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3.20 14:43:26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비철금속, 리튬, 드론(Drone), 2차전지(장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강관업체(Steel pipe), 리비안(RIVIAN), 통신, 자원개발, 우크라이나 재건,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인터넷 대표주,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네옴시티,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우주항공산업, 시스템반도체 등...
약세 테마손해보험, 2차전지(생산), 자동차 대표주, 생명보험, AI 챗봇(챗GPT 등),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자전거, 재택근무/스마트워크, IT 대표주, 건설 대표주, 해운, 골프, 클라우드 컴퓨팅, 마이크로 LED, 정유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시스템반도체국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정부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나선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시스템반도체 분야 수출·투자 전략회의'를 열고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 이행전략'을 발표했음. 해당 내용에는 매출 1조원 기업 10개를 키우고 비수도권에 24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유치해 연구개발(R&D) 및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내용 등이 포함된 바 있음.

▷또한, 정부는 최근 경기도 용인 일원에 300조원 규모의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했으며, 클러스터에는 최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기를 구축하고, 국내외 우수 소부장·팹리스 기업, 연구소 등 최대 150개가 들어설 계획으로 알려진 바 있음.

▷아울러 최근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파운드리 매출이 ‘반도체 1등 기업’ 삼성의 상징인 D램 매출을 앞설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음. 대신증권은 올해 1분기 삼성전자 D램 매출은 4조1,730억원, 파운드리(시스템LSI포함)는 7조2,740억원으로 추정했으며, KB증권은 D램 4조4,000억원, 파운드리(시스템LSI포함)는 5조6,000억원, 유진투자증권은 D램 5조1,000억원, 파운드리(시스템LSI포함)는 5조5,000억원으로 매출을 예상했음. 각 증권사들의 추정이 현실화될 경우, 올해 1분기 사상 처음으로 분기 기준 삼성의 파운드리(시스템LSI 포함)사업이 D램 사업 매출을 앞서게 될 예정.

▷이에 금일 가온칩스, 코아시아, 에이디테크놀로지, 아진엑스텍 등 시스템반도체 테마가 상승.
2차전지(생산)경쟁사 中 CATL 실적 호조 등에 하락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와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의 CATL이 지난해 한국계 배터리 3사를 압도하는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전해짐. 실적뿐 아니라 연구개발(R&D)에 투자한 비용도 한국 업체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가격 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급속히 높여나간 것으로 해석됐음. 최근 한국 업체들도 중국이 주력으로 삼는 LFP 배터리 시장에 속속 뛰어들면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음.

▷이와 관련, CATL의 지난해 매출은 3,286억 위안(약 62조4,000억원)으로 전년대비 152%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307억2,000만 위안(약 5조8,000억원)으로 전년대비 92.9% 증가했음. 이는 LG에너지솔루션(25조5,000억원)을 비롯해 삼성SDI(20조1,000억원), SK온(7조6,000억원) 등 한국계 3사의 작년 매출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은 수준이며, 순이익에서도 3사의 이익을 압도한 것으로 전해졌음.

▷한편,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EU의 핵심원자재법(CRMA: Critical Raw Material Act) 초안이 발표됐다며, 이는 특정국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 축소 및 역내투자 확대 등을 통한 EU 역내 원자재 공급 안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밝 힘. 다만, 핵심원자재법 초안은 美 IRA와 달리 역외 기업에 대한 차별적인 조항이나 현지조달 요구 조건 등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대부분 권고 사항으로 현 시점에서는 강제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 현지 생산 보조금, 리사이클 비율 증가 등 좀더 구체적인 내용이 담길 것으로 기대했던 것에 반해 다소 원론적인 초안으로 2차전지 기업 차익실현의 빌미가 됐다고 밝힘.

▷이에 금일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2차전지(생산) 테마가 하락.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가온칩스 46,150 1,550 -3.25%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5 20:0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