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엘에스바이오(246250) 소폭 상승세 +3.80%, 5거래일 연속 상승
입력 : 2024.09.13 14:54:37
제목 : 에스엘에스바이오(246250) 소폭 상승세 +3.80%, 5거래일 연속 상승
기업개요
신약개발 및 의약품 품질검사 업체. 의약품 품질관리(완제의약품 품질검사, 비교용출 시험, 장기 안정성 시험, 세척/제조공정 밸리데이션/시험방법 밸리데이션, 해외 진출을 위한 국내 제약사들의 현지 인가 기관 맞춤 검사 등), 신약개발지원 및 체외진단기기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 이 외 독자적인 NTMD 기술을 이용한 진단키트(COVID-19/Influenza A,B 동시 진단 Kit, 강아지 알러지 Rapid Kit)를 개발 중. 매출 대부분은 의약품 품질관리 사업에서 발생. 최대주주는 이영태 외(39.06%) Update : 2024.09.04 |
▶빅데이터의 시대를 앞서가는 투자자의 필수템.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9-12 | 4,210 ( +0.96 % ) | 1,446,562 | +78,070 | +22,696 | 0 | -100,766 |
09-11 | 4,170 ( +2.84 % ) | 1,881,717 | +185,374 | -30,696 | -82 | -154,596 |
09-10 | 4,055 ( +4.11 % ) | 1,634,801 | +34,621 | +62,332 | +82 | -97,035 |
09-09 | 3,895 ( +8.95 % ) | 1,346,882 | +139,370 | -98,030 | -134 | -41,206 |
09-06 | 3,575 ( -5.05 % ) | 271,455 | -21,085 | +16,576 | +134 | +4,375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9-12 | 0 | 0 | 0 | - | 0.00% |
09-11 | 0 | 0 | 0 | - | 0.00% |
09-10 | 0 | 0 | 0 | 0 | 0.00% |
09-09 | 0 | 0 | 0 | 0 | 0.00% |
09-06 | 0 | 0 | 0 | 0 | 0.00%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4-08-09 상한가 - 위고비 국내 출시 예정 소식 속 위고비 품질관리업체로 부각되며 상한가 - 1일 연속 ☞ 2024-07-30 위고비 국내 판매 수혜주 분석에 상승 ☞ 2024-07-26 상한가 -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노보노디스크 비만치료제 ‘위고비’의 품질관리에 대한 기술 이전 완료 사실 부각에 상한가 - 1일 연속 |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2 15:30
에스엘에스바이오 | 2,170 | 80 | -3.56%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 주한미군 4천500명을 괌 등 인태 다른 지역으로 이전 검토"(종합)
-
2
[뉴욕증시-1보] 美 국채금리 하락에도 반등 제한…혼조 마감
-
3
美플로리다에 유니버설 최대 테마파크 개장…디즈니에 도전장
-
4
뉴욕증시, 美 국채금리 하락에도 반등 제한…혼조 마감
-
5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22일) 주요공시]
-
6
[샷!] 사이코패스 범죄 늘어나고 있나
-
7
산업부·코트라, 영국·독일서 한국 경제자유구역 알리기
-
8
취향 따라 골라담는 이마트 '주류대전'…150여종 최대 50% 할인
-
9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10
1분기 은행 순이익 6.9조…ELS 기저효과에 28.7%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