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동결에 돈빼는 외국인…원화값 급락
양세호(yang.seiho@mk.co.kr)
입력 : 2023.03.01 17:23:47
입력 : 2023.03.01 17:23:47
더 벌어진 한미금리차 부담
한국은행이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금리 인상 기조를 중단하자 원화값이 크게 떨어지고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며 후폭풍이 나타나고 있다. 가뜩이나 벌어진 한미 간 금리 격차에 미국이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또 올리면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화값 하락세가 더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23일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면서 2021년 8월부터 진행해온 금리 인상을 일단 중단했다. 올해 가파른 경기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물가 안정보다는 선제적 경기 방어로 방향을 튼 것이다.
당장 원화값이 흔들리고 있다. 달러당 원화값은 지난달 23일 금리 동결 이후 28일까지 3거래일간 2% 가까이 급락하며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1320원대로 내려앉았다. 미국의 고용·소비 지표 호조에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 고삐를 죌 것이란 우려로 강달러가 다시 고개를 든 데다 한은의 금리 동결에 따른 한미 금리차 우려도 부담이 된 것으로 보인다.
증시에서는 외국인들이 매도 행진을 벌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금리 동결 이후 3거래일간 연속 순매도를 기록하면서 9139억원을 빼냈다.
[양세호 기자]
한국은행이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금리 인상 기조를 중단하자 원화값이 크게 떨어지고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며 후폭풍이 나타나고 있다. 가뜩이나 벌어진 한미 간 금리 격차에 미국이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또 올리면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화값 하락세가 더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23일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면서 2021년 8월부터 진행해온 금리 인상을 일단 중단했다. 올해 가파른 경기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물가 안정보다는 선제적 경기 방어로 방향을 튼 것이다.
당장 원화값이 흔들리고 있다. 달러당 원화값은 지난달 23일 금리 동결 이후 28일까지 3거래일간 2% 가까이 급락하며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1320원대로 내려앉았다. 미국의 고용·소비 지표 호조에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 고삐를 죌 것이란 우려로 강달러가 다시 고개를 든 데다 한은의 금리 동결에 따른 한미 금리차 우려도 부담이 된 것으로 보인다.
증시에서는 외국인들이 매도 행진을 벌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금리 동결 이후 3거래일간 연속 순매도를 기록하면서 9139억원을 빼냈다.
[양세호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캐나다 총리 "트럼프, 진짜로 캐나다 51번째주 합병 원해"
-
2
[속보] 트럼프 "다수 국가 상호 관세 부과, 10~11일께 회의 후 발표"
-
3
日총리 "트럼프와 북한 완전한 비핵화 위해 협력하기로"
-
4
우버, 헤지펀드의 지분매입 소식에 주가 급등…장중 8%대↑
-
5
아마존, 연례 보고서에서 '다양성·포용성' 언급 삭제
-
6
IMF 이어 '초인플레 해결' 前장관도 아르헨 환율정책 수정 주장
-
7
[뉴욕유가] 트럼프 '상호관세'에 상승분 대거 반납…WTI 0.55%↑
-
8
美연준인사 "美노동시장 건강…트럼프 정책에 상당한 불확실성"
-
9
[뉴욕증시-1보] 인플레·상호 관세 원투 펀치에 '휘청'…동반 하락
-
10
주유소 휘발윳값 17주만에 소폭 하락…"다음주도 내릴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