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고채 167조8천억원 발행…순발행 60조원대로 축소
1분기 발행량 42조∼48조원…단기물 비중 확대·중기물 축소
차지연
입력 : 2022.12.26 17:00:01
입력 : 2022.12.26 17:00:01
![](https://stock.mk.co.kr/photos/20221226/AKR20221226117000002_01_i_P4.jpg)
[기획재정부 제공]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 정부가 내년 약 168조원 규모의 국고채를 발행하고, 순발행은 작년의 60% 수준인 60조원대로 줄이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제4차 국고채 발행전략협의회 논의를 거쳐 마련한 2023년 국고채 발행계획을 26일 발표했다.
내년 국고채 총 발행한도는 167조8천억원으로 올해 발행량(168조6천억원)보다 8천억원 줄인다.
국가채무 잔액을 실제로 늘리는 국고채 순발행 한도는 61조5천억원으로 줄인다.
이는 올해(104조8천억원)의 59% 수준이다.
다만 차환 발행 한도는 106조3천억원으로 올해(72조6천억원)보다 확대한다.
2020∼2021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대응 때 증가한 국고채 만기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국고채 만기도래액은 올해 56조2천억원에서 내년 86조5천억원으로 증가한다.
예년처럼 상반기에 하반기보다 더 많은 물량을 푸는 '상고하저(上高下低)' 발행 기조를 내년에도 유지하되 상반기 발행 비중은 올해(62%) 보다 줄여 50∼60%로 가져가기로 했다.
최근 시장 수급 여건을 고려해 1분기 발행량은 42조∼48조원 수준으로 축소한다.
올해 1분기 발행량은 53조3천억원이었다.
1분기 순발행은 올해(42조원)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
연물별로는 단기물(2·3년물) 발행 비중을 25%에서 30%로 늘리고 중기물(5·10년물) 발행 비중은 40%에서 35%로 줄인다.
장기물(20·30·50년물) 발행 비중은 전년과 동일한 35%로 유지한다.
2년물 국고채 통합발행 기간은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한다.
2년물 발행량은 연 발행량의 8∼13% 수준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물가채는 경쟁입찰·교환을 병행해 연중 1조원 안팎으로 발행하고, 향후 여건에 따라 교환물량 확대도 검토한다.
기재부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관계기관 공조, 긴급 바이백 등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harg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트코인 안 샀지만 이 주식은 살 걸”…9개월 새 주가 1700% 뛰었다는데
-
2
아모레G, 보통주 1주당 330원, 종류주 1주당 335원 현금배당 결정
-
3
[단독] “골프용품 회사 몸값 얼마나 나갈까”…테일러메이드, 4년만에 M&A 매물로
-
4
아모레G, 보통주 3,000,000주, 소각 결정
-
5
“영끌하느라 은퇴자금까지 탈탈”…노후 빈곤 한국, 이 나라는 다르다는데
-
6
"'5G 전환'에 월 2만5천원 더 지출…이동통신사 요금 낮춰야"(종합2보)
-
7
검찰, '무죄' 이재용 상고할지 외부의견 듣는다…내일 심의(종합)
-
8
아모레, 지주사 사명 '아모레퍼시픽홀딩스'로 변경…자사주 소각
-
9
폭설에 항공기 운항도 차질… 3편 취소·82편 지연
-
10
“중국으로 개인정보 다 털릴라”…딥시크 포비아에 정부·기업 금지령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