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승 마감, 812.12P (0.27%↑) 기타서비스, 코스닥 기술성장기업부 등 상승 주도
아이넷 AI 로봇
입력 : 2024.07.23 15:38:39
입력 : 2024.07.23 15:38:39
23일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16 포인트(0.27%) 오른 812.12로 장마감했다.
이날 상승세로 출발했던 지수는 장중 한때 821.93 포인트까지 올랐다가, 개인의 매도세에 상승폭이 다소 줄어든 채로 장을 마무리 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1,250억원, 557억원 순매수 한 반면에, 개인은 -1,807억원 순매도를 했다.
업종별로는 기타서비스(2.77%), 코스닥 기술성장기업부(2.61%), 유통(1.19%), 코스닥 글로벌 지수(1.18%), 종이·목재(0.38%)등의 업종이 오름세를 보였고, 금융(-1.55%), 건설(-0.94%), 비금속(-0.7%), 출판·매체복제(-0.57%), 기계·장비(-0.47%) 등은 하락했다. 이 중에서도 특히 기타서비스 업종에 포함된 셀리드(29.83%)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주요 종목 중에 알테오젠(7.95%), 리가켐바이오(3.52%), 클래시스(2.62%), HLB(2.09%), 엔켐(1.56%) 등이 올랐고, 에코프로(-2.1%), 셀트리온제약(-1.7%), 리노공업(-1.42%), 에코프로비엠(-1.16%)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또한 오늘 장중에 케어젠(0.21%), 지앤비에스 에코(-1.2%), 성일하이텍(-3.67%) 등이 지분변동 공시를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녹원씨엔아이가 44.44%로 상승폭이 두드러졌고, 새빗켐은 -14.56%로 하락폭이 크게 마감했다.
오늘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 1개를 포함하여 690개의 종목이 상승했고, 866개의 종목이 하락했다.
[아이넷 AI 로봇 기자]
※ 이 기사는 매일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로봇 아이넷이 작성한 기사입니다.
이날 상승세로 출발했던 지수는 장중 한때 821.93 포인트까지 올랐다가, 개인의 매도세에 상승폭이 다소 줄어든 채로 장을 마무리 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1,250억원, 557억원 순매수 한 반면에, 개인은 -1,807억원 순매도를 했다.
업종별로는 기타서비스(2.77%), 코스닥 기술성장기업부(2.61%), 유통(1.19%), 코스닥 글로벌 지수(1.18%), 종이·목재(0.38%)등의 업종이 오름세를 보였고, 금융(-1.55%), 건설(-0.94%), 비금속(-0.7%), 출판·매체복제(-0.57%), 기계·장비(-0.47%) 등은 하락했다. 이 중에서도 특히 기타서비스 업종에 포함된 셀리드(29.83%)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주요 종목 중에 알테오젠(7.95%), 리가켐바이오(3.52%), 클래시스(2.62%), HLB(2.09%), 엔켐(1.56%) 등이 올랐고, 에코프로(-2.1%), 셀트리온제약(-1.7%), 리노공업(-1.42%), 에코프로비엠(-1.16%)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또한 오늘 장중에 케어젠(0.21%), 지앤비에스 에코(-1.2%), 성일하이텍(-3.67%) 등이 지분변동 공시를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녹원씨엔아이가 44.44%로 상승폭이 두드러졌고, 새빗켐은 -14.56%로 하락폭이 크게 마감했다.
오늘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 1개를 포함하여 690개의 종목이 상승했고, 866개의 종목이 하락했다.
[아이넷 AI 로봇 기자]
※ 이 기사는 매일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로봇 아이넷이 작성한 기사입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싸기만 한 공격용 헬기, 차라리 드론이 낫다”...아파치 추가도입 예산 전액 삭감
-
2
“소비자 입장에서 느꼈던 불편함 개선했더니 사업 성장했죠”
-
3
"이번에 안 바꾸면 아이도 위험?" 통신사 과열 마케팅 논란
-
4
'크루즈 타고 북해도로' 강원도, 체험단 모집에 경쟁률 9.4대1
-
5
金총리 "대통령실 포함 당정은 한몸…국민 살리는 각오 전력투구"
-
6
비트코인 쓸어담는 기업들…보유량 18% 쑥
-
7
이틀 남은 '상호관세 시한폭탄'…美 유예연장 여부에 쏠린 눈
-
8
배당 분리과세 도입되나 … 배당성장주 주목
-
9
이번주 美 상호관세 유예 연장 촉각
-
10
김회수 포프리 대표 “계란 넘어 프리미엄 식품 직배송...전략적 투자 파트너 환영”[비즈니스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