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이탈 막자"…韓, 코인 족쇄 푼다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5.03.07 17:57:18 I 수정 : 2025.03.07 19:50:29
당정, 가상자산 현물ETF 추진
美, 비트코인 현물ETF 내놓자
가상자산 시장서 패권 쥐어
韓시장은 규제막혀 자본유출
블록체인 산업성장 지지부진
법인 계좌 허용이 선결 과제
ETF출시땐 제도 개선 '속도'






당정이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허용하기로 가닥을 잡은 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주도로 환경이 급변했기 때문이다.

한국 당국이 가상자산을 투기적 자산으로만 보고 허송세월하는 동안 미국은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달러 패권 확대를 위한 수단으로 여겨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비트코인을 전략 비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7일에는 백악관에서 '크립토서밋'이 열린다.

미국이 가상자산에 대한 태도를 바꾼 시작점에는 비트코인 현물 ETF가 있다. 7일 나스닥에 따르면 블랙록의 IBIT 등 11개 비트코인 현물 ETF에는 지난 1월 12일 상장 이후 이날까지 366억2400만달러(약 52조9509억원)가 순유입됐다. 기존 펀드를 ETF로 재상장했고 수수료율이 높아 태생적으로 이전 투자자들의 순유출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그레이스케일의 GBTC를 제외하면 나머지 10개 ETF에 590억800만달러(약 85조3137억원)가 순유입된 셈이다.

현물 ETF의 출시가 전 세계에 퍼져 있던 비트코인이 미국으로 흡수되는 효과를 낸 셈이다.

다만 국내 증권업계가 가상자산 현물 ETF를 출시하기 위해선 선결 과제가 많다. 우선 자산운용사가 매입한 비트코인을 보관할 커스터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가상자산 법인 계좌가 필수적이다.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13일 순차적으로 법인 계좌를 허용하겠다고 발표했지만 금융사의 투자는 기약이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현물 ETF를 시작으로 디지털 자산 기본법 등이 빠르게 마련돼 가상자산 시장에 전반적으로 족쇄가 풀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주요 배경은 스테이블코인 등을 통한 국내 자본의 유출이다. 미국은 트럼프 주도하에 스테이블코인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시가총액이 2214억달러 수준에 달하는데 이는 올해 초와 비교해도 10% 이상 증가한 수치다. 반면 한국에서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이 하루 평균 5억달러 규모를 넘었다.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이번주 들어 국내 거래소의 스테이블코인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4억7801만달러다. 이는 대부분 해외 거래소로 자산을 이동하기 위한 수요다.

산업적 측면에서도 블록체인시장은 미국 주도하에 크게 성장하고 있다. 우선 가상자산 관련 거래 플랫폼, 간접투자 상품이 급격하게 규모가 커졌다. 미국 온라인 주식 거래 플랫폼인 로빈후드에서는 가상자산을 함께 거래할 수 있다. 로빈후드 주가는 지난해 5배 뛰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기업인 스트레티지는 주가가 지난해 422% 올랐다.

김용범 해시드오픈리서치 대표는 이날 서울 강남구 해시드 라운지에 열린 세미나에서 "점점 더 많은 경제가 디지털화되는 시대에 적합한 통화는 가상화폐이기에 어느 때보다 제도적·정책적 고민과 연구,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근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5 11:0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