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5.01.22 17:08:50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1/22 KOSDAQ 732.31(+0.86%) 트럼프 관세 우려 완화(+),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2차전지·반도체株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취임 후 첫 거래일을 맞아 관세 우려 완화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31.17(+5.10P, +0.70%)로 상승 출발. 장 초반 729.46(+3.39P, +0.4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733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장 후반 733.89(+7.82P, +1.0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반납한 끝에 732.31(+6.24P, +0.86%)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하루만에 반등.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완화 등이 증시 전반에 훈풍으로 작용.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했고, 전일 큰 폭으로 하락했던 2차전지 관련주는 트럼프發 우려 과도 분석 등에 반등.
HPSP(+1.08%), 리노공업(+0.46%), 이오테크닉스(+4.46%), 테크윙(+4.84%), 피에스케이홀딩스(+11.36%), 오로스테크놀로지(+5.62%) 등 반도체, 우리로(+29.99%), 아이윈플러스(+29.98%), 케이씨에스(+14.53%), 한국정보인증(+14.07%) 등 양자, 코난테크놀로지(+9.13%), 데이타솔루션(+5.15%), 솔트룩스(+4.45%) 등 AI 관련주들이 상승. 에코프로비엠(+3.57%), 에코프로(+3.28%), 천보(+2.09%), 에코앤드림(+1.33%) 등 2차전지 관련주도 상승. 빛과전자(+29.96%)는 양방향 100Gb/s 전송 기술 개발 완료 소식 등에 상한가. HBM 수율 개선 핵심 소재 '스프링 핀' 개발 및 대량 생산 소식 등에 오킨스전자(+27.86%)가 급등.
반면, 전일 스팩합병 상장 첫날 5%대 상승했던 블랙야크아이앤씨(-17.48%)가 급락. 아이폰 판매량 실망 및 수요 둔화 조짐 등에 애플(-3.19%) 하락 여파 속 앤디포스(-16.01%), 덕산네오룩스(-2.67%), 인터플렉스(-2.24%) 등 일부 아이폰 테마도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15억, 664억 순매수, 개인은 944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다소 우세. 알테오젠(+5.23%), 이오테크닉스(+4.46%), 삼천당제약(+4.34%), 에코프로비엠(+3.57%), 신성델타테크(+3.48%), 에코프로(+3.28%), HPSP(+1.08%), 리노공업(+0.46%), 휴젤(+0.40%), 엔켐(+0.07%) 등이 상승.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2.88%), 실리콘투(-2.68%), 펩트론(-1.73%), 리가켐바이오(-1.25%), HLB(-0.87%), 코오롱티슈진(-0.87%), 파마리서치(-0.40%), 셀트리온제약(-0.36%) 등은 하락. 클래시스, JYP Ent.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일반서비스(+2.06%), 금융(+1.99%), 기계/장비(+1.57%), 운송장비/부품(+1.42%), 전기/전자(+1.36%), 기술성장기업(+1.18%), 통신(+0.87%), 제조(+0.76%), IT 서비스(+0.55%), 화학(+0.49%), 중견기업(+0.35%), 오락/문화(+0.18%), 금속(+0.14%), 벤처기업(+0.13%) 등이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2.26%), 섬유/의류(-2.25%), 운송/창고(-0.56%), 유통(-0.45%), 의료/정밀기기(-0.42%), 기타제조(-0.42%), 건설(-0.36%)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32.31P(+6.24P/+0.86%)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취임 후 첫 거래일을 맞아 관세 우려 완화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31.17(+5.10P, +0.70%)로 상승 출발. 장 초반 729.46(+3.39P, +0.4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733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장 후반 733.89(+7.82P, +1.0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반납한 끝에 732.31(+6.24P, +0.86%)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하루만에 반등.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완화 등이 증시 전반에 훈풍으로 작용.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했고, 전일 큰 폭으로 하락했던 2차전지 관련주는 트럼프發 우려 과도 분석 등에 반등.
HPSP(+1.08%), 리노공업(+0.46%), 이오테크닉스(+4.46%), 테크윙(+4.84%), 피에스케이홀딩스(+11.36%), 오로스테크놀로지(+5.62%) 등 반도체, 우리로(+29.99%), 아이윈플러스(+29.98%), 케이씨에스(+14.53%), 한국정보인증(+14.07%) 등 양자, 코난테크놀로지(+9.13%), 데이타솔루션(+5.15%), 솔트룩스(+4.45%) 등 AI 관련주들이 상승. 에코프로비엠(+3.57%), 에코프로(+3.28%), 천보(+2.09%), 에코앤드림(+1.33%) 등 2차전지 관련주도 상승. 빛과전자(+29.96%)는 양방향 100Gb/s 전송 기술 개발 완료 소식 등에 상한가. HBM 수율 개선 핵심 소재 '스프링 핀' 개발 및 대량 생산 소식 등에 오킨스전자(+27.86%)가 급등.
반면, 전일 스팩합병 상장 첫날 5%대 상승했던 블랙야크아이앤씨(-17.48%)가 급락. 아이폰 판매량 실망 및 수요 둔화 조짐 등에 애플(-3.19%) 하락 여파 속 앤디포스(-16.01%), 덕산네오룩스(-2.67%), 인터플렉스(-2.24%) 등 일부 아이폰 테마도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15억, 664억 순매수, 개인은 944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다소 우세. 알테오젠(+5.23%), 이오테크닉스(+4.46%), 삼천당제약(+4.34%), 에코프로비엠(+3.57%), 신성델타테크(+3.48%), 에코프로(+3.28%), HPSP(+1.08%), 리노공업(+0.46%), 휴젤(+0.40%), 엔켐(+0.07%) 등이 상승.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2.88%), 실리콘투(-2.68%), 펩트론(-1.73%), 리가켐바이오(-1.25%), HLB(-0.87%), 코오롱티슈진(-0.87%), 파마리서치(-0.40%), 셀트리온제약(-0.36%) 등은 하락. 클래시스, JYP Ent.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일반서비스(+2.06%), 금융(+1.99%), 기계/장비(+1.57%), 운송장비/부품(+1.42%), 전기/전자(+1.36%), 기술성장기업(+1.18%), 통신(+0.87%), 제조(+0.76%), IT 서비스(+0.55%), 화학(+0.49%), 중견기업(+0.35%), 오락/문화(+0.18%), 금속(+0.14%), 벤처기업(+0.13%) 등이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2.26%), 섬유/의류(-2.25%), 운송/창고(-0.56%), 유통(-0.45%), 의료/정밀기기(-0.42%), 기타제조(-0.42%), 건설(-0.36%)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32.31P(+6.24P/+0.86%)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1 10:42
에코프로비엠 | 96,200 | 300 | -0.3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나우IB(293580) +8.51%, 캡스톤파트너스 +4.69%, 컴퍼니케이 +3.45%, 아주IB투자 +1.09%, 우리기술투자 +0.63%
-
2
성신양회(004980) +25.16%, 강동씨앤엘 +3.78%, 삼표시멘트 +2.75%, 유니온 +2.57%, SG +2.84%
-
3
아이티아이즈(372800) +22.39%, 핑거 +16.57%, 아이티센 +3.10%, 헥토파이낸셜 +2.58%
-
4
아이큐어(175250) +8.80%, DXVX +5.19%, 인벤티지랩 +3.58%, 올릭스 +3.73%, 한국비엔씨 +1.72%
-
5
계룡건설(013580) 상한가 진입, 52주 신고가
-
6
더즌(462860) 급등 출발 +25.26%, VI발동
-
7
당일 자사주 체결 현황
-
8
“‘따블의 추억’ 대신 해줄게 반반씩 나누자”…요즘 ‘이것’ 투자피해 속출
-
9
전일대비 거래량 증가 종목(코스닥)
-
10
[단독] 부동산 리밸런싱 나선 KT&G…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호텔 매각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