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000만원 벌어 2400만원 쓴 국민들…열심히 일해도 여윳돈 없는 이유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r2ver@mk.co.kr)
입력 : 2025.03.25 16:21:00 I 수정 : 2025.03.26 16:50:47
입력 : 2025.03.25 16:21:00 I 수정 : 2025.03.26 16:50:47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6624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2014년 3만798달러로 3만달러를 넘어선 이후 줄곧 3만달러 선에 머무르고 있다. 이 기간 1인당 GNI 증가율은 18.9%에 불과했다.
하지만 씀씀이는 증대됐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지난 2014년 1649만4000원에서 지난해 2387만원으로 44.7% 늘었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월평균 소비지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2019년 1975만2000원에서 지난 2023년 2315만8000원으로 17.2% 뛰었다.
최근 1년을 기준으로 설정하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624달러로 전년(3만6194달러) 대비 1.2%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은 2549조1000억원, 실질경제성장률은 2.0%를 기록했다. 지난해 1인당 GNI를 연평균 환율(1364원)을 적용해 원화로 환산하면 평균 5000만원을 벌어 2387만원을 쓴 셈이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도 2387만원으로 전년(2315만8000원)과 비교해 71만2000원(3%) 늘었다. 민간소비지출은 지난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전체 소비지출을 총인구로 나눈 것으로 국민의 평균적인 소비 수준을 알 수 있는 지표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89만원으로 전년(279만2000원)에 견줘 9만8000원 증가했다. 주요 소비 항목은 음식·숙박(15.5%), 식료품·비주류음료(14.3%), 주거·수도·광열(12.2%), 교통(11.6%) 등 이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고물가 기조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40대 가구가 377만6000원으로 소비지출이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344만9000원), 39세 이하(282만7000원), 60세 이상(212만5000원) 등 순이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국판 골드만삭스' 1호 타이틀 어디로?…한투증권 IMA 준비 박차
-
2
대선정국 속 추경 힘겨루기…"15조로 늘려야" "李대선용은 안돼"
-
3
'환율·세수펑크'에 발 묶인 통화·재정정책…'R' 공포 커진다
-
4
'강남·송도·마곡'…제약·바이오 업체들 통합 이전 분주
-
5
글로벌 제약·바이오 CEO "복제약 경쟁, 업계 가장 큰 리스크"
-
6
국힘 주자들, 규제혁파·세금인하·핵무장 공약…중도보수 공략
-
7
'나랏빚 비상' 적자성 채무 900조원 육박…증가율 10%대 회귀
-
8
'12조 필수추경' 내놨지만…내수진작 '포스트대선 추경론' 고개
-
9
토허제 후폭풍·증시 급등락…5대은행 가계대출 이달 2.5조원↑
-
10
회복력 잃은 韓경제…첫 '네 분기 연속 0.1% 이하 성장'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