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폭락' 주장 미 경제학자 "트럼프 이민정책, 경기침체 방아쇠"
황정우
입력 : 2025.02.28 09:45:54 I 수정 : 2025.02.28 09:49:54
입력 : 2025.02.28 09:45:54 I 수정 : 2025.02.28 09:49:54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일생일대의 증시 폭락'을 주장해온 미국 경제학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민 정책이 가장 파괴적인 방식으로 진행되면 올해 경기침체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리 덴트는 27일(현지시간) 폭스뉴스 디지털과 인터뷰에서 "불법 이민자를 줄여야 한다고 말하는 건 괜찮지만 이미 노동시장에서 경제에 기여하는 사람들을 돌려보내면서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경제는 과잉 부양된 상태인데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내보낸다면 아마 국내총생산(GDP)을 1~1.5% 감소시킬 것"이라며 "GDP가 2%, 3%, 4%만 하락해도 말 그대로 물리적으로 경기침체에 빠지게 된다.
지금은 시기가 좋지 않다.
방아쇠를 당기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로이터 통신은 미 국토안보부 자료를 토대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달 추방 인원이 3만7천660명이었다고 보도했다.
또 국토부 산하 불법 체류자 단속 전담 기관인 이민세관단속국(ICJ)에 전국적으로 하루 1천500건의 체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시가 내려갔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한 바 있다.

[해리 덴트 유튜브 화면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덴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과 관세 정책이 올해 경기침체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나는 이미 경기침체로 접어들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200만명을 갑자기 돌려보내면 경기침체가 더 빨리 일어날 것"이라며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관세를 부과한 사람과 이민자를 돌려보낸 사람이 경기침체를 야기한 것처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명확한 정책을 수립하되 기본적으로 이민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성장을 멈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몇 년간 불법 체류가 급증한 주된 이유로 관료주의를 지적하면서 "앞으로 불법 이민은 없어야 하지만 과거를 이유로 현재 사람들을 처벌해선 안 된다.
모두의 잘못이며 우리는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했다.
앞서 덴트는 2023년 말부터 주식시장이 '일생일대의 폭락'을 경험할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된 재정적자 확대를 통한 인위적 경기 부양을 그 이유로 삼았다.
jungwo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
2
한미반도체·한화세미텍, SK하이닉스에 TC 본더 나란히 공급(종합)
-
3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
4
'방향성 부재' 코스피 2,620대 강보합 마감…외인·기관 '사자'(종합)
-
5
“올 1분기 서울 오피스 거래 규모 4.8兆에 달해”
-
6
이엔플러스, 최대주주가 MORGAN STANLEY AND CO INTERNATIONAL PLC으로 변경
-
7
증시요약(3) - 특징 테마
-
8
LS, 650억원 규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
9
한솔케미칼, 보통주 250,000주(316.2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
10
어피니티, 9500억원 서브원 리파이낸싱 완료
05.16 18:0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