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4.11.25 17:10:07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11/25 KOSDAQ 696.83(+2.93%) 기관·외국인 동반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경제지표 호조 및 트럼프 친기업 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83.37(+6.36P, +0.94%)로 상승 출발. 시가를 저점으로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상승세가 다소 주춤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더욱 키웠고, 장 막판 698.51(+21.50P, +3.1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696.83(+19.82P, +2.93%)에서 거래를 마감.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수 등에 5거래일만에 반등. 기관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이틀째 순매수. 반면,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경제지표 호조 등에 지난 주말 美 증시가 상승했고, 시총 1위 알테오젠(+13.36%) 급등 및 2차전지 관련주 상승 등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
신한투자증권은 금일 알테오젠에 대해 지난 한 주 할로자임의 특허 침해 가능성을 언급한 외국계 증권사 보고서, 2대 주주의 주식 매도설, 매출 로열티 논란, 대규모 유상증자설 등 루머가 쏟아졌다며, 변동성은 매수 기회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아울러, 2대주주는 오히려 지분을 늘렸고 특허는 할로자임이 침해했다는 점에서 동사 주가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이날 알테오젠(+13.36%)은 7거래일만에 반등.
노스볼트 파산신청 소식 속 국내 업체 반사이익 기대감 부각 등에 에코프로비엠(+4.80%), 에코프로(+4.37%), 엔켐(+3.98%), 대주전자재료(+4.36%), 중앙첨단소재(+5.23%), 나노신소재(+10.49%), 피엔티(+3.77%)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상승.
중국의 한국인 무비자 입국 기간 30일로 확대 소식 등에 참좋은여행(+6.17%), 노랑풍선(+2.72%), 모두투어(+1.76%) 등 여행, 네이처셀(+15.76%), 씨앤씨인터내셔널(+11.03%), 잉글우드랩(+4.74%), 선진뷰티사이언스(+3.34%), 삐아(+3.05%)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이재명 '위증교사' 1심서 무죄 소식 등에 에이텍모빌리티(+29.97%), 에이텍(+29.94%), 오리엔트정공(+29.73%), 동신건설(+29.69%), 토탈소프트(+22.83%)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동반 급등. 반면, 코메론(-12.29%) 등 정치/인맥(김동연) 테마는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1,250억, 637억 순매수, 개인은 1,929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루닛(+22.73%), 알테오젠(+13.36%), 신성델타테크(+5.89%), 리노공업(+5.11%), 에코프로비엠(+4.80%), 에코프로(+4.37%), 엔켐(+3.98%), 리가켐바이오(+3.87%), HLB(+3.18%), 에스엠(+2.99%), 에스티팜(+2.40%), JYP Ent.(+2.12%), HPSP(+1.96%), 삼천당제약(+1.82%), 파마리서치(+0.76%) 등이 상승. 반면, 셀트리온제약(-5.58%), 휴젤(-2.21%), 클래시스(-1.34%)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기타서비스(+5.88%), 건설(+4.49%), 출판/매체복제(+3.53%), 일반전기전자(+2.93%), 기계/장비(+2.85%), 금융(+2.84%), 종이/목재(+2.81%), 화학(+2.74%), 제조(+2.47%), 제약(+1.99%), 오락문화(+1.87%), 운송장비/부품(+1.82%), 유통(+1.63%), 금속(+1.49%), 의료/정밀기기(+1.14%) 등이 상승. 반면, 운송(-0.19%)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96.83P(+19.82P/+2.93%)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경제지표 호조 및 트럼프 친기업 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83.37(+6.36P, +0.94%)로 상승 출발. 시가를 저점으로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상승세가 다소 주춤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더욱 키웠고, 장 막판 698.51(+21.50P, +3.1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696.83(+19.82P, +2.93%)에서 거래를 마감.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수 등에 5거래일만에 반등. 기관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이틀째 순매수. 반면,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경제지표 호조 등에 지난 주말 美 증시가 상승했고, 시총 1위 알테오젠(+13.36%) 급등 및 2차전지 관련주 상승 등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
신한투자증권은 금일 알테오젠에 대해 지난 한 주 할로자임의 특허 침해 가능성을 언급한 외국계 증권사 보고서, 2대 주주의 주식 매도설, 매출 로열티 논란, 대규모 유상증자설 등 루머가 쏟아졌다며, 변동성은 매수 기회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아울러, 2대주주는 오히려 지분을 늘렸고 특허는 할로자임이 침해했다는 점에서 동사 주가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이날 알테오젠(+13.36%)은 7거래일만에 반등.
노스볼트 파산신청 소식 속 국내 업체 반사이익 기대감 부각 등에 에코프로비엠(+4.80%), 에코프로(+4.37%), 엔켐(+3.98%), 대주전자재료(+4.36%), 중앙첨단소재(+5.23%), 나노신소재(+10.49%), 피엔티(+3.77%)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상승.
중국의 한국인 무비자 입국 기간 30일로 확대 소식 등에 참좋은여행(+6.17%), 노랑풍선(+2.72%), 모두투어(+1.76%) 등 여행, 네이처셀(+15.76%), 씨앤씨인터내셔널(+11.03%), 잉글우드랩(+4.74%), 선진뷰티사이언스(+3.34%), 삐아(+3.05%)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이재명 '위증교사' 1심서 무죄 소식 등에 에이텍모빌리티(+29.97%), 에이텍(+29.94%), 오리엔트정공(+29.73%), 동신건설(+29.69%), 토탈소프트(+22.83%)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동반 급등. 반면, 코메론(-12.29%) 등 정치/인맥(김동연) 테마는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1,250억, 637억 순매수, 개인은 1,929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루닛(+22.73%), 알테오젠(+13.36%), 신성델타테크(+5.89%), 리노공업(+5.11%), 에코프로비엠(+4.80%), 에코프로(+4.37%), 엔켐(+3.98%), 리가켐바이오(+3.87%), HLB(+3.18%), 에스엠(+2.99%), 에스티팜(+2.40%), JYP Ent.(+2.12%), HPSP(+1.96%), 삼천당제약(+1.82%), 파마리서치(+0.76%) 등이 상승. 반면, 셀트리온제약(-5.58%), 휴젤(-2.21%), 클래시스(-1.34%)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기타서비스(+5.88%), 건설(+4.49%), 출판/매체복제(+3.53%), 일반전기전자(+2.93%), 기계/장비(+2.85%), 금융(+2.84%), 종이/목재(+2.81%), 화학(+2.74%), 제조(+2.47%), 제약(+1.99%), 오락문화(+1.87%), 운송장비/부품(+1.82%), 유통(+1.63%), 금속(+1.49%), 의료/정밀기기(+1.14%) 등이 상승. 반면, 운송(-0.19%)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96.83P(+19.82P/+2.93%)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루닛 | 50,000 | 2,600 | -4.9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AI 시대인데 많이 올랐어도 믿어야”…‘이 업종’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는
-
2
"폭염, 우유 생산량 최대 10% 감소시켜…냉각장치 효과 제한적"
-
3
주유소 기름값 3주 연속 상승…"다음 주부터 하락 전망"
-
4
“원전 뜬다고 특정기업 몰빵했다간”…위험 분산·세혜택 챙기려면 ETF
-
5
[부동산캘린더] 내주 전국 8천845가구 분양…전주보다 2천370가구↑
-
6
올트먼 오픈AI CEO, 민주당 비판하며 "소속감 느끼는 정당 없어"
-
7
강원 낮 최고 35도 무더위…내륙·산지 흐리고 빗방울
-
8
“외국인 韓부동산 사려면 자기자본 절반·국내 체류 1년 이상”…野, 개정안 발의
-
9
무한 경쟁에 공공성 약화한 TV홈쇼핑…"블랙아웃 가능성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