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5.03.24 17:08:54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3/24 KOSDAQ 720.22(+0.11%) 개인 순매수(+), HLB 그룹주 급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1.39(+1.98P, +0.28%)로 상승 출발. 장초반 약보합세로 돌아선 지수는 718.67(-0.74P, -0.10%)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이내 반등에 성공. 오전 중 상승폭을 키워 725.34(+5.93P, +0.8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고, 이후 일부 상승폭을 반납해 723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축소하던 지수는 결국 720.22(+0.81P, +0.11%)로 장을 마감.
트럼프 관세, 윤 대통령 탄핵심판 등 대내외 이슈 관망세 속 개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소폭 상승, 4거래일만에 반등. 개인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외국인/기관은 하루만에 순매도 전환.
특히, 지난주 금요일 HLB 간암신약 美 FDA 승인 재불발 소식에 급락했던 HLB(+15.27%), HLB생명과학(+17.36%), HLB테라퓨틱스(+12.74%), HLB제넥스(+11.42%), HLB이노베이션(+8.07%), HLB바이오스텝(+7.59%), HLB파나진(+6.39%) 등 HLB 그룹주들이 신약 승인 재도전 의지를 밝히면서 급반등세를 기록. 네이처셀(+29.75%)은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美 FDA 혁신 치료제 지정 소식에 상한가. 와이지엔터테인먼트(+4.07%), 에스엠(+2.39%), JYP Ent.(+1.14%) 등 엔터주들도 상승.
반면, 에코프로비엠(-3.30%), 에코프로(-1.96%), 엔켐(-5.87%) 등 2차전지, 리노공업(-2.37%), 파크시스템스(-3.03%), ISC(-2.80%)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금일 신규 상장한 더즌(-10.22%)은 장초반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하락세로 돌아서며 급락 마감.
수급별로는 개인이 586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37억, 27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에코프로비엠(-3.30%), 리노공업(-2.37%), 레인보우로보틱스(-2.08%), 에코프로(-1.96%), 클래시스(-1.88%), 펄어비스(-1.76%), 펩트론(-1.73%), 보로노이(-1.53%), 셀트리온제약(-1.48%), 휴젤(-1.20%), 리가켐바이오(-1.09%) 등이 하락. 반면, HLB(+15.48%), 에스엠(+2.39%), 삼천당제약(+1.75%), 코오롱티슈진(+1.56%), JYP Ent.(+1.14%), 알테오젠(+0.68%), 주성엔지니어링(+0.24%) 등은 상승. 파마리서치, HPSP는 보합.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제약(+2.55%), 오락/문화(+1.27%), 운송장비/부품(+1.06%), 운송/창고(+1.04%), 일반서비스(+0.47%), 유통(+0.47%), 기타제조(+0.31%), 음식료/담배(+0.19%)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2.32%), 섬유/의류(-1.31%), 금속(-1.14%), 화학(-1.12%), 금융(-1.02%), 전기/전자(-0.94%), 비금속(-0.91%), 의료/정밀기기(-0.81%), 종이/목재(-0.56%), 기계/장비(-0.44%), 통신(-0.19%)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20.22P(+0.81P/+0.11%)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1.39(+1.98P, +0.28%)로 상승 출발. 장초반 약보합세로 돌아선 지수는 718.67(-0.74P, -0.10%)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이내 반등에 성공. 오전 중 상승폭을 키워 725.34(+5.93P, +0.8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고, 이후 일부 상승폭을 반납해 723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축소하던 지수는 결국 720.22(+0.81P, +0.11%)로 장을 마감.
트럼프 관세, 윤 대통령 탄핵심판 등 대내외 이슈 관망세 속 개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소폭 상승, 4거래일만에 반등. 개인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외국인/기관은 하루만에 순매도 전환.
특히, 지난주 금요일 HLB 간암신약 美 FDA 승인 재불발 소식에 급락했던 HLB(+15.27%), HLB생명과학(+17.36%), HLB테라퓨틱스(+12.74%), HLB제넥스(+11.42%), HLB이노베이션(+8.07%), HLB바이오스텝(+7.59%), HLB파나진(+6.39%) 등 HLB 그룹주들이 신약 승인 재도전 의지를 밝히면서 급반등세를 기록. 네이처셀(+29.75%)은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美 FDA 혁신 치료제 지정 소식에 상한가. 와이지엔터테인먼트(+4.07%), 에스엠(+2.39%), JYP Ent.(+1.14%) 등 엔터주들도 상승.
반면, 에코프로비엠(-3.30%), 에코프로(-1.96%), 엔켐(-5.87%) 등 2차전지, 리노공업(-2.37%), 파크시스템스(-3.03%), ISC(-2.80%)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금일 신규 상장한 더즌(-10.22%)은 장초반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하락세로 돌아서며 급락 마감.
수급별로는 개인이 586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37억, 27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에코프로비엠(-3.30%), 리노공업(-2.37%), 레인보우로보틱스(-2.08%), 에코프로(-1.96%), 클래시스(-1.88%), 펄어비스(-1.76%), 펩트론(-1.73%), 보로노이(-1.53%), 셀트리온제약(-1.48%), 휴젤(-1.20%), 리가켐바이오(-1.09%) 등이 하락. 반면, HLB(+15.48%), 에스엠(+2.39%), 삼천당제약(+1.75%), 코오롱티슈진(+1.56%), JYP Ent.(+1.14%), 알테오젠(+0.68%), 주성엔지니어링(+0.24%) 등은 상승. 파마리서치, HPSP는 보합.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제약(+2.55%), 오락/문화(+1.27%), 운송장비/부품(+1.06%), 운송/창고(+1.04%), 일반서비스(+0.47%), 유통(+0.47%), 기타제조(+0.31%), 음식료/담배(+0.19%)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2.32%), 섬유/의류(-1.31%), 금속(-1.14%), 화학(-1.12%), 금융(-1.02%), 전기/전자(-0.94%), 비금속(-0.91%), 의료/정밀기기(-0.81%), 종이/목재(-0.56%), 기계/장비(-0.44%), 통신(-0.19%)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20.22P(+0.81P/+0.11%)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에코프로비엠 | 104,100 | 2,100 | -1.9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AI 시대인데 많이 올랐어도 믿어야”…‘이 업종’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는
-
2
"폭염, 우유 생산량 최대 10% 감소시켜…냉각장치 효과 제한적"
-
3
주유소 기름값 3주 연속 상승…"다음 주부터 하락 전망"
-
4
“원전 뜬다고 특정기업 몰빵했다간”…위험 분산·세혜택 챙기려면 ETF
-
5
올트먼 오픈AI CEO, 민주당 비판하며 "소속감 느끼는 정당 없어"
-
6
[부동산캘린더] 내주 전국 8천845가구 분양…전주보다 2천370가구↑
-
7
강원 낮 최고 35도 무더위…내륙·산지 흐리고 빗방울
-
8
무한 경쟁에 공공성 약화한 TV홈쇼핑…"블랙아웃 가능성 여전"
-
9
“외국인 韓부동산 사려면 자기자본 절반·국내 체류 1년 이상”…野, 개정안 발의
-
10
납북자가족, 대북전단 중단 선언한다…8일 파주시와 공동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