천억원)보다 8천억원 줄인다.

국가채무 잔액을 실제로 늘리는 국고채 순발행 한도는 61조5천억원으로 줄인다.

이는 올해(104조8천억원)의 59% 수준이다.

다만 차환 발행 한도는 106조3천억원으로 올해(72조6천억원)보다 확대한다.

2020∼2021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대응 때 증가한 국고채 만기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국고채 만기도래액은 올해 56조2천억원에서 내년 86조5천억원으로 증가한다.

예년처럼 상반기에 하반기보다 더 많은 물량을 푸는 '상고하저(上高下低)' 발행 기조를 내년에도 유지하되 상반기 발행 비중은 올해(62%) 보다 줄여 50∼60%로 가져가기로 했다.

최근 시장 수급 여건을 고려해 1분기 발행량은 42조∼48조원 수준으로 축소한다.

올해 1분기 발행량은 53조3천억원이었다.

1분기 순발행은 올해(42조원)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

연물별로는 단기물(2·3년물) 발행 비중을 25%에서 30%로 늘리고 중기물(5·10년물) 발행 비중은 40%에서 35%로 줄인다.

장기물(20·30·50년물) 발행 비중은 전년과 동일한 35%로 유지한다.

2년물 국고채 통합발행 기간은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한다.

2년물 발행량은 연 발행량의 8∼13% 수준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물가채는 경쟁입찰·교환을 병행해 연중 1조원 안팎으로 발행하고, 향후 여건에 따라 교환물량 확대도 검토한다.

기재부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관계기관 공조, 긴급 바이백 등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harg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6 20:2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