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5.04.02 11:18:28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재택근무/스마트워크, 골프, 조선, 미용기기,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광고, 딥페이크(deepfake), 조선기자재, 보안주(정보), 셰일가스(Shale Gas), 쿠팡(coupang), 마스크, 마이데이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항공기부품, 리모델링/인테리어, 반도체 대표주(생산), LNG(액화천연가스), 화장품, 패션/의류 등... |
약세 테마 | 전선, 제4이동통신, 2차전지(생산), 정유, 조림사업, 일자리(취업),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제대혈, 면역항암제, 토스(toss), 콜드체인(저온 유통), 리튬,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인터넷 대표주, 줄기세포, 모듈러주택, 뉴로모픽 반도체, 유리 기판, 페라이트, 의료AI, 테마파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슈퍼박테리아, 탄소나노튜브(CNT), 모더나(MODERNA), 캐릭터상품, 폴더블폰, AI 챗봇(챗GPT 등), 초전도체, 코로나19(진단키트), 2차전지(소재/부품)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 유일로보틱스, SK온과 최대주주 변경 수반 콜옵션 조건 포함 주주간계약 체결 등에 상승 |
▷유일로보틱스,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콜옵션 조건이 포함된 주주간계약의 체결 공시. 콜옵션 의무자는 김동헌(회사의 대표이사 및 최대주주)으로 콜옵션 권리자는 SK Battery America, Inc.(변경 후 최대주주 가능자)임. 콜옵션이 행사될 경우 SK배터리아메리카는 현재 2대 주주에서 최대주주로 지위가 변경될 수 있음. 콜옵션 대상 주식수는 완전희석화 기준 대상회사 지분 23%에 해당하는 주식으로 1주당 가액은 28,000원이며, 옵션 행사 기간은 계약 체결일로부터 최대 5년간임. ▷언론에 따르면, SK배터리아메리카는 SK온의 미국 100% 자회사로 SK그룹이 유일로보틱스의 산업용 로봇과 자동화 시스템을 자사 공장에 적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SK온 관계자는 "현재 콜옵션 행사 여부 및 시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유일로보틱스를 비롯해 포메탈, 티피씨글로벌, 휴림로봇, 에스비비테크, 티엑스알로보틱스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트럼프 대통령, 군사 장비 수출 규제 완화 행정명령 서명 예정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만간 무기 등 군사 장비 수출 규제를 완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전해짐. 관련 행정명령은 이르면 2일 또는 3일에 발표될 것으로 보이며, 내용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인 마이클 월츠가 지난해 하원의원 시절 발의했던 법안과 유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짐. ▷당시 법안은 미국 무기수출통제법(U.S. Arms Export Control Act)을 개정해 해외 무기 수출 시 의회의 검토를 요하는 최소 금액 기준을 크게 상향 조정하도록 했음. 무기 이전의 경우 의회 승인 최소 기준 금액을 1,400만 달러에서 2,300만 달러로 올리고, 군사 장비 판매·업그레이드·훈련 및 기타 서비스의 경우 5,000만 달러에서 8,300백만 달러로 상향한다는 내용임. ▷이 같은 소식 속 한화, 휴니드, 기산텔레콤, 이지트로닉스, 파이버프로 등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 |
정유 | 국제유가 하락 영향 등에 하락 |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이 4월2일(현지시간)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보다 0.28달러(-0.39%) 내린 배럴당 71.20달러를 기록.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6월물 브렌트유는 전장보다 0.28달러(-0.37%) 하락한 배럴당 74.49달러에 마감했음.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국제유가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를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진 가운데, 미국 경제지표 부진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 등이 이어지면서 하락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SK이노베이션, S-Oil, GS 등 정유 테마가 하락. | |
2차전지/전기차 등 | 美 상호관세 발표 우려 지속, 테슬라 유럽 판 매 부진 소식 등에 하락 |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4시, 한국시간으로 4월3일 오전 5시경 국가별로 상호관세율을 발표할 예정.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대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효력을 즉시 발효할 것이라고 밝힘.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역사적인 조치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개선하고 대규모 무역 적자를 줄이면서 궁극적으로 미국의 경제 및 국가 안보를 보호할 것"이라면서 "내일을 시작으로 미국이 갈취당하는 것은 끝난다"라고 밝힘. ▷이어 상호 관세와 관련해 20%의 단일 세율안이 옵션으로 거론되는 것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어제 결정을 했다고 말했으나 나는 그에 앞서서 말하고 싶지 않다"라면서 "여러분은 약 24시간 이내에 알게 될 것"이라면서 즉답하지 않았으며,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가 3일부터 시행된다고 재확인했음.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달 프랑스에서 3,157대, 스웨덴에서는 911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고 전해짐. 이는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6.83%, 63.9% 감소한 수치이며, 2021년 이후 가장 적은 1분기 판매량임. 덴마크(593대)와 네덜란드(1,536대)에서도 각각 65.6%, 61% 줄었고 노르웨이(2천211대)에서도 1% 감소세를 기록. 이는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가 유럽 소비자들의 반감을 사고 있는 데다 중국차 업체들의 약진도 계속되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음. ▷한편,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직·간접 영향권에 업종별로는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으며,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는 '납품 물량 감소'를 우려하는 기업이 47.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 같은 소식 속 SK이노베이션,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4 15:30
유일로보틱스 | 83,100 | 9,500 | -10.26%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